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녕 (리반)의 묘호

리반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28일 (토) 12:16 판 (리반님이 동녕의 묘호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동녕 (리반)의 묘호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문서 도움말: 데스크톱, 크롬, 제이위키 벡터 스킨 베이스 | 제작: 사용자:리반 | 문서 내 이미지들은 제작자의 창작물 혹은 CCL 기준에 따른 퍼블릭 도메인 기증(CC0)을 사용하고 있음을 밝힙니다.

이 문서는 공식 설정입니다.

이 문서는 공식 설정이므로 무단 수정은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단, 단순 오류 및 오타의 교정은 반달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동녕의 묘호(언어 오류(qp): 東寧ㄝ廟號)는 왕실 예법 중 하나이자 승하한 성주(星主)에게 주어지는 칭호로서 태묘(太廟, 혹은 종묘)에 위치한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때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묘호는 두 글자로 이루어지는데, 앞자는 시호법에 따라 군주의 치세와 업적을 뜻하는 글자인 시자(諡字)이고 뒷자는 ‘조’(祖) 또는 ‘종’(宗)을 붙이는 종호(宗號)이다. 군주와 신하 모두에게 바쳐질 수 있는 시호(諡號)와는 달리, 묘호는 오로지 종묘에 그 위패가 합사된 군주만이 받을 수 있는 미칭이다.

월랑 왕조(月狼王統)의 성립 이후 제후국의 종묘 제도인 오묘제(五廟制)가 확립된 이래 외왕내제(外王內帝)와 함께 본격적으로 묘호와 종법 제도가 동녕에 전래되었다. 이런 묘호는 주로 후대 군주들이 선대 임금에게 높은 묘호를 올림으로서 자신의 정통성을 확립하려는 왕권 강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또한 중원 왕조에게 자국 군주에 대한 시호를 하사받는 '청시(請諡)의 예'를 행하지 않고 독자적인 시호와 종묘 체계를 사용함으로서 자주성을 강조했다. 회온 왕조(懷穩王統) 때에는 천자국이 사용하는 칠묘제를 도입한 것도 이런 점에서 기인되었다. 이 때문에 만력제 시기의 찬획사(贊劃使)로 파견된 신준경(申峻炅)이 동녕이 황제국의 고유한 관습으로 일컫던 칭조존상(稱祖尊上)[1]을 참칭한다며 문책해 줄 것을 주청하기도 했다.

종호를 붙일 때에는 세가지의 원칙이 있는데 가장 중요한 원칙은 "창업지주(創業之主)에게는 조(祖)를, 계체지주(繼體之主)에게는 종(宗)을 붙일 것"이다. 이는 후대에 이르러 '유공왈조, 유덕왈공'(有功曰祖、有德曰宗새로이 일어나면 조, 계승하면 종)이라는 원칙에 영향을 주었다. 허나 군주들이 자신의 선친 추숭에 열을 올림에 따라 묘호는 모든 군주에게 적용되는 방향으로 변질되었다. 특히나 정통성을 이유로 선대 묘호를 함부로 추탈할 수 없었고 선시(善諡)를 남발하는 경우도 잦았다.[2]

현대의 묘호

오늘날의 동녕에서는 선왕이 승하한 후 종묘와 사직을 관할하는 침원서(寢園署)에서 묘호와 함께 시호, 능호 등을 함께 결정하며, 일반적으로 국내 여러 학자들에게 추천받은 후보 묘호들 가운데 정담회(鼎談會) 등을 거쳐 3개 안으로 좁힌다.[3] 이를 수망(首望), 부망(副望), 말망(末望)이라고 지칭하며 삼망단자(三望單子)로 부른다. 그 후에는 지식인 6인, 참정원·민의원 의장 등이 배석한 자리에서 투표를 거쳐 선정된다. 현임 성주가 참석하지 않는 이유는 전근대에 있던 취지 변질에 대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다. 또한 자주 독립 이후부터 기존 묘호가 겹치지 않도록 하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4]

2016년, 영화주(永和主)의 사후 묘호가 '신종'(神宗)으로 결정된 것에서 시법(諡法)에 의거했을 때 좋은 의미를 향유하지 못한다고 김회은 시종원경(侍從院卿)의 트위터 발언이 논란이 되기도 했다. 귀화 민속학자로 유명한 에른스트 리(ㄦㄋㄙㄊ李) 동미대 교수는 신(神)은 시법에서 민무능명(民無能名), 즉 백성들이 이름을 형언할 수 없을 정도로 영화 시대가 별볼일 없었다고 보일 수 있다며 지적했다. 역사학자 이안조(李安助)는 이런 말씀 드리기 그렇지만, 부적절한 묘호를 선정한 것 같아 아쉽다 ...(생략)... 더 좋은 묘호도 많았을텐데 아쉬운 결정이다며 의구심을 표했다. 실제로 이에 기인하여 일부 우익 인사들이 묘호 교체를 요구하며 가두 시위를 진행했다. 물론 침원서내각이 "영화 시대를 격하하려던 의도는 없었으며, 시법에 따라 국민들이 말로 꾸미지 않아도 될 평화를 누렸다는 점을 상기시키코자 했다."며 해명하면서 논란은 점차 일축되었다.[5]

같이보기

각주

  1. "조"를 칭하여 높이 받든다, 즉 선왕들에게 묘호를 바치는 행위를 일컫는다
  2. 천루문헌비고(天樓文獻備考) 제198권 萬國見行諡法
  3. 연호를 선정하는 방식도 이와 동일하다. 차이점은 연호는 침원서에서 후보안을 결정하지 않는다.
  4. 동녕, 일본과 함께 유이한 왕실 연호 사용국, 그 이유는? 이뮨신보 2019년 4월 1일자
  5. 특파원칼럼 '영화 시대' 의 묘호 헤프닝, 천혼신문 2019년 10월 2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