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일본주요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 최근 선거 다음 선거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6회
2022년 7월 10일
27회
2025년 7월 28일
[ 역대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펼치기 · 접기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20회 ·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26회 · 2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50회
2025년 5월 10일
51회
2029년 5월 이전
[ 역대 중의원 의원 총선거 펼치기 · 접기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31회 · 32회 · 33회 · 34회 · 35회 · 36회 · 37회 · 38회 · 39회 · 40회 · 41회 · 42회 · 43회 · 44회 · 45회 · 46회 · 47회 · 48회 · 49회 · 50회 · 51회
통일지방선거 20회
2023년 4월 9일
21회
2027년 4월
[ 역대 통일지방선거 펼치기 · 접기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21회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23년 5월 7일
49회 중원선
(신임 총선)
2025년 5월 10일
50회 중원선
(트럼프 관세 총선)
2029년 5월 이전
51회 중원선
--
투표율 58.04% 증가 3.84%p
선거 결과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총합 비율
135석 45석 180석 37.5%
95석 51석 146석 30.4%
21석 45석 66석 13.8%
17석 18석 35석 7.3%
12석 17석 29석 6.0%
9석 14석 23석 4.8%
0석 1석 1석 0.2%

개요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第50回衆議院議員総選挙) 또는 50회 중원선(50回衆院選)2025년 5월 10일에 실시된 일본중의원 의원 총선거이다. 임기만료에 의한 선거 예정일은 2027년 5월이지만, 2025년 4월 10일, 바쿠고 카츠키 총리가 22일에 중의원을 해산하고, 28일 선거를 고시, 10일에 선거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중의원 해산 결정이 나온 시기가 시기인지라 언론에서는 트럼프 관세 총선(トランプ関税総選)이라고 부르고 있다. 물론 바쿠고 총리는 '신시대 창생을 위해 일본 국민의 판단을 받으려고' 총선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했으니 아마 창생 해산, 창생 총선으로 공식 발표했다.

선거 이전

주요 상황

연도별 상황

선거 정보

내각

투표일

  • 2025년(레이와 7년) 5월 10일

선거제도

  • 소선거구제(289석), 권역별 비례대표제(191석)

투표 방법

  • 비밀선거, 1인 2표제, 도장투표

선거권

  • 11세 이상의 일본인

피선거권

  • 11세 이상의 일본인

선거 진행

선거 일정

  • 4월 22일: 중의원 해산
  • 4월 28일: 선거일 고시
  • 5월 10일: 투·개표

참여 정당

정당 지역구 후보수 비례대표 후보수
지역구 중복 입후보 포함
총 후보수
256 266 289
256 285 293
142 185 185
156 188 188
45 78 78
158 198 198
8 38 38

여론 조사


2025년 정당지지율
NHK 정기여론조사
[ 펼치기 · 접기 ]
조사 기간 지지율 자세히
● 소년동맹 / ● 과학당 / ● 아이돌총연합 / ● 극동결사 / ● 메카무스메 통합단 / ● 제로당 / ● 열풍당
2025년 1월 1주
20.5%
20.5%
18.1%
5.6%
3.7%
2.1%
6.4%
1.1%
2025년 1월 2주
20.8%
20.8%
18.3%
5.7%
3.7%
2.1%
6.7%
1.1%
2025년 1월 3주
20.4%
20.4%
18.5%
5.6%
4.8%
2.2%
7.2%
1.1%
2025년 1월 4주
20.0%
20.0%
18.9%
5.4%
4.0%
2.2%
7.9%
1.0%
2025년 1월 5주
20.3%
20.3%
19.2%
5.2%
4.1%
2.3%
8.5%
1.0%
2025년 2월 2주
21.3%
21.3%
19.2%
5.2%
4.5%
2.2%
9.8%
1.0%
2025년 2월 3주
20.9%
20.9%
19.0%
5.1%
4.6%
2.3%
10.2%
1.1%
2025년 2월 4주
21.1%
21.1%
18.4%
5.2%
4.4%
2.5%
11.3%
1.0%
2025년 2월 5주
20.2%
20.2%
18.6%
5.3%
4.3%
2.6%
12.5%
1.1%
2025년 3월 2주
19.2%
19.2%
17.5%
5.0%
3.9%
2.8%
14.4%
1.1%
2025년 3월 3주
18.8%
18.8%
17.8%
5.1%
3.9%
2.8%
15.0%
1.1%
2025년 3월 4주
18.5%
18.5%
17.4%
5.0%
3.9%
2.9%
15.7%
1.0%
2025년 3월 5주
18.7%
18.7%
17.2%
5.1%
4.0%
3.0%
16.1%
1.0%
2025년 4월 1주
17.9%
17.9%
17.3%
5.2%
3.9%
3.1%
16.5%
1.0%
2025년 4월 2주
18.6%
18.6%
18.5%
4.8%
3.5%
2.8%
16.2%
1.0%
2025년 4월 3주
18.1%
18.1%
18.9%
5.3%
4.1%
3.5%
16.3%
1.0%
2025년 4월 4주
17.8%
17.8%
19.2%
5.5%
4.0%
3.4%
16.2%
1.0%
2025년 4월 5주
18.3%
18.3%
19.5%
5.4%
4.4%
3.3%
16.6%
1.0%
● 소년동맹 / ● 과학당 / ● 아이돌총연합 / ● 극동결사 / ● 메카무스메 통합단 / ● 제로당 / ● 열풍당

선거 결과

출구조사

정당별 예상 의석 수
정당 NHK 닛테레 TBS
지역구 비례대표
소년동맹 126~209 96~224 71~167 42~46 113~213
과학당 128~163 79~195 66~128 46~52 112~183
제로당 42~63 23~75 18~26 42~46 60~72
아이돌총연합 29~42 19~53 5~24 16~22 21~46
극동결사 25~31 18~40 9~18 16~21 25~39
메카무스메 통합단 23~27 20~36 9~19 13~15 22~34
열풍당 0~3 0~4 0~2 0~2 0~4

개표 결과

정당 및 대표 지역구 비례대표 합계 비고
득표 의석 득표 의석 의석 증감
바쿠고 카츠키 38,837,304
35.6%
135석 26,134,442
23.9%
45석 180석
37.5%
+9 제1당
시노미야 카구야 36,765,586
33.7%
95석 29,328,594
26.9%
51석 146석
30.4%
-24 제2당
에리스 그레이렛 9,206,697
8.4%
21석 24,869,125
22.8%
45석 66석
13.8%
+42 제3당
키타 이쿠요 10,511,270
9.6%
17석 10,502,583
9.6%
18석 35석
7.3%
-14 제4당
타카나시 릿카 9,318,654
8.5%
12석 9,264,699
8.5%
17석 29석
6.0%
-6 제5당
카네모토 카츄샤 3,963,659
3.6%
9석 6,201,422
5.7%
14석 23석
4.8%
-3 제6당
모로 산 474,504
0.4%
- 2,856,963
2.6%
1석 1석
0.2%
-4 제7당
무소속 80,150
0.1%
- - - - -
합계 109,157,829 289석 109,157,828 191석 480석 - 원내 7당체제

당선자

지역구 당선자

홋카이도 권역
의원 지역구 소속 정당 비고
레오니스 데스 매그너스 홋카이도 1구 과학 초선
리세리아 레이 크리스타리아 2구 과학 초선
레기나 메르세데스 3구 과학 초선
사쿠야 지클란데 4구 과학 초선
시노자키 리카 5구 과학 초선
아나스타샤 스미레 6구 아총 5선
후타바 안즈 7구 아총 5선
츠보이 료타로 8구 과학 초선
히나세 호타루 9구 과학 초선
엘피네 피렛 10구 과학 초선
아시로 미나 11구 소년 초선
미카사 아커만 12구 제로 6선
토호쿠 권역
의원 지역구 소속 정당 비고
카네모토 카츄샤 아오모리현 1구 메카 6선
히로이 키쿠리 2구 아총 초선
록시 미굴디아 3구 제로 2선
아르민 알레르토 이와테현 1구 제로 6선
이치카와 레노 2구 소년 초선
리바이 아커만 3구 제로 6선
히나타 쇼요 미야기현 1구 소년 6선
카게야마 토비오 2구 소년 6선
에리스 보레아스 그레이렛 3구 제로 2선
리무루 템페스트 4구 제로 3선
베루도라 템페스트 5구 제로 3선
나츠키 렘 아키타현 1구 제로 5선
쿠니가미 렌스케 2구 소년 2선
나츠키 람 3구 제로 5선
로이드 디 살룸 야마가타현 1구 제로 초선
실파 랑그리스 2구 제로 초선
타카하시 렌 3구 제로 초선
사테라 에밀리아 후쿠시마현 1구 제로 5선
나츠키 스바루 2구 제로 5선
타카토 요기리 3구 제로 초선
단노우라 토모치카 4구 제로 초선
키타칸토 권역
의원 지역구 소속 정당 비고
페이트 바르바토스 이바라키현 1구 과학 초선
니시즈미 미호 2구 메카 6선
록시 하트 3구 과학 초선
더스티네스 포드 라라티나 4구 제로 5선
마츠오카 마인 5구 과학 초선
오제 마키 6구 소년 3선
타카하시 메구밍 7구 제로 6선
히나와 타케히사 도치기현 1구 소년 3선
우메미야 하지메 2구 과학 초선
세이카 헤스티아 3구 제로 5선
벨 크라넬 4구 제로 5선
아마미야 아쿠아 5구 제로 5선
아키타루 오비 군마현 1구 소년 3선
키쿠치 후카 2구 과학 초선
유자키 나사 3구 소년 2선
유자키 츠카사 4구 소년 2선
나츠바야시 하나비 5구 과학 초선
이타도리 유지 사이타마현 1구 소년 2선
아사이 아키라 2구 과학 2선
코미 쇼코 3구 소년 2선
야모리 코우 4구 과학 2선
나나쿠사 나즈나 5구 과학 2선
고시키 츠토무 6구 소년 4선
쿠사카베 신라 7구 소년 3선
카미나리 덴키 8구 소년 5선
이사기 요이치 9구 소년 2선
토오가타 밀리오 10구 소년 5선
후시구로 메구미 11구 소년 2선
키리가야 카즈토 12구 과학 초선
아서 보일 13구 소년 3선
쿠기사키 노바라 14구 소년 2선
코죠 사토루 15구 소년 2선
미나미칸토 권역
의원 지역구 소속 정당 비고
이즈미 마사무네 치바현 1구 과학 4선
코바야시 치히로 2구 과학 초선
키리시마 에이지로 3구 소년 5선
이즈미 사기리 4구 과학 4선
센쥬 무라마사 5구 과학 4선
이치카와 쿄타로 6구 과학 초선
야마다 안나 7구 과학 초선
바치라 메구루 8구 소년 2선
진노 메구미 9구 과학 4선
세키네 모에코 10구 과학 초선
요시다 세리나 11구 과학 초선
시로가네 케이 12구 과학 3선
카구라자카 아야메 13구 과학 4선
우자키 히나 14구 과학 2선
시노미야 카구야 가나가와현 1구 과학 3선
이누마키 토게 2구 소년 초선
츠쿠요미 코모에 3구 과학 10선
아리마 카나 4구 소년 2선
시로가네 미유키 5구 과학 3선
호시노 루비 6구 소년 2선
요미카와 아이호 7구 과학 10선
이와시타 시마 8구 아총 초선
후지와라 치카 9구 과학 3선
이시가미 유우 10구 과학 3선
시노미야 키코루 11구 소년 초선
이이노 미코 12구 과학 3선
하야사키 아이 13구 과학 3선
미야후지 요시카 14구 메카 7선
쿠로카와 아카네 15구 소년 2선
오오쿠보 메루 16구 소년 2선
호시이 미키 17구 아총 9선
코노리 미이 18구 과학 10선
이가라시 후타바 19구 과학 2선
타케다 하루미 20구 과학 2선
야마다 엘프 야마나시현 1구 과학 4선
나루미 겐 2구 소년 초선
도쿄 권역
의원 지역구 소속 정당 비고
아즈마 후부키 도쿄도 1구 과학 초선
코타츠 타마키 2구 소년 3선
나가토로 하야세 3구 과학 2선
이츠카 코토리 4구 과학 6선
빅토르 리히토 5구 소년 3선
로이드 포저 6구 소년 2선
키사라기 치하야 7구 아총 9선
키라 료스케 8구 소년 초선
하치오지 나오토 9구 과학 2선
발칸 조제프 10구 소년 3선
하시바라 이노스케 11구 소년 3선
유우키 아스나 12구 과학 초선
카자노 히오리 13구 아총 초선
아가츠마 젠이츠 14구 소년 3선
카마도 탄지로 15구 소년 3선
사쿠라기 마노 16구 아총 초선
신몬 베니마루 17구 소년 3선
카미조 토우마 18구 과학 10선
시라이 쿠로코 19구 과학 10선
미사카 미코토 20구 과학 10선
쇼쿠호 미사키 21구 과학 10선
콘고 미츠코 22구 과학 10선
사텐 루이코 23구 과학 10선
우이하루 카자리 24구 과학 10선
키타가와 마린 25구 과학 2선
고토 히토리 26구 아총 2선
이지치 니지카 27구 아총 2선
코죠 와카나 28구 과학 2선
야마다 료 29구 아총 2선
키타 이쿠요 30구 아총 2선
키리가야 스구하 31구 과학 2선
호쿠리쿠 권역
의원 지역구 소속 정당 비고
사루토비 코노하마루 니가타현 1구 소년 4선
우즈마키 보루토 2구 소년 4선
우치하 사라다 3구 소년 4선
메탈 리 4구 소년 4선
나라 시카다이 5구 소년 4선
사쿠라이 신이치 토야마현 1구 과학 2선
쿠스노키 마키마 2구 소년 2선
하야카와 아키 3구 소년 2선
나가토로 미사키 이시카와현 1구 과학 초선
아야세 세이코 2구 소년 초선
유이노 이와베 3구 소년 2선
카와세가와 에이코 후쿠이현 1구 과학 2선
가모 마키 2구 과학 2선
스노미야 하나 나가노현 1구 과학 2선
야마나카 이노진 2구 소년 4선
엔조지 진 3구 소년 초선
카자마 소타 4구 과학 2선
시라토리 아이라 5구 소년 초선
토카이 권역
의원 지역구 소속 정당 비고
아야세 모모 기후현 1구 소년 초선
타카쿠레 켄 2구 소년 초선
토미오카 기유 3구 소년 3선
토가 히미코 4구 소년 5선
아마지키 타마키 5구 소년 5선
토도로키 쇼토 시즈오카현 1구 소년 5선
미도리야 이즈쿠 2구 소년 5선
지로 쿄카 3구 소년 5선
시이나 마히루 4구 과학 2선
시노미야 이사오 5구 소년 초선
바쿠고 카츠키 6구 소년 5선
안자이 치요미 7구 메카 6선
이누이 신쥬 8구 과학 2선
사카모토 미오 아이치현 1구 메카 7선
야오요로즈 모모 2구 소년 5선
아스이 츠유 3구 소년 5선
시라카와 치토세 4구 과학 2선
아야노코지 키요타카 5구 과학 5선
호리키타 스즈네 6구 과학 5선
에리카 하르트만 7구 메카 7선
쿠시다 키쿄 8구 과학 5선
카루이자와 케이 9구 과학 5선
챠바시라 사에 10구 과학 5선
토야 덴지 11구 소년 2선
우부야시키 카가야 12구 소년 3선
시나즈가와 사네미 13구 소년 3선
카도타 파워 14구 소년 2선
소기이타 군하 15구 과학 9선
사쿠라이 토코 16구 과학 2선
블라디레나 밀리제 미에현 1구 과학 2선
우라라카 오챠코 2구 소년 5선
세오토 릿카 3구 과학 2선
신에이 노우젠 4구 과학 2선
킨키 권역
의원 지역구 소속 정당 비고
우젠 쿄카 시가현 1구 과학 초선
아즈마 히마리 2구 과학 초선
이즈모 텐카 3구 과학 초선
타네자키 프리렌 교토부 1구 소년 초선
토치 하이터 2구 소년 초선
이치노세 페른 3구 소년 초선
코바야시 슈타르크 4구 소년 초선
나카무라 자인 5구 소년 초선
오카모토 힘멜 6구 소년 초선
코가 토모에 오사카부 1구 극동 초선
이이다 텐야 2구 소년 5선
후타바 리오 3구 극동 초선
아이자와 쇼타 4구 소년 5선
키노시타 카즈야 5구 소년 2선
토요하마 노도카 6구 극동 초선
아즈사가와 카에데 7구 극동 초선
쿠즈류 야이치 8구 극동 3선
소라 긴코 9구 극동 3선
에미야 시로 10구 극동 9선
나나미 마미 11구 소년 2선
칸다 소라타 12구 과학 6선
사쿠라지마 마이 13구 극동 3선
토오사카 린 14구 극동 9선
코시 안코 15구 과학 초선
코시 토라코 16구 과학 초선
아즈사가와 사쿠타 17구 극동 3선
바샤메 메메 18구 과학 초선
와쿠라 유우키 19구 과학 초선
스즈키 이루마 효고현 1구 소년 3선
아스모데우스 아리스 2구 소년 3선
알트리아 팬드래건 3구 극동 9선
아사노 타이요 4구 소년 초선
쿠로베 나츠미 5구 과학 2선
사쿠라이 유토 6구 과학 2선
타다노 히토히토 7구 소년 2선
오사나 나지마 8구 소년 2선
발락 클라라 9구 소년 3선
나베리우스 카르에고 10구 소년 3선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 11구 극동 9선
샬롯 E. 예거 12구 메카 7선
코이시카와 이코 나라현 1구 소년 초선
모미지야마 테루 2구 소년 초선
우즈이 텐겐 3구 소년 3선
페페샤 안드레아노바 와카야마현 1구 소년 초선
필츠 뒤낭 2구 소년 초선
츄코쿠 권역
의원 지역구 소속 정당 비고
나나쿠라 린 톳토리현 1구 소년 초선
키타하마 에이지 2구 소년 초선
센쥬 츠나데 시마네현 1구 소년 10선
야마나카 사이 2구 소년 4선
우즈마키 나루토 오카야마현 1구 소년 10선
카미나리몬 덴키 2구 소년 초선
쿠로가네 츠바키 3구 소년 초선
하타케 카카시 4구 소년 10선
나라 테마리 히로시마현 1구 소년 9선
우치하 사스케 2구 소년 10선
하루노 사쿠라 3구 소년 10선
휴우가 히나타 4구 소년 10선
에이라 일마타르 유틸라이넨 5구 메카 7선
사냐 V. 리트뱌크 6구 메카 7선
휴우가 네지 야마구치현 1구 소년 10선
나라 시카마루 2구 소년 10선
야마나카 이노 3구 소년 10선
시코쿠 권역
  • 시코쿠 10석 중 소년 10석
의원 지역구 소속 정당 비고
아키미치 쵸지 토쿠시마현 1구 소년 10선
이누즈카 키바 2구 소년 10선
키지마 미츠키 카가와현 1구 소년 초선
쿠지라 오로치마루 2구 소년 초선
록 리 3구 소년 10선
타무라 텐텐 에히메현 1구 소년 10선
우미노 이루카 2구 소년 10선
오오츠카 지라이야 3구 소년 10선
카케이 스미레 고치현 1구 소년 초선
이시다 가아라 2구 소년 10선
큐슈 권역
의원 지역구 소속 정당 비고
몽키 D. 루피 후쿠오카현 1구 소년 10선
롤로노아 조로 2구 소년 10선
오카무라 나미 3구 소년 10선
와카사 사하라 4구 과학 초선
오오타니 상디 5구 소년 10선
카시와기 나기사 6구 과학 2선
시죠 마키 7구 과학 2선
코야스 츠바메 8구 과학 2선
요자쿠라 쿄이치로 9구 소년 초선
트라팔가 로 10구 소년 2선
유스타스 키드 11구 소년 2선
요르 포저 사가현 1구 소년 2선
란스 크라운 2구 소년 초선
보아 핸콕 나가사키현 1구 소년 9선
니코 로빈 2구 소년 9선
라이치 진고 3구 소년 초선
요시다 긴지로 쿠마모토현 1구 아총 초선
칸자키 란코 2구 아총 5선
마슈 반데드 3구 소년 초선
레몬 어빈 4구 소년 초선
이케다 샹크스 오이타현 1구 소년 8선
나후세 아키라 2구 과학 2선
핀 에임즈 3구 소년 초선
휴우가 히나비 미야자키현 1구 소년 4선
츠키시로 모나 2구 과학 2선
우즈마키 히마와리 3구 소년 4선
시미즈 일라이자 가고시마현 1구 아총 초선
후지미야 아마네 2구 과학 2선
치기리 효마 3구 소년 초선
시카노코 노코 4구 과학 초선
도트 배럿 오키나와현 1구 소년 초선
오오츠키 요요코 2구 아총 초선
가나하 히비키 3구 아총 9선
아카자와 이츠키 4구 과학 초선

차기 내각 구성

선거 결과 기존 대연정 구성원인 소년동맹, 과학당, 아이돌총연합의 전체 의석은 390석에서 361석으로 29석 감소하였다. 하지만 대연정이 유지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이는데, 여기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 첫 번째로 과학당과 소년동맹 내부의 기술정책 노선 갈등이 단순한 의견 차원의 대립이 아니었던 것에 있다. 제2차 바쿠고 내각은 24년 12월 개각 이후 기술민족주의를 명백히 드러낸 내각이었고, 과학당 내에서는 학원도시 이사회지제회를 제외한 전 계파가 반대 의사를 표시했다. 소년동맹도 별반 상황은 다르지 않아서 서파와 기조파의 반대가 적지 않았다. 아총은 당 전체가 이러한 노선을 지지하지 않았다.

연정 구성 정당인 3당 모두 당 내에서 단순히 대신 몇 자리를 놓고 불만을 품은 것이 아니라, 연정 자체가 각 당과 계파의 정체성에 어긋나고 내각이 국익이나 국민 다수의 뜻과 어긋나는 길을 걷고 있다는 인식이 25년 초부터 확산되기 시작했다. 실제로 1월 70%에 육박하던 내각 지지율은 4월 50% 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또 제로당의 지지율이 기존의 양당을 위협하는 수준으로 상승한 것도 이런 사례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과학당은 소년동맹과 함께 연정의 주체였음에도 24석 감소라는 머리아픈 성적표를 받아야했다. 소년동맹은 9석 증가했지만, 증가 원인이 신동파가 아니라 체육회(동파)와 기조파의 약진에 있다는 점에서 과학당과 같은 고민을 안게 되었다. 한편 제로당은 창당 이래 최대 의석인 66석을 확보하며 제2야당으로 부상했다. 결과적으로 대연정은 국민의 반쪽자리 신임을 얻는데 그쳤고, 실제로 의석 수가 크게 감소한 과학당 입장에선 이대로 연정을 지속하면 우리만 죽는다는 위기의식이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소년동맹과학당 모두 일주일 이내에 총재선거를 앞두고 있기 때문에, 이번 총선 결과가 소년동맹 총재선과학당 총재선에 영향을 미칠 예정이다. 소년동맹의 경우 아마 신동파 연석회의에서 다시 바쿠고 총리를 신임하자고 주장할 것으로 보이는데, 신동파 비주류가 이에 따를지는 미지수이다. 서파의 경우 일찌감치 이번 총재선에서 우즈마키 나루토 전 총리가 해상단 출신 후보를 지지하겠다고 선언했으며, 이외에도 기조파와 동파 모두 의석수를 불린 상황이기 때문에 이번 총재선에 뛰어들 가능성이 높다.

과학당의 경우 3월 대두된 미사카 미코토 복귀론이 현재 가장 뜨거우며, 실제로 비이사회 단일후보가 나오지 않는 한 실현될 가능성이 가장 크다. 현재까지 지제회-일상회-순정회 3파의 단일후보를 위한 협상은 진행 중인데, 지제회의 경우 이번 총선에서 양대산맥인 카토 메구미히키가야 하치만이 불출마하면서 세가 크게 죽어 특정 후보를 제시할 가능성은 거의 사라졌다. 일상회에선 아야노코지 키요타카 의원이 출마할 것으로 예상된다. 순정회에선 시노미야 카구야 총재가 불출마하겠다고 공언해 시이나 마히루 의원이나, 키타가와 마린 의원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비일상회와 근린회의 경우 비이사회 단일후보가 나오지 않는다면 자유투표에 맡기겠다고 했기 때문에 단일후보 성사 여부가 총재선의 핵심이 되었다.

연정 방안

  • 소년동맹 중심 연정
    • 소년동맹 + 아이돌총연합 + 극동결사 (+메카무스메 통합단) (244석/267석)
      • 긍정적 전망: 성향차이가 큰 과학당과 제로당을 배제하고도 내각 구성이 가능하다.
      • 부정적 전망: 아이돌총연합의 경우 8년 전 우익거국내각 결성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그 때나 지금이나 과학당 없이는 연정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애초에 과학당과 아총은 서로 중원선과 참원선에서도 협력하는 관계이고 특히 이번 총선에서 과학당이 많은 지역구를 양보했기 때문에, 과학당을 배신한다는 선택지는 향후 선거에서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 선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과학당과 선거연합이 해체될 경우 지역구 상당수를 잃을 것으로 여겨진다.
    • 소년동맹 + 제로당 (246석)
      • 긍정적 전망: 과학당을 배제한 2당 연정임에도 과반 확보가 가능하다.
      • 부정적 전망: 제로당 자체가 사회민주주의에서 민주사회주의까지 걸쳐있는 좌익정당이기 때문에 노선 차이가 너무 커 지지층 이반이 예상된다. 2개월 후 참원선까지 생각하면 쉽지 않은 선택지이다.
  • 과학당 중심 연정
    • 과학당 + 제로당 + 아이돌총연합 (247석)
      • 사실상 좌익거국내각. 열풍당이 제외되었지만, 중참의원 모두 열풍당의 영향력은 미미한 수준이고, 이 연정에서 연립내각이 중참의원 모두에서 과반수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선택지로 여겨진다. 다만 우려되는 점이라면 지제회 의원들이 제로당과의 연대를 반대한다는 점이다. 직전 총선에서 과학당이 내각구성에 실패한 이유도 지제회 소속 의원들이 제로당과의 연대의 경우 투표를 하지 않겠다고 밝혀서였기 때문에 이번에도 불가능할 것으로 여겨졌으나...지제회 소속 의원들 대부분이 지난 총선을 마지막으로 은퇴하여 지제회 소속 중의원 의원이 6명에 불과해 지제회를 제외하더라도 과반수인 241석을 확보해 유력한 결과 중 하나로 여겨진다. 또 애초에 지제회 내에서 제로당과의 연대 반대를 주도하던 사에나이계와 오레가이루계가 공동 은퇴해 지제회가 굳이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말도 나온다.
  • 대연정
    • 소년동맹 + 과학당 (+ 아이돌총연합) (326석/351석)
      • 2023년부터 결성해 이번 선거까지 치른 적주연정의 연속판. 다만 현재로서는 위에서 언급한 이유로 대연정이 유지될 가능성이 낮다. 현상유지이기 때문에 정치저관여층의 경우 이 상태가 유지될 거라고 보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치평론가들은 대연정이 유지될 가능성이 희박하며, 연정 구성원이 모두 각자의 이유로 연립을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 소수정부
    • 소년동맹 + 극동결사 + 메카무스메 통합단 (232석)
      • 내각총리대신 지명선거는 결선투표가 있기 때문에 결선에서 캐스팅보트를 잡은 아이돌총연합이나 제로당 중 일부만 기권하거나 차기 소년동맹 총재에게 투표해도 소년동맹은 총리직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소수정부임에도 이미 3당 연립인 상황에 중참의원 모두 여소야대 정국이기 때문에 매력적인 선택지는 아니다. 게다가 과학당 중심 연정이 성공할 경우 이 시나리오는 결선을 가기도 전에 끝난다.
  • 조기총선
    • 소년동맹 (180석)
      • 소년동맹 주도하에 7월에 있을 27회 참원선에 맞춰 의회를 재해산하는 방안이다. 어차피 2개월 뒤 재선거를 할테니 여야 간 합의를 통해 일단 소년동맹 총재선거 결과와 관계 없이 바쿠고 총리를 유지하고, 제3차 바쿠고 내각에서 중의원을 해산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택지는 누가 실행하든 공통적으로 너무 일찍 선거를 다시 치른다는 부정적 인식을 기저에 깔게되며, 해산을 선언한 총리와 여당이 온전한 책임을 지게되기 때문이다. 지난 2017년 47회 중원선에서 과학당이 폭망한 이유에는 카토 메구미 총리의 기습해산도 원인이었지만, 1년만의 총선이라는 타이틀에 대한 불만도 주요 원인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선택지를 선택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둘러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