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븐 독립전쟁
Haven War of Independence
기간 291년 3월 10일 – 298년 10월 15일
장소 노르테를 제외한 유란 대륙 전역
원인 피나클리아 공화국의 지배 하에 있던 우트리아족과 게르드족의 독립 선언
교전국 및
교전 세력
헤이븐 동맹 피나클리아 연합
헤이븐 독립군
무스멜라 왕국
베르타니아 왕국
피나클리아 공화국
비엔토 단일국
카이아 신성국
지휘관 에쉬크 카일
오를란도 무스멜라
에이브 맥컬린
윌리엄 카에트로
몽케 아골타
그레고리 에제키엘
병력 헤이븐 독립군
2,800,000명
무스멜라 왕국
1,350,000명
베르타니아 왕국
900,000명
총 5,050,000명
피나클리아 공화국
4,100,000명
비엔토 단일국
750,000명
카이아 신성국
100,000명
총 4,950,000명
피해 헤이븐 독립군
중상 650,000명
사망 310,000명
무스멜라 왕국
중상 290,000명
사망 76,000명
베르타니아 왕국
중상 120,000명
사망 30,000명
총 중상자 1,060,000명
총 사망자 410,600명
피나클리아 공화국
중상 860,000명
사망 290,000명
비엔토 단일국
중상 120,000명
사망 60,000명
카이아 신성국
중상 30,000명
사망 2,000명
총 중상자 1,010,000명
총 사망자 352,000명
결과
헤이븐 동맹의 승리
영향
헤이븐 독립국 탄생
피나클리아 공화국의 왕정복고

개요

헤이븐 독립전쟁은 피나클리아 공화국의 지배를 받던 우트리아인과 게르드인이 연합하여 독립을 선포, 그에 따라 피나클리아 공화국이 대응하면서 각국의 이해관계에 맞물려 대규모로 확산된 전쟁이다.

배경

불안한 정세와 독립의 요구

280년대 피나클리아 왕국의 정세는 상당히 불안한 상태였다. 우선 정치적으로는 왕정 철폐를 주장하는 공화파의 목소리가 상당히 거세져 공화파와 국왕파가 연일 논쟁을 벌였고, 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지배당한 우트리아인과 게르드인은 자신들의 대우를 개선해 줄 것을 요구하며 연일 시위를 벌였다.

이런 상황에서 새롭게 즉위한 폴른 7세는 당시 피나클리아에서는 드물게 우트리아인에게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었다. 그는 즉위 3개월 만인 283년 9월 2일, 우트리아인과 게르드인의 권리 향상에 관련된 법안을 작성한 후 사전 논의도 없이 공표해 신하들을 당황시켰다. 그러나 즉위한지 1년도 되지 않은 국왕의 세력 기반은 아직 미약했고, 공화파는 국왕의 이런 '일탈 행위'에 크게 반발하여 공화파에 속한 장교들을 이용해 우트리아인과 게르드인의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한다.

당연히 폴른 7세는 노발대발했으며[1], 즉시 모든 신하들에게 수도 소환령을 내린다. 그래도 아직까지는 대화로 해결해 볼 생각이었지만, 공화파는 이를 완전히 반대로 해석했다.

2.17 혁명과 백지화된 독립

공화파 과격세력은 국왕이 자신들을 숙청하려 한다는 불안감에 휩싸였다. 이때다 싶어 이전부터 혁명을 주창했던 과격세력은 즉각적인 무력대응을 제안했지만, 온건세력은 물론이고 일부 과격세력조차 휘하의 군대가 상당히 적다는 현실적인 문제 탓에 반대하였다. 실제로, 당시 공화파가 확실하게 장악했다고 할 수 있는 부대는 반란 진압에 투입된 제23기병연대와 제15보병연대뿐이었으며, 왕국군은 즉각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부대만 해도 수도방위군단과 국왕근위대 등등이 있었다.

그러나 과격세력은 진작에 3개 용병단과 긴밀한 계약을 맺어 유사시에 자신들의 전력으로 쓸 수 있게끔 준비를 마쳐 놓은 상황이었고, 공화파 지도부 역시 상황이 이렇게 되자 다급하게 2개 용병단을 고용하여 도합 5개 용병단과 2개 연대의 병력이 수도를 향해 진군했다.

4.6 무장봉기

  1. 아무리 당시 왕가의 위상이 약하다고는 해도 염연히 군권은 국왕에게 있었던 만큼 이는 아무리 낮게 쳐도 중대한 월권 행위, 자칫하면 반란으로 해석할 수도 있는 대형 사건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