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녕 (리반)의 묘호

리반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월 4일 (토) 22:46 판

문서 도움말: 데스크톱, 크롬, 제이위키 벡터 스킨 베이스 | 제작: 사용자:리반 | 문서 내 이미지들은 제작자의 창작물 혹은 CCL 기준에 따른 퍼블릭 도메인 기증(CC0)을 사용하고 있음을 밝힙니다.

이 문서는 공식 설정입니다.

이 문서는 공식 설정이므로 무단 수정은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단, 단순 오류 및 오타의 교정은 반달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동녕의 묘호(언어 오류(qp): 東寧ㄝ廟號)는 왕실 예법 중 하나이자 승하한 성주(星主)에게 주어지는 칭호로서 태묘(太廟, 혹은 종묘)에 위치한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때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묘호는 두 글자로 이루어지는데, 앞자는 시호법에 따라 군주의 치세와 업적을 뜻하는 글자인 시자(諡字)이고 뒷자는 ‘조’(祖) 또는 ‘종’(宗)을 붙이는 종호(宗號)이다. 군주와 신하 모두에게 바쳐질 수 있는 시호(諡號)와는 달리, 묘호는 오로지 종묘에 그 위패가 합사된 군주만이 받을 수 있는 미칭이다.

월랑 왕조의 성립 이후 제후국의 종묘 제도인 오묘제(五廟制)가 확립된 이래 외왕내제(外王內帝)와 함께 본격적으로 묘호와 종법 제도가 동녕에 전래되었다. 이런 묘호는 주로 후대 군주들이 선대 임금에게 높은 묘호를 올림으로서 자신의 정통성을 확립하려는 왕권 강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또한 중원 왕조에게 자국 군주에 대한 시호를 하사받는 '청시(請諡)의 예'를 행하지 않고 독자적인 시호와 종묘 체계를 사용함으로서 자주성을 강조했다.

종호를 붙일 때에는 세가지의 원칙이 있는데 가장 중요한 원칙은 "창업지주(創業之主)에게는 조(祖)를, 계체지주(繼體之主)에게는 종(宗)을 붙일 것"이다. 이는 후대에 이르러 '유공왈조, 유덕왈공'(有功曰祖、有德曰宗새로이 일어나면 조, 계승하면 종)이라는 원칙에 영향을 주었다. 허나 군주들이 자신의 선친의 추숭에 열을 올림에 따라 묘호는 모든 군주에게 적용되는 용법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