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__px
___px

개요

원격 신경 제어/RNC(Remote Neuro Control)는 로버스 세계관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의 일종이다. 차량과 기갑장비, 인형병기, 항공기, 심지어는 함선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역사

RNC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의 일종이다. 따라서 RNC의 역사는 곧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역사라 할 수 있다.

비록 종족/문명간 편차가 있지만,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는 지구 기준으로는 우주진출 직전인 후기 근대(20,21세기)에 개발되었다. 뇌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해 일일이 조종간과 패널을 조작하는 것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인 조작이 가능한 기술은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이 기술은 뇌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것이 과제였다. 이 과정에서 뇌의 전기신호를 컴퓨터가 읽고, 컴퓨터가 받아온 정보를 뇌에 전기신호로 보내는 전기 신호 통신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핵심 기술로 자리잡았다.

즉,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역사는 뇌와 컴퓨터 사이의 전기 신호 통신의 효율을 높이는 것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는 완전 삽입형, 부분 삽입형, 비삽입형으로 나뉘었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초창기만 하더라도 완전 삽입형이 주류였으나, 우주 진출 이후 기술 발전을 통해 부분 삽입형과 비 삽입형이 발전하면서 완전 삽입형을 퇴출시켰다.

완전 삽입형은 뇌와 신경을 기계로 대체하거나, 뇌와 신경에 기기와 연결할 수 있는 장비를 삽입하는 시술을 거쳐야 했다. 그리고 직접 기기와 뇌 신경을 고정 연결해야만 했다. 그 대신, 두 전기신호간 직접적 접촉을 통해 효율성이 뛰어났다. 그러나 직접 연결되었다는 특성상 둘 중 하나라도 이상이 생길 시, 둘 다 위험에 처해질 수 있다는 것이 단점이었다. 특히 뇌와 연결된 컴퓨터를 해킹하면 뇌 역시 해킹당할 수 있다는 우려가 결정적이었다.

부분 삽입형은 유선 플러그나 신호기 같은 단말을 통해 기기와 뇌를 연결했다. 그리고 이러한 플러그나 신호기는 신체가 아닌 헬멧 같은 착용 장비에 연결되었다. 따라서 완전 삽입형처럼 효율적이면서, 직접 뇌와 기기를 연결하는 위험성을 감수할 필요도 없었다. 그러나 부분 삽입형은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이 단점이었다. 플러그와 신호기, 그리고 헬멧 같은 장비가 전부 필요해 이를 상용화 하려면 충분한 자금/산업 능력을 갖춰야 했다.

비삽입형은 헬멧을 쓰거나 콕핏에 앉아있는 것만으로도 인터페이스 구현이 가능할만큼 진보되었다. 이식이나 시술이 불필요할 뿐 아니라, 기기와 연결하지 않고도 운용할 수 있다는 점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활용범위와 규모를 늘렸다. 대다수의 일반인들도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장비를 사용하는 병기의 생산성도 늘어났다.

구조

RNC는 수신기와 뇌파를 컴퓨터 및 유사 장비의 신호로 번역하는 번역기로 구성된다.

수신기는 시트 상층부나 헬멧과 같이 조종자의 신체와 접촉이 많은 부분에 주로 구비되는 직렬형과 콕핏 전체를 수신장으로 만든 병렬형이 있다. 번역기는 수신기를 통해 얻어진 뇌로부터의 전기신호를 컴퓨터나 센서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해당 기기들의 네트워크망에 적용되는 신호로 해석한다. 그리고 이들 기기로부터 들어온 정보를 뇌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전기신호로서 재해석하기도 한다.

특징

RNC의 특징은 그것을 사용하는 기기가 사용자의 신체와 가장 유사한 형태일 때 가장 효율적이라는 점이다. 특히 인간의 경우, 인간형일 때 연동 효율이 가장 높다. 반면 전투기나 전차 같은 비인간 형상의 경우, 인간형에 비해 RNC 사용 시의 효율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것이 전차/전투기의 무용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전차/전투기 같은 병기는 태생적으로 인형병기보다 효율적인 면이 많고, 인형병기의 기술도 대거 적용되어 인형병기 대비 유용한 전술 병기로 자리잡고 있다.

여파

RNC를 통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는 우주적으로 상용화되었다. 종래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는 관련 시술을 거쳤거나, 이식에 적합한 적성자 위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특별한 시술,이식 없이도 운용할 수 있는 RNC는 일반인도 장비만 갖추었다면 언제든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외에도 기기의 세부적 조작을 간편화시켜 조종법을 많이 알지 않더라도 섬세하고 세밀한 조작이 가능해 숙련된 파일럿 못지않은 조종실력을 갖춘 인력을 대량으로 양성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RNC의 가장 큰 특징은 그동안 비효율성의 집대성으로 여겨졌던 인형병기가 전차, 전투기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무기체계로 자리잡았다는 것이다.

그동안 다리 달린 전차나 전투기에 가까웠던 대형 인형병기는 인간형과 이족보행 로봇이라는 것이 단점이었다. 그러나 RNC가 인간형 소체에서 최대한의 효율을 낼 수 있다는 점은 강화복 제작기술을 대형 인형병기에 적용한다는 것과 접목되었다. 인형병기는 RNC를 통해 비효율적이고 걸리적거리는 보행병기에서, 보병의 범용성과 민첩성, 기갑의 방어력과 돌파력, 전술기의 화력과 기동성을 동시에 갖춘 기계화 보병의 완전체로 변모했다.

___px
___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