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음

다마 방언의 일부 발음 특징들은 다마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인 규슈 방언과 공유되고 있다.

  • ガ행비탁음(특정 조건에서 か행 탁음이 비음화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 エイ를 [ei]로 발음한다.
    • 예) 先生 「センセー」 → [センセイ]
  • 요츠가나(四つ仮名)의 음가가 모두 변별되지 않으며, 4개의 음가 모두 [d͡zɯ]로 발음한다. 규슈 방언 대부분이 요츠가나를 전부 변별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 대부분 무악센트이지만 지역에 따라 1형 악센트 또는 2형 악센트가 일부 분포되어 있다.
  • 음절이 종류에 상관없이 같은 길이로 발음되기 때문에 모라(운율의 최소 단위)가 없다. 이는 사쓰마벤과 유사하다.
    • 예를 들어 표준 일본어에서는 '学校'를 「ガ-ッ-コ-ウ」(3음절 4모라)로 표현하나, 다마 방언에서는「ガッ-コ-ウ」(3음절 3모라)로 음절과 운율이 같다.

문법

대명사

현대 일본어 외에 다마 방언에서 사용되는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복수형은 대명사 뒤에 たら(等)를 붙인다.

  • 宗 / まる

남녀 구별 없이 사용하는 1인칭 대명사

현대 일본어의 인칭대명사 '私'(わたし)와 용법이 같다. 유래는 헤이안 시대부터 사용되었던 まろ(麻呂, 麿)

宗을 まる로 읽는다는 점에서 일각에서는 한국어 '마루'가 어원이라고 추정한다.

  • 吾 / あら

남성형 1인칭 대명사

현대 일본어의 '僕'(ぼく)와 용법이 같다. 유래는 나라 시대의 1인칭 대명사 あれ(吾/我)로 보고 있다.

  • 伊 / くな

남녀 구별 없이 사용하는 3인칭 대명사

현대 일본어의 인칭대명사 '彼'(かれ), '彼女'(かのじょ)와 용법이 같다. 어원은 불명, 원시 다마어의 잔재로 추정되기도 한다.

조사

현대 일본어에서 쓰이는 조사를 포함해, 다마 방언에서만 쓰이는 조사는 다음과 같다.

[계조사] '...은/는' 현대 일본어에서의 'は' 역할
예) 그(그녀)는 웃는다. → 伊ざ笑い。
[격조사] '...을/를' 현대 일본어에서의 'を' 역할
예) 차를 운전한다. → 車べ運転すり。
[격조사] '...의' 현대 일본어에서의 'の' 역할
예) 냇가의 버들 → 川つ柳
[종조사] 문말(文末)에서 감동 또는 물음을 나타냄
예) 무엇을 하고 있니? → 何べしてりん。

동사

동사 활용

5단 동사 '쓰다' 활용 비교
일본어 다마 방언
부정형 書か
[kaka-]
書か
[kaka-]
연용형 書き
[kaki-]
書き
[kaki-]
종지형 書く
[kaku]
書き
[kaki]
연체형 書く
[kaku]
書こ
[kako]
가정형 書け
[kake-]
書け
[kake-]
명령형 書け
[kake]
書け
[kake]
  • イ단 종지

동사의 종지형에서 イ단(i)으로 변형된다. 현대 일본어에서 동사의 종지형은 동사원형을 취하고 있다.

현대 일본어와 다마 방언으로 각각 '책을 읽는다'를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本べ読む (현대 일본어) ↔ 本べ読み (다마 방언)
  • オ단 연체

동사가 연체될 때 オ(o)단으로 변형된다. 현대 일본어에서는 종지형과 마찬가지로 동사원형을 취한다.

현대 일본어와 다마 방언으로 각각 '일어난 사람'을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起きる人 (현대 일본어) ↔ 起きろ人 (다마 방언)
  • 1단 동사 및 サ행 변격동사의 활용

상1단 동사(い단+る)와 하1단 동사(え단+る), サ행 변격동사는 5단 동사의 활용과 같다.

현대 일본어와 다마 방언으로 각각 '보고있어라'를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見て居ろ (현대 일본어) ↔ 見て居れ (다마 방언)

연용형에서의 상 구별

다마 방언에서는 「연용형 + -ている」의 활용 형태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 현재 이동, 변화하고 있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경우 '연용형 + -てり'

현대 일본어와 다마 방언으로 각각 '전차가 오고 있다'를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電車が来ている (현대 일본어) ↔ 電車が来てり (다마 방언)
  •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 '연용형 + -きり'

현대 일본어와 다마 방언으로 각각 '이미, 전차가 도착했다'를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既に、電車が到着している (현대 일본어) ↔ 已、電車が到着しきり (다마 방언)

「-てり」, 「-きり」는 각각 고전 조동사 '-てあり'와 '-きあり'에서 유래된 걸로 보인다.

し형 연체

다마 방언에서는 연체형의 과거 시점을 표현할 때 「연체형 + し」로 활용한다.

현대 일본어와 다마 방언으로 각각 '나를 가르친 선생님'을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私を教えた先生 (현대일본어) ↔ 宗べ教えろし先生 (다마 방언)

조동사

체언과 일부 조사에 접속해 단정을 나타냄
예) 이것은 과일이다. → こりざ果物や。

어휘

어휘 의미 비고
イム(已) [부사] 이미, 벌써, 이전에 한국어 '이믜(이미의 옛말)'에서 유래
タラ(等) [접미사] ...들
チング(友) [명사] 친구, 동무, 벗 한국어 '친구'에서 유래
ナ(野) [명사] 들, 논밭
ムレ(山) [명사] 산 한국어 '모이, 모로(산의 옛말)'에서 유래

예문

青山ざ相変わらずこつ地にて有り
청산은 변함없이 이 땅에 있으리
ジェイウィキ、夢見ろ伊等が築き上げろし創作つ財団
제이위키, 꿈꾸는 이들이 쌓아올린 창작의 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