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어
ή rʌŕ Lαŋ(IPA: [e gjʌ̹k̚ ɾæŋ])
사용 국가 격 공화국
사용 지역 격 공화국 전 지역
사용 민족 격족
언어 인구 약 3300만명
어순 SVO
문자 격 문자 ( 그리스 문자 )
언어 계통 인도유럽어족
 격어파
  격 조어
   격어
언어 부호
ISO 639-1 GE
ISO 639-2 GEK
ISO 639-3 GEK



격어(격어: ή Γʌŕ Lαŋ)는 격 공화국 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명칭

언어 명칭
틀:나라자료 *국기 쓰기 격어 ή Γʌŕ Lαŋ
대한민국 한국어 격어
영국 영어 Gyekese
일본 일본어 ギョーク語


계통

역사

문자

음운

자음

양순음 순치음 치음 치경음 후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성문음
비음 m ɱ n ŋ
파열음 p b t d k g q ɢ ʔ
파찰음 t͡ʃ d͡ʒ
마찰음 ɸ β f v θ ð s z ʃ ʒ ɕ x ɣ χ h ɦ
접근음 j ɰ
양순마찰음 ʍ
양순접근음 w
설측접근음 l
탄음 ɾ
  • 밑줄은 현대 격어에서 거의 사라진 음운이다.
  • 취소선은 변이음으로만 존재하는 음운이다.
  • n과 반모음 j가 만나 ȵ가 된다.

모음

전설 중설 후설
평순 원순
i ɨ ɯ u
중고 e o
ə
중저 ɛ ʌ ɔ
ɐ


문법

특징

다른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처럼 고대 격어에는 굴절이 많았으나, 현재에는 굴절이 거의 없어졌다. 시제와 상, 서법은 다른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보다 간단하다. 또, 이웃 관계 문화가 발달되어 있어 격식 표현이 있다.


통사론

격어는 고립-교착어로, 고립어와 교착어의 성질을 둘 다 가지고 있다. 또한 굴절어의 성질도 가지고 있다. 어순은 S V O 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주어와 동사(술어)는 무조건 고정되어 있지만, 그 후 나오는 목적어들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품사론

명사

명사는 크게 유정명사, 무정명사로 나뉜다. 유정명사는 나, 돼지, 친구들 처럼 감정이 있는 것을 지칭하는 명사이다. 유정명사는 인(人)명사, 동물(動物)명사로 나뉜다. 무정명사는 구름, 강, 빌딩 처럼 감정이 없는, 사물 등을 지칭하는 명사이다. 명사 대부분은 이 무정명사에 속한다.

명사의 변형

명사는 격, 수, 관사에 따라 뜻이 변화한다. 관사는 명사 앞에 띄어서 붙인다. 다른 언어의 관사와 달리 명사의 변형 정도 개념이다. 격과 수는 중세 격어까지는 모든 명사가 굴절되었었지만, 지금은 인칭대명사를 제외하고는 접사가 붙는 형태로 되었다.

격은 명사를 전치수식하거나, 접미 하여 뜻을 더하는 명사의 변형 형태이다. 격은 형태가 전치격과 접미격이 있다.


격어의 수는 다른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과 달리 수의 개념이 거의 사라졌다.

복수를 쓸 때는 명사 뒤에 s를 붙여 만든다. 복수의 의미를 강조 할 때는 접미사 s + S관사를 붙여 만든다.


관사

격어에서의 관사는 독자적인 품사보다는 명사에 딸린 접두사 정도이다. 관사는 여러 개를 같이 쓸 수 있다. (순서는 반드시 아래의 순서대로 써야한다.)

  • 정관사
  • 부정관사
  • 인명관사 J /je/
  • 지명관사 J /jo/
  • 복수관사 S /s/,/su/
대명사
지시대명사
이- 저- 그-
인명사 diman' d'aman' tuman'
이 사람 저 사람 그 사람
동물명사 diono d'aono tuono
이 동물 저 동물 그 동물
사물명사 di d'a tu
이것 저것 그것
처소사 digou d'agou tugou
여기(이곳) 저기(저곳) 거기(그곳)
인칭대명사
수사

동사

동사는 어근에 동사 접사를 붙여 만든다.

p
t
k


태는 능동태, 수동태, 강제수동태가 있다. 강제수동태는 수동태에서 강제로 당하는 것을 강조하는것이다. 의지수동태는 동사에 접두사 do- 를 붙이고, 강제수동태는 동사에 접두사 pdo- 를 붙인다. 예시) 먹다 : itu's 먹임당하다 : do-itu's 강제로 먹임당하다 pdo-itu's

형용사

지시형용사
지시형용사
din
d'an
tun

부사

수식사

접사

어휘

방언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