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크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언어 정보
{{언어 정보
| 이름 = 격어
| 이름 = 슬라크어
| 자기이름 = Γɛr laŋ
| 자기이름 = ?? laŋ
| IPA = [e gjʌk ɾεŋ]
| IPA = [ ɬak ɾεŋ]
| 나라 = 공화국
| 나라 = 슬라크 공화국
| 지역 = 공화국 전 지역
| 지역 = 슬라크 공화국 전 지역
| 민족 = 격족
| 민족 = 슬라크족
| 인구 = 약 3300만명
| 인구 = 약 3300만명
| 어순 = SVO
| 어순 = SVO
| 문자 = 문자 ( 그리스 문자 ),  로마자
| 문자 = 슬라크 문자,  로마자
| 계통1 = 인도유럽어족
| 계통1 = 인도유럽어족
| 계통2 = 격어파
| 계통2 = 슬라크어파
| 계통3= 조어
| 계통3= 슬라크 조어
| 방언 = 표준어, 북부 방언, 서부 방언, 동부 방언
| 방언 = 표준어, 북부 방언, 서부 방언, 동부 방언
| 표기문자 = 문자
| 표기문자 = 슬라크 문자
| iso1 = GE
| iso1 = GE
| iso2 = GEK
| iso2 = GEK
22번째 줄: 22번째 줄:




'''격어'''<small>(격어: ή Γʌŕ Lαŋ)</small>는 공화국 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슬라크어'''<small>(슬라크어: ?? Lαŋ)</small>는 슬라크 공화국 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명칭==
==명칭==


{{사트 언어2
{{사트 언어2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국기 쓰기}} 격어
| 처음언어 = {{국기그림|*국기 쓰기}} 슬라크어
| 처음언어_내용 = Γɛr laŋ
| 처음언어_내용 = ??laŋ
| 한국어 = 격어
| 한국어 = 슬라크어
| 영어 = Gyekese
| 영어 = Slaquese
| 일본어 =ギョーク語
| 일본어 =スラク語
}}
}}


38번째 줄: 38번째 줄:
==역사==
==역사==
==문자==
==문자==
격어의 문자는 문자가 있다.
슬라크어의 문자는 슬라크 문자가 있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608번째 줄: 608번째 줄:
| style="font-size:100%;" |
| style="font-size:100%;" |
|}
|}
격어의 자음은 중 파열음은 유성음 /b/,/d/,/g/, 무성유기음 /pʰ/,/tʰ/,/kʰ/, 무성무기음 /p˭/,/t˭/,/k˭/으로 나뉜다. 셋을 줄여서 평음,격음,경음으로 부른다.
슬라크어의 자음은 중 파열음은 유성음 /b/,/d/,/g/, 무성유기음 /pʰ/,/tʰ/,/kʰ/, 무성무기음 /p˭/,/t˭/,/k˭/으로 나뉜다. 셋을 줄여서 평음,격음,경음으로 부른다.
문자로는 유성음, 무성음 (b,p)와 같이 두가지만 있지만 상황에 따라 음운이 달라진다. 음운을 표시할 때 /pʰ/,/tʰ/,/kʰ/는  ʰ를, /ʃʷ/,/ʒʷ/는 ʷ를 생략하고 쓴다.
문자로는 유성음, 무성음 (b,p)와 같이 두가지만 있지만 상황에 따라 음운이 달라진다. 음운을 표시할 때 /pʰ/,/tʰ/,/kʰ/는  ʰ를, /ʃʷ/,/ʒʷ/는 ʷ를 생략하고 쓴다.
*밑줄은 현대 격어에서 거의 사라진 음운이다. /ɢ/는 /g/,/k/로, /ʍ/는/w,hʷ/로 흡수되고 있다.
*밑줄은 현대 슬라크어에서 거의 사라진 음운이다. /ɢ/는 /g/,/k/로, /ʍ/는/w,hʷ/로 흡수되고 있다.
* 취소선은 변이음으로만 존재하는 음운이다.
* 취소선은 변이음으로만 존재하는 음운이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837번째 줄: 837번째 줄:
|}
|}


*밑줄은 현대 격어에서 거의 사라진 음운이다. /ɨ/는 /i/에, /ʌ/는 /ə/에, /ɔ/는 /o/로 흡수되고 있다.
*밑줄은 현대 슬라크어에서 거의 사라진 음운이다. /ɨ/는 /i/에, /ʌ/는 /ə/에, /ɔ/는 /o/로 흡수되고 있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882번째 줄: 882번째 줄:
==문법==
==문법==
===특징===
===특징===
다른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처럼 고대 격어에는 굴절이 많았으나, 현재에는 굴절이 거의 없어졌다.
다른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처럼 고대 슬라크어에는 굴절이 많았으나, 현재에는 굴절이 거의 없어졌다.
시제와 상, 서법은 다른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보다 간단하다.
시제와 상, 서법은 다른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보다 간단하다.
또, 이웃 관계 문화가 발달되어 있어 격식 표현이 있다.
또, 이웃 관계 문화가 발달되어 있어 격식 표현이 있다.
888번째 줄: 888번째 줄:


===통사론===
===통사론===
격어는 고립-교착어로, 고립어와 교착어의 성질을 둘 다 가지고 있다. 또한 굴절어의 성질도 가지고 있다.
슬라크어는 고립-교착어로, 고립어와 교착어의 성질을 둘 다 가지고 있다. 또한 굴절어의 성질도 가지고 있다.
어순은 S V O 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어순은 S V O 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주어와 동사(술어)는 무조건 고정되어 있지만, 그 후 나오는 목적어들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주어와 동사(술어)는 무조건 고정되어 있지만, 그 후 나오는 목적어들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2022년 11월 29일 (화) 02:07 판

슬라크어
?? laŋ(IPA: [ ɬak ɾεŋ])
사용 국가 슬라크 공화국
사용 지역 슬라크 공화국 전 지역
사용 민족 슬라크족
언어 인구 약 3300만명
어순 SVO
문자 슬라크 문자, 로마자
언어 계통 인도유럽어족
 슬라크어파
  슬라크 조어
   슬라크어
언어 부호
ISO 639-1 GE
ISO 639-2 GEK
ISO 639-3 GEK



슬라크어(슬라크어: ?? Lαŋ)는 슬라크 공화국 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명칭

언어 명칭
틀:나라자료 *국기 쓰기 슬라크어 ??laŋ
대한민국 한국어 슬라크어
영국 영어 Slaquese
일본 일본어 スラク語


계통

역사

문자

슬라크어의 문자는 슬라크 문자가 있다.

문자 로마자 문자명 음소 비고
A ɑ A a apπa /a/ 모음
Λ ʌ Á á ʌpτo /ʌ/ 모음
B b B b baτa /b/ 자음
Б v V v vɲe /v/ 자음
Г r(г) G g roc /g/ 자음
F γ GH gh γaγ /ɣ/ 자음
D d D d depτ /d/ 자음
Δ δ DH dh δii /ð/ 자음
Ӡ ӡ Ǵ ǵ ӡeξ /ʒ/ 자음
E e E e eii

/e/

모음

C ε

É é ετa /ə/ 모음

Y y

Y y y /ɯ/ 모음
W ω W w waa /w/ 모음
Z ζ Z z ζair /z/ 자음
H h H h hepτ /h/

자음

И ɲ EH eh ɲenac /ɦ,e/ 자모음
X x X x xa /x/ 자음
Θ θ TH th θejŋ /θ/ 자음
I i I i io /i/ 모음
J j J j jarpτ /j/ 모음
Ц ɥ IJ ij ɥoqa /i:/ 복모음
Щ ɰ IIJ iij ɰoqo /i:/ 복모음
Κ κ K k κapo /k/ 자음
L l L l lem /l/ 자음

M m

M m am /m/ 자음
N n N n an /n/ 자음
П ŋ NG ng oŋo /ŋ/ 자음
O o O o oice /o/ 모음
Ө ɔ Ő ő ɔ̃πτ /ɔ/ 모음
Л π P p πi /p/ 자음
Q q Q q qe /q,k/ 자음
P p(ρ) R r po /r/ 자음
Σ c S s ci /s/ 자음
З з C c ceh /sʰ/ 자음
Σ̩ ς SH sh davlo ci /s,sʰ/ 특부호
T τ(т) T t tauyi /t/ 자음
U u U u jutaj /u/ 자음
Φ φ F f φeqʌ /f/ 자음
Ψψ PS ps ψoci /p͡s/ 자음
Ξ ξ KS ks aξa /k͡s/ 자음
Ω ω Ó ó ωibe /o/ 모음
  • 모음 : ɑ ʌ e ε y w ɲ i j o ó
  • 자모음 :
  • 자음 : b v
  • 특부호 : ς : 명사의 접미사로 단수를 복수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동사에 붙어 동사의 뜻을 바꾸기도 한다.

다중 문자

  • ai : /ɛ/

수정해야함.

추가 부호

격 문자에는 음을 바꾸는 변음부호와, 변의 부호가 있다. 이 둘은 각각 문자의 위, 아래에 붙어 소리와 뜻을 변화시킨다.

변음 부호

  • 장음 부호( Leŋ cuc ) : 모음에 ̃가 붙어 장음을 만든다.
예시) a /a/ -> ã /a:/
  • 불파음 부호( Bpiκo cuc ) : 파열음에 ̀가 붙어 불파음으로 만든다.
예시) κ /k/ -> k̚ /k̀/

변의 부호

음운

자음

IPA 자음 음운 표
양순음 순치음 치음 치경음 후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성문음
비음 m ɱ n ɳ ɲ ŋ ɴ
파열음 pʰ,p˭ b tʰ,t˭ d ʈ ɖ kʰ,k˭ g ɢ ʔ
파찰음 t͡s d͡z t͡ʃ d͡ʒ
마찰음 ɸ β f v θ ð s z ʃʷ ʒʷ x ɣ χ ʁ h ɦ
접근음 j ɰ
양순마찰음 ʍ
양순접근음 w
설측접근음 l
전동음 r
탄음 ɾ

슬라크어의 자음은 중 파열음은 유성음 /b/,/d/,/g/, 무성유기음 /pʰ/,/tʰ/,/kʰ/, 무성무기음 /p˭/,/t˭/,/k˭/으로 나뉜다. 셋을 줄여서 평음,격음,경음으로 부른다. 문자로는 유성음, 무성음 (b,p)와 같이 두가지만 있지만 상황에 따라 음운이 달라진다. 음운을 표시할 때 /pʰ/,/tʰ/,/kʰ/는 ʰ를, /ʃʷ/,/ʒʷ/는 ʷ를 생략하고 쓴다.

  • 밑줄은 현대 슬라크어에서 거의 사라진 음운이다. /ɢ/는 /g/,/k/로, /ʍ/는/w,hʷ/로 흡수되고 있다.
  • 취소선은 변이음으로만 존재하는 음운이다.
일반 자음 음운 표 *( 수정필요)
양순음 순치음 치음 치경음 후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성문음
비음 m n ɳ ɲ ŋ
파열음 pʰ,p˭ b tʰ,t˭ d ʈ ɖ kʰ,k˭ g ʔ
파찰음 t͡s d͡z t͡ʃ d͡ʒ
마찰음 ɸ β f v θ ð s z ʃʷ ʒʷ x ɣ χ h ɦ
접음 l j ʍ w,ɰ
유음 r

이중자음

  • ps, ts, ks ****
  • rm, rn, rŋ

모음

음성학 모음 분류표

IPA 모음 음운 표

전설

중설 후설
평순 원순
i ɨ ɯ u

중고

e o
ə
중저 ɛ ʌ ɔ
ɐ
  • 밑줄은 현대 슬라크어에서 거의 사라진 음운이다. /ɨ/는 /i/에, /ʌ/는 /ə/에, /ɔ/는 /o/로 흡수되고 있다.
일반 모음 음운 표
전설 중설 후설
평순 원순
고모음 i /i/ y /ɯ/ u /u/
중모음 e /e/ ε /ə/ o /o/
저모음 ai /ɛ/ a /ɐ/

발음

음 동화

  • 경구개음화 : /n/과 반모음 /j/가 만나면 /ɲ/가 된다.
  • (불규칙)구개수음화 : /n/가 /ɴ/로 바뀐다.
  • 순치음화 : /m/ 과/ f/,/v/(순치음)가 만나면 /m/가 /ɱ/가 된다. (cf. amvou /aɱvo:/
  • 유성음화 : 모음 사이의 /s/는 /z/가 된다. (cf. ecajc /ezaic/ )
  • 비음화 : /b/, /d/, /g/가 /m/,/n/,/ŋ/(비음) 앞에서 각각 /m/,/n/,/ŋ/로 바뀐다. (cf. abna /amna/ )

문법

특징

다른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처럼 고대 슬라크어에는 굴절이 많았으나, 현재에는 굴절이 거의 없어졌다. 시제와 상, 서법은 다른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보다 간단하다. 또, 이웃 관계 문화가 발달되어 있어 격식 표현이 있다.


통사론

슬라크어는 고립-교착어로, 고립어와 교착어의 성질을 둘 다 가지고 있다. 또한 굴절어의 성질도 가지고 있다. 어순은 S V O 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주어와 동사(술어)는 무조건 고정되어 있지만, 그 후 나오는 목적어들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명령문 *

품사론

명사

명사는 크게 유정명사, 무정명사로 나뉜다. 유정명사는 나, 돼지, 친구들 처럼 감정이 있는 것을 지칭하는 명사이다. 유정명사는 인(人)명사, 동물(動物)명사로 나뉜다. 무정명사는 구름, 강, 빌딩 처럼 감정이 없는, 사물 등을 지칭하는 명사이다. 명사 대부분은 이 무정명사에 속한다.

명사의 변형

명사는 격, 수, 관사에 따라 뜻이 변화한다. 관사는 명사 앞에 띄어서 붙인다. 다른 언어의 관사와 달리 명사의 변형 정도 개념이다. 격과 수는 중세 격어까지는 모든 명사가 굴절되었었지만, 지금은 인칭대명사를 제외하고는 접사가 붙는 형태로 되었다.

격은 명사를 전치수식하거나, 접미 하여 뜻을 더하는 명사의 변형 형태이다. 격은 형태가 전치격과 접미격이 있다.


격어의 수는 다른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과 달리 수의 개념이 거의 사라졌다.

복수를 쓸 때는 명사 뒤에 s를 붙여 만든다. 복수의 의미를 강조 할 때는 접미사 s + S관사를 붙여 만든다.


관사

격어에서의 관사는 독자적인 품사보다는 명사에 딸린 접두사 정도이다. 관사는 여러 개를 같이 쓸 수 있다. (순서는 반드시 아래의 순서대로 써야한다.)

  • 정관사
  • 부정관사
  • 인명관사 J /je/
  • 지명관사 J /jo/
  • 복수관사 S /s/,/su/
대명사
지시대명사

이-

저- 그-
인명사 diman' d'aman' tuman'
이 사람 저 사람

그 사람

동물명사 diono

d'aono

tuono

이 동물 저 동물 그 동물
사물명사 di d'a tu
이것 저것 그것
처소사 digou d'agou tugou
여기(이곳) 저기(저곳) 거기(그곳)
인칭대명사
수사

동사

동사는 어근에 동사 접사를 붙여 만든다.

p
t
k


태는 능동태, 수동태, 강제수동태가 있다. 강제수동태는 수동태에서 강제로 당하는 것을 강조하는것이다. 의지수동태는 동사에 접두사 do- 를 붙이고, 강제수동태는 동사에 접두사 pdo- 를 붙인다. 예시) 먹다 : itu's 먹임당하다 : do-itu's 강제로 먹임당하다 pdo-itu's

조동사

가능 can

허가 can

추측 일 수도 있다 may

반추측 일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다

제안

소망 want

권유,청유

약명령

강명령

무조건 할것이다

형용사

지시형용사
지시형용사
din
d'an
tun

부사

의문사

수식사

접사

어휘

인사말

인명

지명

방언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