강희제의 214 부수
관련 문서
▼ [ 펼치기 · 접기 ] ▼
이 문서는 현재 공사 중입니다.

이 문서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본문에 다소 난잡하거나 생략된 부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공식 설정입니다.

이 문서는 공식 설정이므로 무단 수정은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단, 단순 오류 및 오타의 교정은 반달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개요

세계관 강희제의 214 부수와 관련한 중요 서사를 시간순으로 정리해 담은 문서이다.

후술할 역사보다 이전에 일어난 사건들은 이걸 읽고있는 독자가 살고있는 지구의 것과 동일하다.

하지만 이 이후에 일어나는 몇몇 역사적 사건들은 현실과 비슷하나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어차피 소설인데 한 번만 봐줘요

18세기(1701~1800)

강희자전 편찬(1716)

강희 55년(1716) 1월 13일, 강희제의 칙령으로 현대 한자사전의 조상 격이 되는 《강희자전》이 편찬되었다. 《강희자전》에는 214개의 부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아직 이 당시의 부수는 자아는 커녕 한낱 한자를 배열하기 위한 하나의 개념에 불과했다. 그 일이 있기 전까지는.

강희제의 승하(1723)

강희 62년(1723) 5월 3일, 천수연(千叟宴)[1]을 벌인 강희제는 얼마 되지 않아 오한과 호흡곤란을 시작으로 이궁(離宮) 창춘원(暢春園)에서 향년 69세의 나이로 승하하였다. (1723)[2]

강희제의 정식 사인은 오한과 호흡곤란이라 하지만, 현대에도 여전히 사인에 대한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한 일설에서는 심한 병세가 아닌 돌연사라고 주장하는 게 그 예시이다. 그리고 《강희제의 214 부수》에서는 미리 현실과의 거리를 두기 위해 사망일이 연기되고 강희제의 사인이 과로로 의한 부담이 신체에 누적되어 발생한 급성 심장 마비로 설정됐다.

그리고⋯

[ 분서된 비사의 일부 펼치기 · 접기 ]
○ 인황제[3]가 무언가를 숨기는 모습을 자주 보이다
○ 인황제가 돌연히 사라졌다 멀리서 등장하다
⋯⋯⋯
○ 인황제가 이궁 창춘원에서 훙(薨)하다
○ 시신의 미온함이 계속 유지되다
○ 《강희자전》의 부수색인이 뜯긴 채로 발견되다
○ 《강희자전》이 복원되다
⋯⋯⋯
○ 시신이 완전히 차갑게 되다

옹정제 즉위(1723)

다음날인 5월 4일[4], ⋯그 사건이 있었지만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역사는 원래의 방향대로 흘러갔다.

강희제의 넷째 아들 옹정제는 인품이 남들과는 달라 부황인 강희제의 총애를 받게 되고 유조[5]의 내용대로 계승자로 지목받아 청나라의 제5대 황제로 즉위했다.[6]

19세기?

부수적 자각(████)

일개 한자를 사전에서 배열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일 뿐이었던 부수는, 찢어진 사전 조각에서 자아를 얻었다. 그것의 출처는 평범한 사전 따위가 아닌, 《강희자전》 속 부수색인(部首索引)의 일부였다.

초생명체 출현?

언제부터 시작됐는지 정확히 알 방도조차 없었다. 기껏해야 '강희제의 백성을 위해야 하는 원념이 영혼을 나뉘게 해 초생명체인 부수를 탄생시켰다⋯'라든가 '환생 과정을 거치다가 강희제의 업적이 너무 커 여러 조각으로 나눈 뒤 환생한 게 부수를 탄생시키게 했다⋯'같이 부수들 스스로가 세워낸 것에 불과한 가설에 의존해야만 했다.

다시 말해, 부수 스스로도 자기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모른다는 뜻이다. 그저 강희제와 연관이 되어있다는 것만 알았다. 가장 오래된 기억이라고는 육체를 가지지도 못한 채로 자각을 가지기 시작한 것 뿐이라 한다.

왜 하필 복잡하게 생겨 먹은 한자냐며 자기 정체성에 의심을 품는 자들도 물론 있었다. 이에 몇몇은 "한자는 표어문자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문자로 손꼽히기 때문이다."라며 자신의 명제로 삼는 자들도 몇몇 있었다.

최우선 과업

부수들이 처음부터 자기가 가진 능력을 깨우치기까지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육체부터 본격적으로 형성하고 유지하기까지 생각보다 많은 양의 에너지[7]가 필요했지만, 어째선지 자신이 뭘 해야 하는지를 이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8]

그렇기에 그들은 충분한 힘을 비축할 때까지만 스스로 동면에 가까운 상태로 있어야만 했다. 육체를 얻기 전에는 뭐든 할 수 있는 게 없어 그저 부수로 쓰이는 한자와 관련된 곳을 찾아다니고, 그곳에서 명상같은 자기개발이나 하며 시간을 때울 수 밖에 없었다.[9]

20세기(1901~2000)

청의 멸망(1912)

중요한 역사는 반드시 일어난다. 고로 청나라는 결국 멸망의 길을 걷게 되었다.

선통제 3년(1911), 청 왕조를 타도시키고 국민을 위한 근대적 국가를 수립하기 위한 혁명, 일명 신해혁명이 발발했다. 간단히 말하면 산하 정부가 반란을 일으키고, 군대도 이에 동참하자 나라가 개판이 되어 결국 1912년 5월 2일을 청의 마지막 날로 두고 멸망했다는 내용이다. 그냥 딴 데 가서 알아보자. 제작자가 역사와의 거리감이 꽤 있다.[10]

특이하게도 바로 다음에 서술할 일은 청이 멸망한 지 얼마 안 된 날에 일어났다.

부수의 육체적 탄생(1912~)

짧으면 수십 년, 길면 수백 년에 걸쳐 한 땀 한 땀 먹물을 모아 육체를 탄생에 가깝게 실체화하는 경지에 도달한 부수들은 반쯤 성공했다고 볼 수 있게 된다. 일부 부수는 영혼에 가까운 상태에서 자신에게 걸맞는 장소를 찾으러 그런 오랜 시간을 떠도는데 중국 본토로부터 멀어지는 일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다.

강희자전이 수록된 한자의 부수 빈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먹물과 육체를 손에 넣는 데에 유리하다. 이는 곧 불 화(火)같이 일반인도 알 정도의 흔한 부수한자가 소위 초능력자에 필적하는 존재로 진화할 것이라는 암시로 남을 것이다.

아래의 표에는 부수의 육체적 탄생에 관한 정보들이 담겨 있다.

[ 펼치기 · 접기 ]
기원 일자 등장 부수 전체 순위 수록 한자 출현 장소
1912년 5월 12일 풀 초(艸) 214위 중 140위 1990자(1등) 現 중국 쓰촨성 천서고한초원(川西高寒草原)
(푸른 초본 식물들로 감싸진 초원)
1913년 3월 22일 물 수(水) 214위 중 085위 1662자(2등) 現 한국 서울특별시 한강(漢江)
(호활한 물줄기가 흐르는 강)
1913년 4월 10일 나무 목(木) 214위 중 75위 1505자(3등) 現 한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한라산(漢拏山)
(평지의 나무들이 이루는 산림)
1914년 1월 5일 손 수(手) 214위 중 64위 1253자(5등) 現 중국 저장성 저우산시 푸퉈산(普陀山)
(해수관음상의 손바닥이 있는 산)
1914년 7월 2일 마음 심(心) 214위 중 61위 1204자(6등) 現 일본 오사카시 오사카부 니시나리구(西成区)
(수많은 마음이 오고가는 행정 구역)
1916년 12월 10일 사람 인(人) 214위 중 9위 926자(10등) 現 중국 상하이시(上海市)
(동아시아의 가장 많은 사람이 살고 있는 거대한 도시)
1917년 4월 9일 쇠 금(金) 214위 중 167위 871자(11등) 現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浦項市)
(세계 제일의 제강 산업이 있는 도시)
1919년 6월 5일 고기 육(肉) 214위 중 130위 822자(15등) 現 중국 허난성 난양시(南阳市)
(세계 절반의 고기가 유통되는 지급시)
1919년 11월 9일 불 화(火) 214위 중 86위 770자(16등) 現 대한민국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국내에서 덥기로 유명한 광역시)
1920년 12월 5일 흙 토(土) 214위 중 32위 746자(18등) 現 대한민국 강원도 양양군 설악산(雪嶽山)
(가장 산이 많은 국가의 상위권에 있는 산)
1922년 4월 7일 병들어 기댈 녁(疒) 214위 중 104위 631자(공동 22등) 現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武汉市)
(전염병으로 고통받는 사람이 많은 지급시)
1930년 2월 19일 비 우(雨) 214위 중 173위 349자(40등) 現 인도 메갈라야(Meghalaya)
(세계에서 비가 가장 많이 오는 습지)
1931년 2월 4일 칠 복(攴) 214위 중 66위 335자(43등) 現 인도 서벵골 카라그푸르(Kharagpur)
(수학의 달인이 모이는 곳)
1931년 10월 14일 조개 패(貝) 214위 중 154위 324자(45등) 現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갯벌(舒川潟)
(갯벌의 세계유산이 있는 수역 중 하나)

제대로 깨어나 오감을 확고히 느낄 수 있는 기쁨을 누리게 된 부수의 표정은 그야말로 무아지경 그 자체였다. 육체가 없으면 오감이 없는 채로 있는 거나 다름없기 때문이다.[11]

그들은 수백 년 동안의 세월을 허투루 보내지는 않았기에, 사람들 사이에 섞여있는 일을 넘어 현지인처럼 행동하는 것도 문제 없었다. 심지어 누구는 전뇌 공간(cyberspace) 속 유명인이 되기도 하였다.

어느 정도 활동한 부수는 자신에게 가벼운 이름[12]도 지어주고 먹물을 끌어모으기 유리한 모습으로 몸을 일부 변형하거나 개조했다.[13]  자세한 내용은 강희제의 214 부수/부수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항해(沆瀣)의 항해(航海)(1918)

21세기(2001~2100)

본 작품의 주요 배경이 되는 시대이다.

  1. 강희제가 즉위 50주년을 축하하기 위해 개최한 잔치이다.
  2. 1661년 2월 5일에 즉위하고 1722년 12월 20일까지 총 61년 308일 동안 재위한 셈이다.
  3. 仁皇帝, 강희제의 시호를 대표 글자인 仁을 사용해 줄인 말.
  4. 강희제가 탄생한 날이다.
  5. 遺詔. 임금의 유언(혹은 유서).
  6. 그리고 과로사로 승하하는 날인 1735년 10월 8일까지 총 12년 275일 동안 재위했다.
  7. 부수적 에너지인 먹물을 의미한다.
  8. 육체를 우선적으로 만들어야 하는 이유는 직접적인 활동을 위해서도 있지만, 먹물을 안정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이유도 있다.
  9. 그런데 이는 위험한 도박인데, 육체가 없는 부수가 떠다니려면 자신을 이루는 극소량의 먹물을 에너지 대용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10. 청나라의 실제 마지막 날은 2월 12일이다.
  11. 그렇다고 해서 아예 아무것도 느낄 수 없다는 게 아니다. 미세한 육감같은 게 반응해 오감을 대체한다.
  12. 태명으로 생각하면 된다.
  13. 쿼서(括攝)의 등에 숨겨진 다섯 개의 촉수가 그 예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