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김씨: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24번째 줄: 24번째 줄: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신라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후예로 전한다. 그 중 [[경순왕]]의 후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한국의 대표적인 성씨 중 하나이다.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한 후 맞아들인 [[고려 태조]]의 딸들인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 왕씨와 ‘공주 왕씨’의 후손이라 추정되는 자손들이 분파를 형성하였다. 각종 병란(兵亂) 및 외적의 침입 등으로 인해 문헌(文獻)과 유적(遺蹟)이 멸실되어 상계(上系)를 자세히 상고(詳考)할 수 없다.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신라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후예로 전한다. 그 중 [[경순왕]]의 후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한국의 대표적인 성씨 중 하나이다.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한 후 맞아들인 [[고려 태조]]의 딸들인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 왕씨와 ‘공주 왕씨’의 후손이라 추정되는 자손들이 분파를 형성하였다. 각종 병란(兵亂) 및 외적의 침입 등으로 인해 문헌(文獻)과 유적(遺蹟)이 멸실되어 상계(上系)를 자세히 상고(詳考)할 수 없다.


== 역사 ==
== 본관 ==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신라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후예로 전한다. 그 중 [[경순왕]]의 후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한국의 대표적인 성씨 중 하나이다. [[경순왕]][[고려]]에 항복한 후 맞아들인 [[고려 태조]]의 딸들인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 왕씨와 ‘공주 왕씨’의 후손이라 추정되는 자손들이 분파를 형성하였다. 각종 병란(兵亂) 및 외적의 침입 등으로 인해 문헌(文獻)과 유적(遺蹟)이 멸실되어 상계(上系)를 자세히 상고(詳考)할 수 없다.
경주(慶州)는 [[경상북도]] 남동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기원전 57년 6촌()이 연합하여 고대국가를 형성하고 국호를 서라벌(徐羅伐)· 사로(斯盧)· 사라(斯羅)라 하고 수도를 금성(金城)이라 하였다. 65년(탈해왕 9) 시림(始林)에서 김씨의 시조 김알지(金閼智)가 탄생하여 국호를 계림(鷄林)으로 삼았다가 [[307년]](기림왕 10)에 국호를 신라(新羅)로 하였다.


== 분파 ==
[[935년]](태조 18)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고려에 항복하자 경주(慶州)로 개칭하고 경순왕의 식읍으로 주고, 그를 사심관으로 삼았다. [[987년]](성종 6) 동경(東京)으로 개칭하고 [[1008년]](목종 11) 낙랑군(樂浪郡)이라 개칭하다가 [[1030년]](현종 21) 삼경(三京)의 제도가 실시되자 동경(東京)을 설치하였으며 [[1202년]](신종 5) 경주 야별초의 반란으로 지경주사(知慶州事)로 강등되었다가 [[1219년]](고종 6) 동경으로 환원되었다. [[1308년]](충렬왕 10) 계림부(鷄林府)로 개편하였다.  
[[경주]](慶州)로 분적한 후손들 중 문헌(文獻)에 전하는 대표적 분파들은 다음과 같다.<ref>《김씨분관록》, 《증보문헌비고》, 《조선씨족통보》 등</ref>
 
=== 벽상공신내사령공파 ===
* 파조 '''김예겸'''(金禮謙) : [[경순왕]] 후예로 고려 초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책록 되고 내사령(內史令)을 역임했다.<ref>『고려묘지명집성』에 후손 김자류(金子鏐)는 경순왕 후예가 아닌 신라왕 후예라 한다.</ref>
* 인물 : 김의진, [[김인경 (고려)|김인경]]
=== 판도판서공파 ===
* 파조 '''김장유'''(金將有) : [[경순왕]] 후예로 [[고려말]]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했다. 6세손 '김정'(金淨)은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이 형조판서(刑曹判書)이며, 호당(湖糖)에 선정되고, 문간공(文簡公)의 시호를 받고 서원에 배향되었다.
* 인물 : 김정
=== 태사공파 ===
* 파조 '''김인관'''(金仁琯) : 신라 [[헌강왕]](憲康王)의 후예로 [[고려 예종]] 때 검교태자태사(檢校太子太師)를 역임했다.<ref>일운(一云) [[경순왕]] 후예라 한다.</ref> 7세손 '김자수'(金自粹)는 고려조 문과에 급제하고 형조 판서를 역임하였는데 거려가 망하자 은거하였다. [[조선 태종]] 형조판서에 제배(除拜) 되었으나 받지 않고 자결하여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서원에 배향되었다.
* 인물 : 김자수, 김세필, [[김홍익]], [[김홍욱]], [[김흥경 (조선)|김흥경]], [[김한신]], [[김노경]], [[김도희]], [[김정희]], [[김한구 (1723년)|김한구]], [[김한기]], [[정순왕후 (조선 영조)|정순왕후]], [[김귀주]], [[김관주]]
=== 평장사공파 ===
* 파조 '''김봉모'''(金鳳毛) : [[경순왕]]의 후예로 고려조에 평장사(平章事)를 지내고 정평공(靖平公)의 시호를 받았다.<ref>《고려사》에 신라 대보공 [[김알지]]의 후예인 신라 종성이라 한다.</ref>
* 인물 : 김태서, [[김약선]], 김천서, [[헌숙왕후]], [[경성왕후]], [[순경태후]], [[정안왕후]], [[선희왕후]]
=== 장군공파 ===
* 파조 '''김순웅'''(金順雄) : [[원성왕]] 후예로 고려 초 장군(將軍)을 역임했다.<ref>일운(一云) [[경순왕]] 후예라 한다.</ref> <ref>《고려사》에는 신라 대보공 [[김알지]]의 후예인 [[원성왕]] 후예라 한다.</ref> 아들 '김인위'(金因渭)는 평장사(平章事) 참지정서(參知政事)이고, 손자 김원정(金元鼎)도 평장사(平章事)이다. 김원정의 10세손 [[김균]](金稛)은 벼슬이 찬성(贊成)이었고,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 계림군(鷄林君)에 봉해지고, 제숙공(齊肅公)의 시호가 받았다.
* 인물 : 김인위, [[원순숙비]], [[김원정]], [[용절덕비]], [[인목덕비]], [[김균]], [[김맹성]], [[김명원]], [[김주신]], [[인원왕후]], [[김사목]], 김정집, [[김홍집 (1842년)|김홍집]], 김창희
 
=== 호장공파 ===
* 파조 '''김위영'''(金魏英) : 신라 대보공 [[김알지]]의 후예로 고려 초 주장(州長)을 역임했다.<ref>《고려사》 김부일(金富佾) 열전(列傳)에 그는 경주(慶州) 사람으로 그 선조는 신라(新羅)의 종성(宗姓)이었다. [[고려 태조]]가 처음 경주를 설치할 때 김위영(金魏英)을 주장(州長)으로 삼았으니 곧 김부일의 증조이다.</ref> 손자 김근(金覲)은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이 국자감(國子監) 좨주(祭酒)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 였다. 김근의 아들 '김부일'(金富佾)은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이 태위(太尉)였으며, 시호는 문간공(文簡公)이다. '[[김부식]]'(金富軾)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중서령(中書令)이었고, 낙랑후(樂浪侯)에 봉해졌으며, 시호는 문열공(文烈公)이다. 인종 묘실(仁宗廟室)에 배향되었다. '김부의'(金富儀)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사공(司空)이었으며, 시호는 문의공(文懿公)이다.
* 인물 : 김근, 김부일, [[김부식]], 김부의, [[김돈중]], 김군수
=== 상서공파 ===
* 파조 '''김여진'''(金麗珍) : 고려조에 상서(尙書)를 역임했다.<ref>[[경주 김씨]] 계림군파(鷄林君派) 갑자보에 의하면 파조 조선 개국공신 김균(金稛)의 9세손 김여진(金麗珍)이 지금의 경북 상주군 공검면에 세거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ref>
 
=== 목사공파 ===
* 파조 '''김소'''(金邵) : 목사(牧使)를 역임했다.<ref>공민왕 7년에 광록대부(光祿大夫) 형부상서(刑部尙書)를 역임한 문간공(文簡公) 청주이씨 이정(李挺)의 신도비문을 태종 3년(1403) 권근(權近)이 찬하였는데, 맏아들 형부낭중(刑部郞中) 유신(由信)의 둘째 사위가 대호군(大護軍) 김소(金邵)라는 기록이 보인다.</ref> <ref>세종 7년(1425) 술잔치를 벌인 도총제 이순몽의 죄를 적용할 율을 올리면서 전 목사(牧使) 김소(金邵)의 이름이 보인다.</ref>
 
=== 판서공파 ===
* 파조 '''김의'''(金義) : 고려말 [[공민왕]](恭愍王) 때 밀직부사(密直副使), 동지사사(同知司事)등을 역임했다.<ref>《고려사》(高麗史)에 고려에 귀화한 호인(胡人)으로 본명은 김야열가(金也列哥)이다.</ref>
 
=== 판서공파 ===
* 파조 '''김덕재'''(金德載) : 조선 개국 보좌공신(補佐功臣)으로 병조판서(兵曹判書)를 역임하였다.<ref>함경도 정평(定平)에 은거하였다고 한다.</ref>
 
=== 직장공파 ===
* 파조 '''김수구'''(金壽龜) : 상의원 직장(尙衣院 直長)을 역임했다.<ref>[[안강 김씨]](安康 金氏)로 분파하였다고 한다.</ref>
 
=== 상호공파군 ===
* 파조 '''김중약'''(金仲約) : 상호군(上護軍)을 역임했다.<ref>조선 정종의 아들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빙부(聘父)이다.</ref>


[[1413년]](태종 13) 경주(慶州)로 개칭하고, [[1415년]] 병마절도사영을 두었다가 [[1417년]] 울산(蔚山)으로 이전하였다. [[1637년]](인조 15)에 속현인 자인현이 분리 독립하였다. [[1895년]](고종 32) 대구부 경주군(慶州郡)이 되었다가, [[1955년]] 경주읍과 내동면 전역, 천북면과 내남면 일부가 통합되어 경주시(慶州市)로 승격되었다.


==각주==
[[분류:대한국 설정]][[분류:한국의 성씨]]
[[분류:대한국 설정]][[분류:한국의 성씨]]

2018년 12월 9일 (일) 12:18 기준 최신판

주의. 이 문서에서 다루는 내용은 대한국의 공식 설정입니다.
이 문서는 특정인 혹은 특정 집단이 작성한 대한국의 설정이기 때문에 함부로 편집을 시도하시면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수정 가능 여부를 문서 작성자에게 문의하여 주십시오. 다만 단순 오류 및 오타의 교정은 반달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경주 김씨(慶州 金氏)
월성 김씨(月城 金氏)
경주 김씨의 종문
경주 김씨의 종문
관향 경상북도 경주시
시조 김알지(金閼智)
주요 중시조 경순왕(敬順王)
주요 집성촌 경상북도 경주시, 영천시, 상주시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도웅리
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충청북도 보은군, 청주시
충청남도 보령시, 홍성군
전라북도 임실군, 남원시
울산광역시 울주군
함경남도 영흥군, 북청군
주요 인물 김원정, 김부식, 김돈중, 김인경, 김약선, 김균,

김맹성, 김홍익, 김홍욱, 김흥경, 김한신, 김귀주, 김관주,
김노경, 김도희, 김정희, 김홍집, 김정렬, 김근태,
김관진, 김문수, 김동철, 김동연, 김성태,
김학용, 김태흠, 김유준, 김하은

인구(2015년) 1,888,121명 (4위)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역사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신라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후예로 전한다. 그 중 경순왕의 후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한국의 대표적인 성씨 중 하나이다. 경순왕고려에 항복한 후 맞아들인 고려 태조의 딸들인 낙랑공주 왕씨와 ‘공주 왕씨’의 후손이라 추정되는 자손들이 분파를 형성하였다. 각종 병란(兵亂) 및 외적의 침입 등으로 인해 문헌(文獻)과 유적(遺蹟)이 멸실되어 상계(上系)를 자세히 상고(詳考)할 수 없다.

본관

경주(慶州)는 경상북도 남동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기원전 57년 6촌(村)이 연합하여 고대국가를 형성하고 국호를 서라벌(徐羅伐)· 사로(斯盧)· 사라(斯羅)라 하고 수도를 금성(金城)이라 하였다. 65년(탈해왕 9) 시림(始林)에서 김씨의 시조 김알지(金閼智)가 탄생하여 국호를 계림(鷄林)으로 삼았다가 307년(기림왕 10)에 국호를 신라(新羅)로 하였다.

935년(태조 18)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하자 경주(慶州)로 개칭하고 경순왕의 식읍으로 주고, 그를 사심관으로 삼았다. 987년(성종 6) 동경(東京)으로 개칭하고 1008년(목종 11) 낙랑군(樂浪郡)이라 개칭하다가 1030년(현종 21) 삼경(三京)의 제도가 실시되자 동경(東京)을 설치하였으며 1202년(신종 5) 경주 야별초의 반란으로 지경주사(知慶州事)로 강등되었다가 1219년(고종 6) 동경으로 환원되었다. 1308년(충렬왕 10) 계림부(鷄林府)로 개편하였다.

1413년(태종 13) 경주(慶州)로 개칭하고, 1415년 병마절도사영을 두었다가 1417년 울산(蔚山)으로 이전하였다. 1637년(인조 15)에 속현인 자인현이 분리 독립하였다. 1895년(고종 32) 대구부 경주군(慶州郡)이 되었다가, 1955년 경주읍과 내동면 전역, 천북면과 내남면 일부가 통합되어 경주시(慶州市)로 승격되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