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제국 (1939): 두 판 사이의 차이

420번째 줄: 420번째 줄:
|style="text-align:left" | 1943
|style="text-align:left" | 1943
|style="text-align:left" | [[Kędzierzyn-Koźle|Blechhammer]]
|style="text-align:left" | [[Kędzierzyn-Koźle|Blechhammer]]
|style="text-align:left" | [[Arbeitslager Blechhammer#Oberschlesische Hydrierwerke AG|Oberschlesische Hydrierwerke AG]]
|style="text-align:left" | [[북슐레지안 수소공장 AG]]
|style="text-align:left" | 갈탄, 타르
|style="text-align:left" | 갈탄, 타르
|style="text-align:center" | 420.000
|style="text-align:center" | 420.000

2020년 7월 18일 (토) 22:56 판


독일 제국
독일 제국
Deutsches Kaiserreich
국가 그대에게 승리의 왕관을 (Heil dir im Siegerkranz)
표어 Gott mit uns (하느님의 가호와 함께)
1939년 독일 제국의 영역
수도 베를린 (북위 52° 30′ 02″ 동경 13° 23′ 56″)
면적 540,857.54 (208,826 sq mi)km2

인문 환경


인구 전체 인구 64,925,993명 (1910)
민족 구성 독일인 92.05%
폴란드인 5.48%, 소르브인 등(1900)
인구 밀도 120 (310.9/sq mi) (1910)
공용어 독일어
국민어 독일어
지역어 폴란드어, 프랑스어
공용 문자 라틴문자
종교 루터교~62.63%
로마 가톨릭교회~35.89%
유대교 1.24%(1880)
군대 독일제국군

하위 행정구역


구성국 4왕국 1. 프로이센
2. 바이에른
3. 작센
4. 뷔르템베르크
9대공국 1. 올덴부르크
2. 헤센
3. 메클렌부르크슈베린
4.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5.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6. 바덴
7. 니더외스터라이히
8. 오버외스터라이히
9. 룩셈부르크
9공국 1. 안할트
2. 브라운슈바이크
3. 작센알텐부르크
4. 작센마이닝겐
5. 작센코부르크고타
6. 케른텐
7. 잘츠부르크
8. 슈타이어마르크
9. 오버운트니더슐레지엔
8후국 1. 리페
2. 샤움부르크리페
3. 발데크
4. 로이스그라이츠
5. 로이스게라
6. 슈바르츠부르크존더샤우젠
7. 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
8. 리히텐슈타인
2백국 1. 티롤
2. 포어아를베르크
3자유시 1. 함부르크
2. 뤼베크
3. 브레멘
3제국령 1. 엘자스-로트링겐
2. 도이치 뵈멘
3. 도이치 메렌
식민지 위투 보호령
동아프리카
키옹가 삼각지대
남서아프리카
서아프리카
뉴기니
사모아
케리비크
조차지 자오저우 만

정치


정치 체제 연방제, 입헌군주제
입법부 라이히스탁
국가
원수
독일 황제 1871년 ~ 1888년;
빌헬름 1세
1888년;
프리드리히 3세
1888년 ~ 1941년;
빌헬름 2세
1941년 ~ 1947년;
빌헬름 3세
정부
요인
국가수상 1871년 ~ 1890년;
오토 폰 비스마르크(초대)
여당 독일 사회민주당(SPD)

경제


경제 체제 -
화폐 공식화폐 페라인슈탈러
남독일 굴덴
베레멘 탈러
함부르크 마르크
프랑스 프랑 (모두 1873년까지)
금 마르크 (1873-1914)
파피어마르크 (1914년 이후) (M)

코드와 단위


국가 코드 DEU, DE
단위 법정연호 서력기원
날짜형식 yyyy-mm-dd
운전석
(통행방향)
왼쪽(우측통행)

외교


국제 연맹 국제 연맹 가입 1947년
국제 연맹 회원국
승인 여부
창립국

개요

역사

정치

인구

독일 제국이 수립되던 1871년에 약 4100만명 규모였던 독일 제국의 인구는 이 시기 폭발적으로 성장하여서 1910년에는 6500만 정도로 불과 40년 사이에 1.5배 규모로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성장의 원동력으로는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는데, 첫 번째로는 다른 국가와 비교해서 상당히 높았던 출산율, 그리고 두번째로는 지배하고 있던 폴란드 일대에서 경제적 풍요를 찾아 상당한 이민자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국가별 인구 (1913)
미국
  
99,059,664
러시아
  
72,819,589
독일
  
66,528,956
영국
  
42,647,530
프랑스
  
41,514,015

한편 경제발전과 더불어서 도시화 역시 두드러진다. 2차 산업혁명 동안 대규모로 부설된 철도를 포함해 독일의 섬세한 교통망은 도시로의 접근을 쉽게 하였고, 루르와 같은 핵심 지역의 중공업 산업 발전으로 상당한 노동력의 수요가 생겼다. 그 결과 1871년만 하더라도 독일 제국 내 인구의 36% 가량만이 도시에 거주하였으나, 불과 20년 만인 1880년이 되면 도시화율이 40%를 기록하며, 1910년에는 60%를 기록한다.

지방의 크기에 따른 총 독일 인구의 인구 분포 (1871–1910)
지방의 크기 1871 1875 1880 1885 1890 1895 1900 1905 1910
- 2,000 63.9% 61.0% 58.6% 56.3% 53.0% 49.8% 45.6% 42.6% 40.0%
2,000 - 4,999 12.4% 12.6% 12.7% 12.4% 12.0% 12.0% 12.1% 11.8% 11.2%
5,000 - 19,999 11.2% 12.0% 12.6% 12.9% 13.1% 13.6% 13.5% 13.7% 14.1%
20,000 - 99,999 7.7% 8.2% 8.9% 8.9% 9.8% 10.7% 12.6% 12.9% 13.4%
100,000 - 4.8% 6.2% 7.2% 9.5% 12.1% 13.9% 16.2% 19.0% 21.3%
도시화율 36.1% 39.0% 41.4% 43.7% 47.0% 50.2% 54.4% 57.4% 60.0%

경제

초기 독일제국 (~1914)

독일 제국 수립 초창기인 1873년을 기준으로 독일 내에서 농업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 가량이고, 중공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30% 가량이었다. 하지만 20년 후인 1895년이 되면 농업의 GDP 내 비중은 32%로 감소하며, 중공업이 36% 가량으로 농업을 제치고 독일 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군으로 올라서게 된다.

무역과 제조업

전통적인 경제 주도국이었던 영국의 세계 무역 비중은 1880년에서 1913년 사이 38.2 %에서 30.2 %로 감소한 반면, 독일의 점유율은 같은 기간 17.2 %에서 26.6 %로 증가했다. 1890년에서 1913년 사이에 독일 수출량은 3배가 되었고 1913년까지 세계 제조 생산 분야에서 독일의 점유율은 13.6%의 영국을 누르고 14.8%를 기록했다. 1913년, 영국의 제조업은 3위로 떨어지며 미국과 독일은 세계 철강 시장을 지배했다. 1914년에 독일의 철강 생산량은 1,760만 톤으로 동시기 영국, 프랑스, 러시아의 철강 생산량을 합친 것보다 많았다. 1914년 독일의 석탄 생산량 또한 2 억 7,800 만 톤에 이르렀으며, 영국의 2 억 9,200 만 톤에 뒤지지 않고 오스트리아-헝가리의 4,700 만 톤, 프랑스의 4,400 만 톤 및 러시아의 3,600 만 톤보다 훨씬 앞서 있었다.

국가별 철강 생산량 (1914)
thousands of tons.
미국
  
31,786
독일
  
17,601
영국
  
7,787
러시아
  
4,917
프랑스
  
4,683
오-헝
  
2,610
벨기에
  
2,465
국가별 석탄 생산량 (1905)
Short Tons
미국
  
350,821,000
영국
  
236,128,936
독일
  
173,796,674
오-헝
  
41,756,123
프랑스
  
35,869,497
벨기에
  
21,775,280
러시아
  
19,318,000

기계, 철강 및 기타 산업 분야에서 독일 기업들은 치열한 경쟁을 피하고 대신 무역 협회에 의존했습니다. 독일은 지배적인 기업가 정신, 강력한 관료체계, 그리고 정부의 우호적인 정책으로 인해 세계적인 경제 주도국이 되었다. 이러한 협회는 경쟁을 규제하고 소규모 회사가 훨씬 큰 회사의 그늘에서 기능 할 수 있도록했습니다.

화학과 약학

루르에서 석탄과 철강 등을 주력으로 중공업이 발달하면서 루르 및 슐레지엔에서 제조업이 성정함에 따라 경제는 계속 산업화 및 도시화되었다. 이와 함께 대학과 각종 실험실에서 화학 연구의 리더쉽을 바탕으로 독일은 19세기 후반 세계 화학 산업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BASFBayer 와 같은 대기업은 인공 염료의약품의 생산 및 유통 방식을 주도하여 1914년까지 화학 제품의 국제 거래량 전체의 90 %를 점유하면서 독일은 세계 화학 시장을 독점했다.

식민지 경제

독일령 식민지의 경제는 주로 1차 산업이 지배적이었다. 제조업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고 독일 본토나 유럽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원자재를 생산했다. 식민지들은 주로 1900년경에 고도 성장을 이루고있는 자전거, 자동차 및 전기 산업 등 많은 산업군에 의해 요구되는 고무와 같은 자재였으며 면화와 같은 기타 작물이 추가로 생산되었다. 섬유 생산을 위해서는 동물성 가죽 및 상아 뿐 아니라 소위 식민지 제품인 커피, 코코아, 사탕 수수, 후추, 담배 등이 재배되었다. 수출을 위한 바나나 재배는 1908년 카메룬에서 시작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많은 독일의 식민지는 불안정했다. 또한, 식민지는 자체적인 관세를 부여했고, 많은 양의 원자재를 취할 수 없었기 때문에 독일 경제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예외적으로 독일령 남서아프리카에서 채굴할 수 있던 다이아몬드는 상업적 이익을 창출했다. 1905 년 이후 식민지 전쟁과 새로운 식민지 정책이 끝났고, 보호 지역의 인프라 확대와 경제 활동의 확대로 식민지의 재정 상황은 상당히 개선되었고 수입과 지출의 균형을 향해 발전했다. 1904년, 아프리카 식민지의 대외 무역은 수입에서 40,672,000 마르크와 수출에서 20,821,000 마르크에 이르렀다. 1908년, 수입은 84,264,000 마르크, 수출은 37,726,000 마르크에 도달했습니다. 1912년아프리카 식민지는 수입은 128,478,000 마르크, 수출은 103,748,000마르크의 무역 실적을 내었다.

그럼에도 제국의 식민지들은 전체적인 독일 대외 무역에서 무시할만한 역할을 했다. 식민지 무역은 1914년 독일 대외 무역의 2.5% 미만을 차지했다. 식민지 무역은 장려되지 않았으며, 식민지는 외국 세관 정책으로 취급되었다. 식민지 수입은 독일 총 수입의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식민지에서 독일 제국으로 수입된 제품은 대부분 국내 수요의 아주 작은 부분만을 충족시킬 수 있었다. 독일령 남서아프리카의 구리와 다이아몬드를 제외하고는 세계 무역 시장에서 독일 제국의 위치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러므로 식민지들의 경제는 대부분 고려되지 않았다.

독일제국 중반 (~1930)

화학 산업

화학 분야에서의 활동은 독일의 고질적인 전략자원 부족을 해결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특히, 프리츠 하버에 의한 질산염 생산이 가능하게 되면서 독일의 빠른 인구성장을 지탱할 농업의 효율성을 증대했을뿐만 아니라 나아가 포탄과 같은 화약의 주 원료인 질산염의 해외 의존도를 극적으로 떨어뜨렸다. 암모니아는 1913년 독일 BASF의 오파우 공장에서 산업 규모로 하버 공정을 사용하여 처음으로 제조되었으며, 이듬해에는 하루 30 톤의 암모니아를 제조했다. 이후 1914년 독일 정부는 원자재 해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에리히 폰 팔켄하인 참모총장는 질산칼륨 계약을 통해 하버법의 대규모 산업적 적용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하버법 공정을 따르는 생산 공장 건설에 대한 재정 지원, 이 공정으로 생산되는 질산염의 정부 구매 보증을 포함한 질산염 공급을 약속받았다. 이후에 오파우의 대규모 공장 외에도 로이나(Leuna)와 비터펠드에 BASF의 추가 공장이 건설되었다. 1925년에 이르러서는 10개소 이상의 공장에서 공정을 통해 하루 약 850톤 이상의 질산염을 생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독일은 화약합성비료 분야에 가해지던 원자재 부족 문제를 해결했다. 다만, 이러한 공정에 가해지는 비경제성에 대해서 정부는 많은 압박을 받아야했다. 특히, 공정에 투입될 수소를 생산하기 위해 다량의 전력이 필요로 했는데, 이는 전적으로 독일 내에서 충당할 수 있었지만, 비용 문제는 오랫동안 독일 정부의 예산을 압박했다.

또한, 프란츠 피셔한스 트롭쉬1920년피셔-토롭시 공정을 개발하면서 석유 자원을 강한 수입 부담에서 해방시켰다. 이러한 FT공정을 통해서 독일 전역에서 채굴되는 석탄의 약 30.2%를 차지하는 갈탄을 석유의 대체제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1920년대 후반 BASFBayer가 공동으로 출범시킨 IG 파르벤을 통해서 이러한 공정을 산업규모로 확장시킬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앞선 선례를 가진 질산칼륨 계약과 거의 동일하게 국가에 대한 액화 석탄의 공급을 약속받았다. 이 과정에서 육해군의 이해관계에 맞게 수소화 공정과 FT공정의 적용 비율을 조정했다. 이러한 조정은 두 공정법의 상호보완성 때문이다. FT법을 통해서는 양질의 디젤을 주로 얻을 수 있었고, 수소화 공법을 통해서는 양질의 가솔린을 추출하는데 유리했다. 여기에서 독일 해군은 피셔-토롭시 공정에서 생성되는 양질의 디젤을 통해 함대를 기동할 수 있을 것이라 전망했다. 이러한 산업 계획의 한 축으로 디젤 기관과 관련된 기술 또한 MAN메르세데스-벤츠를 포함한 여러 분야의 산업체에 의해 빠르게 성장했다.

피셔-트롭쉬 공정을 이용한 합성 연료의 생산
생산시기 위치 운영자 공급 원료 연간 생산 능력
1940/41; 톤
1936 홀텐 루르화학 석탄 60.000
1934 루셀 빅터 광업 주식 회사 석탄 40.000
반네-아이켈 크루프 석탄 55.000
베르카멘 에센 탄광 석탄 85.000
도르트문트 허슈 석탄 55.000
1936 뫼르스 라인프로이센 석탄 75.000
1935 슈바르츠하이드 BRABAG 갈탄 180.000
뤼츠켄도르프 미텔도이체 석유 연료 산업 갈탄 30.000
데쇼비츠 샤프고츠 벤친 갈탄 40.000
총합 620.000
베르기우스-피어 공정에 따른 수소화 발전의 합성 연료 생산
생산시기 위치 운영자 공급 원료 연간 생산 능력
1940/41; 톤
1927 Leuna I.G. 파르벤 갈탄 650.000
1936 Böhlen BRABAG 갈탄 타르 250.000
1936 Magdeburg BRABAG 갈탄 타르 220.000
1936 Scholven-Buer 히베르니아 AG 석탄 280.000
1937 Bottrop-Welheim 루르석유 피치 (중합체) 130.000
1939 Gelsenberg 겔젠키르헨-벤친 AG 석탄 400.000
1939 Tröglitz/Zeitz BRABAG 갈탄 타르 280.000
1940 Lützkendorf 미텔도이체 석유 연료 산업 타르, 석유 050.000
1940 Pölitz 하이드리어베르케 푈리츠 AG 석탄, 석유 700.000
1941 Wesseling 라인 연합 갈탄 연료 AG 갈탄 260.000
1943 Brüx 북보헤미아 탄광 회사 AG 갈탄 타르 600.000
1943 Blechhammer 북슐레지안 수소공장 AG 갈탄, 타르 420.000
총합 4.230.000

독일 화학계에서는 이외에도 산업 필수자원 중 하나인 고무의 합성법을 개발해내었다. 1909년, 프리츠 호프만이 이끄는 독일 엘베르펠트 의 바이엘 연구팀 은 최초의 합성 고무이소프렌 중합에 성공했다. 하지만 산소와의 접촉에서 내구성이 약화되는 문제가 빈발하여 생산이 중단되었다. 그럼에도 1925년 화학자 발터 보크에 의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를 개발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이는 천연고무와 비슷한 성질을 가져 산업 전반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1920년 말까지 독일은 고무, 석유, 질산염에 대해서 상당한 해외의존도와 이에 따른 부담을 화학 산업에서 상당량 덜어낼 수 있었다. 또 다른 산업 필수자원이었던 알루미늄전기분해법이 개발된 이후로 값싸게 얻을 수 있었고, 국내에서 상당량 합성하여 상용할 수 있었다. 구리나 (니켈, 텅스텐, 크로뮴 등을 포함한) 희귀 금속에 대해서는 대체 금속이 있다면 이를 제조하는 것으로 부담을 덜 수 있었다. 특히 구리의 사용처 일부분은 알루미늄을 통해 대체할 수 있었다.

조선 산업

빌헬름 2세독일 황립해군이 세계 굴지의 해군력을 소유할 수 있기를 바랬다. 따라서 8번 이상의 함대법을 공포하며, 해군 규모를 확장시켰다. 이와 함께 영국-독일 해군력 경쟁에 의해 다량의 군함을 건조할 수 있어야했다. 대부분의 사업은 황립 조선소였던 카이저리히베르케에 투자되었다. 3대 해군 조선소였던 빌헬름스하펜, , 단치히 조선소와 군항은 꾸준히 규모를 확장했다. 평균적으로 4개 이상의 도크가 각각의 조선소에 신설되었다. 하지만, 과반의 군함 건조는 민간 조선사에 발주해야했다. 민간 조선사는 해외 조선업의 동향과 큰 상관없이 국내에서, 특히 해군의 주문을 충족하면서 사업 규모를 유지할 수 있었다.

1920년 후반에 이르러서는 군함의 예상 발주량을 높이 평가한 민간 조선소의 대부분은 도크 규모를 확장할 수 있었고, 국가에서는 많아진 발주량에 맞추어 민간 조선기업을 관리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철강 산업체부터 시작하여 운송 산업체, 조선 산업체에 이르기까지 조선 산업에 필요한 일련의 공정 과정을 묶음으로서 단가를 낮추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점에서 민간 조선소는 자금 부담을 상당히 덜 수 있었다. 1930년대에 이르러서 국가은행총재얄마르 샤흐트에 의해 상당 수의 민간 조선 산업체에 채권 발행권이 생기면서 엄청난 부흥기를 맞이했다. 이러한 채권 활용은 성공적이었고, 함대법에 정립된 해군 체계가 완성되면 그 이후 기간부터 국가은행에서 매입할 예정이었다.

블롬 운트 포스, 불칸 슈테틴, 불칸 베버, 쉬샤우베르케, 게르마니아베르프트, 호발츠베르케 등과 같은 대형 조선소는 군함 건조로 숙련공을 상당량 보유하게 되었고 이는 독일 조선업의 경쟁력을 상당히 끌어올렸다. 그 외에도 본래 민간 선박을 중심으로 수주하던 FSG와 같은 민간 조선소 또한 군함 수주에 뛰어드는 등 많은 산업체가 해군 아래에서 일했다. 이러한 구조는 각 지역 조선소, 철강 기업의 협력을 긴밀하게 만들었다.

오스트리아 합병 (1925)

군사

육군

해군

건함경쟁

파일:Battleships buildings in 1905 1940.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