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북해어 (Lox Nordmeri)는 북해공화국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며, 공용어이기도 하다.

문법

북해어의 문법은 라틴어를 기본 골격으로 하고 있으나, 조동사 등에서는 독특한 문법적 요소가 드러나기도 한다. 일부 동사의 곡용 형태나 재귀의 중간태가 존재하는 것은 고전 그리스어의 영향으로 여겨진다. 이 중에는 북해어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인위적으로 수입된 것들도 있다.

북해어에서 동사는 능동태, 수동태, 중간태의 세 가지 중 어느 하나에 속하게 되는데, 능동태의 경우에는 별도의 표지가 주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수동태와 중간태의 경우 조동사를 이용하여 표현함으로써 실현된다. 각각의 태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된다.

  • 능동태(etormo aktevo) : 주어가 행위의 주체가 될 때.
  • 수동태(etormo pasivo) : 주어가 행위의 대상이 될 때.
  • 중간태(etormo neitule)
    • 상호의 중간태(etormo neitule coninflite) : 행위가 서로간에 이루어져 주어가 행위의 주체이기도 하고 대상이기도 할 때.
    • 재귀의 중간태(etormo neitule revadkitaro) : 행위의 결과가 결국 주어에게로 되돌아올 때.
    • 자동의 중간태(etormo neitule udomino) : 뚜렷한 주어나 원인이 없이 어떤 일이 일어날 때.

시제/상

시제는 과거(발화시보다 앞선 시간), 현재(발화시와 같은 시간), 미래(발화시 이후의 시간)의 3시제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의미에 따라 완료상, 계속상,

1. 완료상(aspecta todareda)은 지속성이 없는 행위,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종결되는 행위, 일회적인 행위를 나타낸다.

  • 완료상과 시제의 결합 (1형 시제)
    • 현재시제 : 현재에 대한 단순 서술. (나는 그에게 전화를 건다.)
    • 단순과거시제 : 미래에 대한 단순 서술. (나는 그에게 전화를 걸었다.)
    • 단순미래시제 : 과거에 대한 단순 서술. (나는 그에게 전화를 걸 것이다.)

2. 계속상(aspecta uaretame)은 습관이나 상태, 혹은 진행을 나타낸다.

  • 계속상과 시제의 결합 (2형 시제)
    • 과거계속시제 :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지속, 혹은 불변의 진리 (나는 3일 전부터 오늘까지 그에게 전화를 걸어왔다. / 걸고는 했다.)
    • 미래계속시제 : 현재부터 미래까지의 지속, 혹은 현재부터의 영구한 지속 (나는 오늘부터 3일간 그에게 전화를 걸 것이다.)
    • 원과거계속시제 : 보다 먼 과거로부터 보다 가까운 과거까지의 지속 (나는 3살 때부터 7살 때까지 뉴욕에서 살았다.)
    • 원미래계속시제 : 보다 가까운 미래로부터 보다 먼 미래까지의 지속 (나는 은퇴한 뒤 죽을 때까지 편안히 쉴 것이다.)

3. 진행상(aspecta eukamipe)은 바로 그 시점에서 일어나고 있는 행위를 나타낸다.

  • 진행상과 시제의 결합 (3형 시제)
    • 현재진행시제
    • 과거진행시제
    • 미래진행시제

4. 회고상(aspecta retokogitara)은 문장에서 주된 것으로 다루는 행위보다 이전에 완수된 행위 혹은 그 결과로 이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 회고상과 시제의 결합 (4형 시제)
    • 단순원과거시제 : (나는 3일 전에 그에게 전화를 걸어서 밥을 먹었냐고 물었다.)
    • 과거회고시제 (할아버지께서 돌아가셨을 때, 나는 12살이었다.)
    • 미래회고시제 (나는 3일 뒤에 그에게 전화를 걸어 밥을 먹었냐고 물을 것이다.)

5. 추측상(aspecta forokogitara)은 문장에서 주된 것으로 다루는 행위보다 이후에 나타난 행위 혹은 그 결과로 이어질 상태를 나타낸다.

  • 추측상과 시제의 결합 (5형 시제)
    • 과거추측시제 (많은 사람들은 내가 실패할 것이라고 이야기 했다.)
    • 단순원미래시제 (나는 내일 그에게 전화를 걸어 주말에 무엇을 할 것인지 물을 것이다.)
    • 미래추측시제

계속상과 진행상의 차이

계속상은 시간의 흐름, 혹은 일정한 기간 속에서 동작이 지속되거나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나타내고, 진행상은 문장이 다루는 특정한 시점에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임을 나타낸다. (진행상은 또한, 화자가 주관적으로 파악하기에 해당 시간의 직전과 직후에도 동작이 연속성을 가짐을 내포한다.) 다시 말하자면, 동작을 선의 시간 개념에서 파악한다면 계속상으로 나타내게 되는 것이고, 점의 시간 개념에서 파악한다면 진행상으로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때문에 점의 개념으로밖에 파악할 수 없는 현재 시제와 계속상이 결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시제와 상의 실현

1. 직설법

  • 1형 시제의 경우에는 동사 자체의 활용으로 실현된다.
  • 2형 시제의 경우에는 조동사의 한 종류인 시제동사 뒤에 동사의 부정형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 3형 시제의 경우에는 연계사(eimelar)의 직설법 현재, 과거, 미래형 뒤에 동사의 부정형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 4형 시제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나타낸다.
    • 단순원과거시제: eimelar 동사의 직설법 단순과거형 + 기수분사(ianaredieso)
    • 과거회고시제: 기수분사
    • 미래회고시제: eimelar 동사의 접속법 단순미래형 + 기수분사
  • 5형 시제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나타낸다.
    • 과거추측시제: eimelar 동사의 직설법 단순과거형 + 미완분사(utodaredieso)
    • 단순원미래시제: eimelar 동사의 직설법 단순미래형 + 미완분사
    • 미래추측시제: eimelar 동사의 접속법 단순미래형 + 미완분사

2. 접속법

  • 1형 시제의 경우에는 동사 자체의 활용으로 실현된다.
  • 2형 시제의 경우에는 조동사의 한 종류인 시제동사 뒤에 동사의 부정형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 3형 시제의 경우에는 연계사(eimelar)의 직설법 현재, 과거, 미래형 뒤에 동사의 부정형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 4형 시제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나타낸다.
    • 단순원과거시제: eimelar 동사의 직설법 단순과거형 + 기수분사(ianaredieso)
    • 과거회고시제: 기수분사
    • 미래회고시제: eimelar 동사의 접속법 단순미래형 + 기수분사
  • 5형 시제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나타낸다.
    • 과거추측시제: eimelar 동사의 직설법 단순과거형 + 미완분사(utodaredieso)
    • 단순원미래시제: eimelar 동사의 직설법 단순미래형 + 미완분사
    • 미래추측시제: eimelar 동사의 접속법 단순미래형 + 미완분사


예시) ablar, 1인칭 직설법

ablar
현재 ablo
단순과거 ablapo
단순미래 abluso
과거계속 hago ablar
미래계속 hunvo ablar
원과거계속 misto ablar
원미래계속 klino ablar
현재진행 eilo ablar
과거진행 ulsato ablar
미래진행 ulosilo ablar
단순원과거 ulsato ablantrio
과거회고 ablantrio
미래회고 ulostlo ablantrio
과거추측 ulsato ablentropo
단순원미래 ulosilo ablentropo
미래추측 ulostlo ablentropo

서법

북해어의 문장은 기본적으로 직설법, 접속법, 명령법의 세 가지 서법을 가지며, 각각의 서법은 동사 어미의 변화를 통해서 표현된다. 각각의 서법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된다.

  • 직설법(atomospes directum) : 현실의 사실을 있는 그대로 서술할 때.
  • 접속법(atomospes coneitarum) : 주관적 의견, 거짓, 소망, 불확실성, 예측 등을 서술할 때. (단, 접속법은 주절의 본동사에서는 쓰일 수 없다.)
  • 명령법(atomospes eruganu) : 요청, 요구, 명령을 할 때.]
  • 접속법 예문
    • Nor kogito preu legisratures hanara buonel. (나는 의회가 일을 잘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hanar의 3인칭 접속법 현재 : 부정서술]
    • Esbentoto preu nor tebeis gostocom ali ulungel. (나는 네가 더 이상 그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지 않기를 바란다.) [teber의 2인칭 접속법 현재 : 소망]
    • Eite duspinum sis presidentro sinue esti klirlate. (새로운 대통령이 청렴할 지 의심스럽다.) [eimelar의 3인칭 접속법 현재 : 의심]

소수 학설이기는 하지만, 소망이나 기원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문장, 혹은 그러한 의미를 간접적으로 담은 문장들은 희구법(atomospes esbentu)으로 쓰이되, 그 형태가 접속법에 동화되었을 뿐이라는 분석도 있다.

명령법의 실현

직설법과 접속법은 각각의 동사 유형별로, 시제와 인칭에 따라 어미가 곡용하여 실현된다. 명령법의 경우에는 다음의 규칙을 적용하되, 규칙에서 다루지 않는 경우에는 접속법의 형태를 그대로 사용한다. 이는 명령법이 기원이나 소망을 서술하는 접속법의 용법에서 파생되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 1인칭 단수의 경우, 명령법 형태는 존재하지 않는다.
  • 2인칭 단수의 경우, 명령법 형태는 직설법 형태 뒤에 -x(모음 뒤) 혹은 -ox(자음 뒤)를 붙인다.
    • 예) Genneix! : (너는) 먹어라!
  • 1인칭 복수의 경우, 명령법 형태는 직설법 단순미래시제 형태를 사용한다. 이것은 1인칭 복수 명령이 권유나 제안의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품사

북해어에서는 품사를 대명사(kaunomes), 동사(dinamirles), 명사(nomes), 형용사(tasinomes), 접속사(coneitarites), 한정사(ineimelaxes), 감탄사(cardandes)의 7가지로 분류하는 것이 지배적인 학설인데, 흔히 타 언어에서 '부사'로 여겨지는 것은 형용사의 파생에 불과하다고 여겨진다.

대명사

인칭대명사

일반명사와 동일하게 변화한다.

  • 주격 인칭대명사
남성 여성 중성
1인칭 단수 - - eges
2인칭 단수 sio sia sies
3인칭 단수 alo ala ales
1인칭 복수 - - nosmes
2인칭 복수 - - bosmes
3인칭 복수 alos alae ales
  • 속격 인칭대명사
남성 여성 중성
1인칭 단수 - - egis
2인칭 단수 sii siae tuis
3인칭 단수 ali alae alis
1인칭 복수 - - nosmisus
2인칭 복수 - - bosmisus
3인칭 복수 alosori alasari alisus
  • 여격 인칭대명사
남성 여성 중성
1인칭 단수 - - egi
2인칭 단수 sio sian tui
3인칭 단수 alo alan ali
1인칭 복수 - - nosmis
2인칭 복수 - - bosmis
3인칭 복수 alos alas alis
  • 대격 인칭대명사
남성 여성 중성
1인칭 단수 - - eges
2인칭 단수 siu siam tues
3인칭 단수 alu alam ales
1인칭 복수 - - nosmeses
2인칭 복수 - - bosmeses
3인칭 복수 aluas aluas aleses
  • 탈격 인칭대명사
남성 여성 중성
1인칭 단수 - - egibus
2인칭 단수 sio sia tuibus
3인칭 단수 alo ala alibus
1인칭 복수 - - nosmirus
2인칭 복수 - - bosmirus
3인칭 복수 alos alas alirus
  • 호격 인칭대명사
남성 여성 중성
1인칭 단수 - - egesa
2인칭 단수 sie siia tuesa
3인칭 단수 ale alia alesa
1인칭 복수 - - nosmesum
2인칭 복수 - - bosmesum
3인칭 복수 ales alias alesum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주격 preu
속격 previ
여격 prevo
대격 prevu
탈격 preto
호격 preve
지시대명사
단수 복수
남성 여성 중성 남성 여성 중성
근칭 주격 elmo elma elmes elmos elmae elmes
속격 elmi elmae elmis elmosori elmari elmisus
여격 elmo elman elmi elmos elmas elmis
대격 elmu elmam elmes elmuas elmuas elmeses
탈격 elmo elma elmibus elmos elmas elmirus
호격 elme elmia elmesa elmes elmias elmesum
원칭 주격 aspo aspa aspes aspos aspae aspes
속격 aspi aspe aspis asposori aspari aspisus
여격 aspo aspan aspi aspos aspas aspis
대격 aspu aspam aspes aspuas aspuas aspeses
탈격 aspo aspa aspibus aspos aspas aspirus
호격 aspe aspia aspesa aspes aspias aspesum

동사

또 동사들은 그 변화형에 따라서 1류, 2류, 3류, 불규칙의 네 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3류 동사의 경우에는 자음어간과 모음어간의 두 가지 세부 분류로 다시 나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미미하다.

일반동사
1류 동사

1류 동사는 그 부정형이 -ar로 끝나는 것들이다.

대표동사 : ablar (말하다)

  • 직설법
직설법 접속법
현재 단순과거 단순미래 현재 단순과거 단순미래
1인칭 단수 abl-o abl-apo abl-uso abl-aro abl-arapo abl-aruso
2인칭 단수 abl-ai abl-apai abl-usai abl-ari abl-arapi abl-arusai
3인칭 단수 abl-a abl-ape abl-use abl-ara abl-arape abl-aruse
1인칭 복수 abl-amus abl-apiu abl-ukeno abl-armus abl-arapiu abl-arukeno
2인칭 복수 abl-apei abl-apimi abl-uketi abl-artei abl-arapimi abl-aruketi
3인칭 복수 abl-ono abl-apono abl-usono abl-arono abl-arapono abl-arusono
  • 분사
기수 미완 -
분사 abl-antrio abl-entropo -
2류 동사

1류 동사는 그 부정형이 -er로 끝나는 것들이다.

대표동사 : genner (먹다)

1. 직설법

직설법 접속법
현재 단순과거 단순미래 현재 단순과거 단순미래
1인칭 단수 genn-o genn-eto genn-iko genn-o genn-oto genn-olo
2인칭 단수 genn-ei genn-etai genn-ikei genn-eis genn-oteis genn-oleis
3인칭 단수 genn-e genn-ete genn-ike genn-ei genn-otei genn-olei
1인칭 복수 genn-emus genn-etiu genn-iseno genn-omen genn-umen genn-ulemen
2인칭 복수 genn-etei genn-etimi genn-iseti genn-ete genn-ute genn-ulete
3인칭 복수 genn-ono genn-etono genn-ikeno genn-usi genn-osi genn-ulusi
  • 분사
기수 미완 -
분사 genn-entrio genn-antropo -
3류 동사

3류 동사는 그 부정형이 -ir로 끝나는 것들이다. 3류 동사의 경우, 크게 두 가지, 즉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것과 모음으로 끝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자음형: sentora faseflecei)
    • 대표 단어 : vixir (보다)
  •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모음형: sentora hireflecei)
    • 어간의 마지막 음절에 자음이 포함된 경우 (복합-모음형: sentora hireflecei haneimelacei)
      • 어간의 마지막 음절에 포함된 자음이 b, m, n, p, w일 경우 (양순 복합-모음형: 1형)
      • 어간의 마지막 음절에 포함된 자음이 t, d, x, l, r일 경우 (치경 복합-모음형: 2형)
      • 어간의 마지막 음절에 포함된 자음이 c, k, g 일 경우 (연구개 복합-모음형: 3형)
      • 어간의 마지막 음절에 포함된 자음이 f, v일 경우 (순치 복합-모음형: 4형)
      • 어간의 마지막 음절에 포함된 자음이 s, z일 경우 (치간 복합-모음형: 5형)
    • 어간의 마지막 음절에 자음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순수모음형: sentora hireflecei klirlate)

대표동사 : vixir (보다)

  • 직설법
직설법 접속법
현재 단순과거 단순미래 현재 단순과거 단순미래
1인칭 단수 vix-io vix-iolo vix-iz vix-irio vix-iriolo vix-iriz
2인칭 단수 vix-ies vix-ielo vix-isas vix-iries vix-irielo vix-irisas
3인칭 단수 vix-ie vix-iel vix-isa vix-irie vix-iriel vix-irisa
1인칭 복수 vix-iano vix-ialo vix-iunen vix-iriano vix-irialo vix-iriunen
2인칭 복수 vix-iavu vix-iaveis vix-iete vix-iriavu vix-iriaveis vix-iriete
3인칭 복수 vix-ian vix-ianon vix-ospi vix-irian vix-irianon vix-irospi
  • 분사
기수 미완 -
분사 vix-ientro vix-iantopo -
불규칙 동사

불규칙 동사는 주로 일상 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동사들이다.

  • 연계사 eimelar
직설법 접속법
현재 단순과거 단순미래 현재 단순과거 단순미래
1인칭 단수 e-ilo ul-sato ul-osilo e-imi ul-ato ul-ostlo
2인칭 단수 e-itei ul-sati ul-ositi e-i ul-ati ul-osili
3인칭 단수 e-ite e-itet e-ilese e-sti e-stle e-steke
1인칭 복수 e-itomen ul-saut ul-ueno e-smeno ul-somen ul-kleno
2인칭 복수 e-leti e-ilet e-ileti e-ste e-ilse e-lketi
3인칭 복수 e-iten e-itenet e-itenno e-isi e-lstet e-lkenno
조동사

조동사는 크게 시제를 나타내는 시제동사와 태를 나타내는 태동사 두 가지로 나뉜다.

시제동사
  • 과거계속시제동사 hagar :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지속
hagar
1인칭 단수 hag-o
2인칭 단수 hag-ai
3인칭 단수 hag-a
1인칭 복수 hag-amus
2인칭 복수 hag-tei
3인칭 복수 hag-ono
  • 미래계속시제동사 hunvar : 현재부터 미래까지의 지속, 혹은 현재부터의 영구한 지속
hunvar
1인칭 단수 hunv-o
2인칭 단수 hunv-ais
3인칭 단수 hunv-a
1인칭 복수 hunv-amus
2인칭 복수 hunv-atis
3인칭 복수 hunv-ant
  • 원과거계속시제동사 mistar : 보다 먼 과거로부터 보다 가까운 과거까지의 지속
mistar
1인칭 단수 mis-to
2인칭 단수 mis-tai
3인칭 단수 mis-da
1인칭 복수 mis-tomen
2인칭 복수 mis-tatei
3인칭 복수 mis-dono
  • 원미래계속시제동사 klinar : 보다 가까운 미래로부터 보다 먼 미래까지의 지속
klinar
1인칭 단수 klin-o
2인칭 단수 klin-ai
3인칭 단수 klin-a
1인칭 복수 klin-amus
2인칭 복수 klin-atei
3인칭 복수 klin-ono
태동사
  • 수동태동사 idoviner
현재 단순과거 단순미래
1인칭 단수 idovin-o idovin-eto idovin-iko
2인칭 단수 idovin-ei idovin-etai idovin-ikei
3인칭 단수 idovin-e idovin-ete idovin-ike
1인칭 복수 idovin-emus idovin-etiu idovin-iseno
2인칭 복수 idovin-etei idovin-etimi idovin-iseti
3인칭 복수 idovin-ono idovin-etono idovin-ikeno
  • 중간태동사 refimer
현재 단순과거 단순미래
1인칭 단수 refim-o refim-eto refim-iko
2인칭 단수 refim-ei refim-etai refim-ikei
3인칭 단수 refim-e refim-ete refim-ike
1인칭 복수 refim-emen refim-eten refim-imeno
2인칭 복수 refim-ete refim-eme refim-iste
3인칭 복수 refim-usi refim-uti refim-isti

명사

명사는 문장에서 차지하는 역할을 의미하는 격(casuo)에 따라서 어미가 변하는데, 극히 일부의 명사들을 제외하면 모든 명사가 규칙성을 가지고 변한다. 각 격의 쓰임새는 몹시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용법들을 2~3가지로 정리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주격(casuo domino)
    • 문장의 주어로 쓰임.
    • 동치동사 문장의 보어로 쓰임.
  • 속격(casuo genite)
    • 어떠한 명사를 형용적으로 수식하여 제한적으로 소유의 의미를 나타냄. (다만 성, 수, 격에 따라 곡용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 의미상의 주어나 목적어로 사용됨.
    • 소유의 의미는 아니지만, 부연 설명을 하는 용도로 사용됨.
    • 다만, 속격 명사의 경우에는 소유형용사와는 명확히 구별되어 사용된다.
  • 여격(casuo atatino)
    • 간접 목적어 (~에게)
    • 수여나 피해, 행위 대상 등의 의미를 함축하여 간결하게 나타날 때 사용됨.
  • 대격(casuo kakosate)
    • 직접 목적어 (~를)
    • 대격 지배 전치사 뒤에 쓰여서 동작상태의 의미가 포함된 전치사구를 만듦.
    •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구를 형성할 때 쓰임.
  • 탈격(casuo umiraro)
    • 탈격 지배 전치사 뒤에 쓰여서 정지상태의 의미가 포함된 전치사구를 만듦.
    • 수단이나 가치, 장소 등을 나타낼 때 쓰임.
    • 수동태의 행위자나 어떤 사실의 원인을 나타낼 때 쓰임.
  • 호격(causo vokero)
    • 누군가(무언가)를 부를 때 사용됨.

또한 모든 명사들은 남성, 여성, 중성의 문법적 성 중 하나를 가지고 있으며, 아버지(patero), 어머니(matera), 아내(uksha)와 같은 단어들은 각자가 가진 자연적 성을 따른다.

1류 명사

1류 명사는 1인칭 단수 주격 형태가 -o로 끝나는 명사들로, 예외 없이 남성 명사이다.

대표 단어 : mero (바다)

단수 복수
주격 mer-o mer-os
속격 mer-i mer-osori
여격 mer-o mer-os
대격 mer-u mer-uas
탈격 mer-o mer-os
호격 mere meres
2류 명사

2류 명사는 1인칭 단수 주격 형태가 -a로 끝나는 명사들로, 극히 일부의 예외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여성 명사이다.

대표 단어 : luciela (전기, 電気)

단수 복수
주격 luciel-a luciel-ae
속격 luciel-ae luciel-ari
여격 luciel-an luciel-as
대격 luciel-am luciel-uas
탈격 luciel-a luciel-as
호격 luciel-ia luciel-ias
3류 명사

3류 명사는 1인칭 단수 주격 형태가 -es로 끝나는 명사들로, 예외 없이 중성 명사이다.

대표 단어 : duomes (정부)

단수 복수
주격 duom-es duom-es
속격 duom-is duom-isus
여격 duom-i duom-is
대격 duom-es duom-eses
탈격 duom-ibus duom-irus
호격 duom-esa duom-esum
4류 명사

4류 명사는 1인칭 단수 주격 형태가 -x로 끝나는 명사들로, 기본적으로 여성 명사이다. 하지만 상당수의 명사가 남성 명사이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대표 단어 : delox (법률)

단수 복수
주격 delo-x delo-ces
속격 delo-cei delo-cis
여격 delo-ce delo-ces
대격 delo-com delo-comum
탈격 delo-ce delo-ces
호격 delo-xio delo-xios
수사

북해어의 수사는 10진법 체계를 따른다.

ablar
1 uto
2 doto
3 treso
4 kamo
5 itro
6 saso
7 seto
8 oelo
9 norno
10 diaro
11 diaro-uto
12 diaro-doto
13 diaro-treso
30 treso-diaro
78 seto-diaro-oelo
100 muxo
160 muxo-saso-diaro
443 kamo-muxo-kamo-diaro-treso
1,000 milo
10,000 diaro-milo
100,000 muxo-milo
1,000,000 miriono

형용사

형용사는 1류 형용사와 2류 형용사로 나뉜다. 형용사의 경우, 수식하는 명사의 성과 수에 따라서는 변화하지만 격에 따라서는 변화하지 않는다.

1류 형용사

1류 형용사는 남성 단수 형태가 -o로 끝나는 형용사들이다.

대표 단어 : azalo (파란)

남성 여성 중성
단수 azal-o azal-a azal-um
복수 azal-os azal-ae azal-i
2류 형용사

2류 형용사는 남성 단수 형태가 -e로 끝나는 형용사들이다.

대표 단어 : festine (빠른)

남성 여성 중성
단수 festin-e festin-e festin-u
복수 festin-es festin-es festin-is
부사

부사는 형용사의 성수일치한 형태 뒤에 -l(모음 뒤) 혹은 -el(자음 뒤)을 붙여 만들어낸다.

접속사

접속사란 단어나 문장, 구, 절 등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단어를 의미하며, 북해어의 접속사는 그 기능에 따라 크게 단문접속사(koneiba utofrasi)와 복문접속사(koneiba kludofrasi)로 나뉜다.

단문접속사

단문접속사는 문법적 층위와 범주의 면에서 동등한 것들끼리 이어주는 접속사이다.

  • at (그리고)
복문접속사

복문접속사는 어떤 문장을 다른 문장과 종속적 관계에 있도록 이어주는 접속사이다. 종속적 관계란 원인과 결과, 가정과 조건 등의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종속적 관계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여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절을 주절(closo domino)이라고 하고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고 의미를 가질 수도 없는 절을 속절(closo idomino)이라고 한다.

한정사

한정사는 명사의 의미를 한정하여 맥락상의 의미 파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품사이다.

지시사
양사

전치사

  • en
    • (+여격) ~안에 (기한)
    • (+대격) ~로, ~안으로 (이동의 방향)
    • (+탈격) ~안에서, ~안에 (위치, 장소), ~사이에(위치)
  • um
    • (+여격) ~으로써 (수단), ~로 (교환의 가치), ~부터 (시간의 시작)
    • (+대격) ~로부터 (이동의 방향), ~보다 (비교)
    • (+탈격) ~에 의해서 (원인), ~로부터 (기원)
  • gosdi
    • (+여격) ~에 따라(기준, 준거), ~사이에(선택)
    • (+대격) ~위로
    • (+탈격) ~위에서, ~위에
  • karda
    • (+여격) ~로서(자격), ~함에 따라(상관관계)
    • (+대격) ~아래로
    • (+탈격) ~아래에서, ~아래에
  • reto
    • (+여격) ~이전에 (시간, 순서)
    • (+대격) ~뒤로
    • (+탈격) ~뒤에서, ~뒤에
  • foro
    • (+여격) ~이후에 (시간, 순서)
    • (+대격) ~앞으로,
    • (+탈격) ~앞에서, ~앞에
  • tuor
    • (+여격) ~동안 (시간의 지속), ~을 통하여 (중개), ~대신 (대리)
    • (+대격) ~을 위해서 (목적), ~에 (비율)
    • (+탈격) ~이므로 (중립적인 이유),
  • kobo
    • (+여격) ~즈음에 (대략적 시간)
    • (+대격) ~와 함께 (공동), ~처럼 (유사)
    • (+탈격) ~주변에, ~을 대표하여, ~에도 불구하고
  • narte
    • (+여격) ~에 가까운 (시간)
    • (+대격) ~옆으로, ~에 가깝게 (이동의 방항), ~을 고려하여, ~에 대하여
    • (+탈격) ~옆에서, ~옆에 (위치, 장소), ~때문에 (비난의 이유),
  • u
    • (+여격) ~의 (출신), ~중에, ~의 (선택)
    • (+대격) ~에 반대로(이동의 방향), ~에 반하여 (반대), ~로부터 (분리, 탈취)
    • (+탈격) ~에 대항하여, ~없이, ~이외에
  • penofi
    • (+여격) ~을 통틀어(시간, 총칭)
    • (+대격) ~을 가로질러, ~을 건너,
    • (+탈격) ~의 반대편에, ~의 건너편에
  • axta
    • (+여격) ~까지 (시공간의 한계, 정도)
    • (+대격) ~에 , ~
    • (+탈격) ~에서 먼, ~와 다른

예시 문단

I. Vihalo, georantro Nordmeri

Vihalo georantro eite; hana en agribus. Milina altu voke; piltina Vihali eite. Vihalo um oikam festinesel vadkita. Brantia, uksha vilhali, kenam pritura en oika. "Okarso eilo; kan hanapo lungesel," Vihalo lege. "Tolotex ulunge hronocom; kena idovinike priturar moxel," Brantia oto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