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타니아 제국 황제
[ 펼치기 · 접기 ]
에드워드 7세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선정 위대한 영국인
[ 펼치기 · 접기 ]
90년 대영제국의 황립 공영 방송인 BBC가 대영제국 신민 800만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영국인 100인"의 명단을 공개한 순위이다.
1위 2위 3위 4위 5위
프레더릭 3세 아이작 뉴턴 빅터 피어슨 엘리자베스 1세 커트 코베인
6위 7위 8위 9위 10위
토머스 모어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존 드레이퍼슨 에드워드 7세 리처드 해밀턴
같이 보기 : 위대한 인물 시리즈

브리타니아 제국 태상황
[ 펼치기 · 접기 ]

브리타니아 제국 황태자 · 황태손
[ 펼치기 · 접기 ]

중화제국 황제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태조 선황제 명종 강황제 순종 명황제
제4대 제5대 제6대
정종 순황제 열종 문황제 태륭제
추존
고조 태황제 · 신조 장황제 · 경조 민황제 · 조조 중황제 · 의조 성황제 · 효조 현황제 · 숙조 정황제 · 연조 희황제 · 문조 선황제 · 상조 종황제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수 · 당
오대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인도제국 황제
[ 펼치기 · 접기 ]

독일 제국 황제
[ 펼치기 · 접기 ]
호엔촐레른 황조
초대 제2대 제3대
빌헬름 1세 프리드리히 3세 빌헬름 2세
화이트로이드 황조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에드바르트 7세 프리드리히 5세 게오르크 4세 게오르크 5세
브리타니아 제국 황제

일본국 국왕
[ 펼치기 · 접기 ]

포르투갈 국왕
[ 펼치기 · 접기 ]
보르고냐 왕조
아폰수 1세 산슈 1세 페드루 1세 페르난두 1세
보르고냐 왕조
아비스 왕조
베아트리스 주앙 1세 두아르트 1세 주앙 2세
아비스 왕조
아폰수 5세 주앙 2세 마누엘 1세 주앙 3세
아비스 왕조
압스부르구 왕조
세바스티앙 엔히크 안토니우 필리프 1세
압스부르구 왕조
브라간사 왕조
필리프 2세 필리프 3세 주앙 4세 아폰수 6세
브라간사 왕조
페드루 2세 주앙 5세 주제 1세 마리아 1세
브라간사 왕조
미겔 1세 미겔 2세 미겔 3세 마리아 2세
브라간사 왕조
마리아 3세 페드루 2세 카를루스 1세 페드루 3세
브랜카로이즈 왕조
에두아르두 7세 프레데리쿠 5세 조르즈 4세 조르즈 5세
브리타니아 제국 황제
인도제국 제5대 황제
브리타니아 제국 제3대 황제
에드워드 7세 | Edward VII
중화제국 제3대 황제
순종 명황제 | 順宗 明皇帝
敬天昌運建中表正文武英明寬仁信毅睿聖大孝至誠明皇帝
경천창운건중표정문무영명관인신의예성대효지성명황제'
이름 에드워드 앨버트 패트릭 화이트로이드
Edward Albert Patrick Whitelloyd
출생 B.B. 21년 5월 5일
브리타니아 제국 아메리카 임페리얼 캐피톨 화이트로이드궁
대관식 16년 12월 5일
브리타니아 제국 아메리카 임페리얼 캐피톨 아일스버리궁
사망 60년 5월 17일 (향년 81세)
브리타니아 제국 캐나다 토론토 브로미치궁
능묘 헌릉(獻陵)
국적 브리타니아 제국
재위 브리타니아 제국 황태손
0년 1월 1일 - 8년 9월 10일
(8년 8월 1주 2일, 3,174일)
브리타니아 제국 황태자
8년 9월 11일 - 16년 10월 17일
(8년 1월 6일, 2,958일)
브리타니아 제국 황제
16년 10월 18일 - 56년 10월 18일
(40년, 14,610일)
브리타니아 제국 태상황
56년 10월 18일 - 60년 5월 17일
(3년 6월 4주 1일, 1,307일)
[ 펼치기 · 접기 ]
화(化)
청선(淸善)
연호 천경(天慶)
존호 신서(伸瑞)
시호 경천창운건중표정문무영명관
인신의예성대효지성명황제
(敬天昌運建中表正文武英明寬仁
信毅睿聖大孝至誠明皇帝)
칸호 토로 게렐투(ᠲᠥᠷᠥ ᠭᠡᠷᠡᠯᠲᠦ)
묘호 순종(順宗)
아호 광필(光苾)
부모 부군 프레더릭 4세 (B.B. 51 - 17)
엘리자베스 서튼 (B.B. 44 - 38)
자매 앤 앨리스 화이트로이드 (B.B. 17 - 59)
자녀 프레더릭 5세 (3 - 79)
신장 178cm
학력 세인트 조지 군사학교 (졸업)
종교 황제교

개요

브리타니아 제국중화제국의 제3대 황제이자, 인도 제국의 제5대 황제이다.

상세

선황의 시대에 터진 경제 대공황을 수습하여 경제적 번영의 기초를 다졌으며, 재위 초에 브리타니아 제국-일본 전쟁이 일어났을때 브리타니아 제국을 이끌고 전쟁에서 승리하였다. 이후 말년인 50년대에는 조용한 혁명으로 불리는 사회 개혁의 분위기 속에서 전제군주적인 권한을 일정부분 감소시키고, 평민들의 권한을 확대하는 진보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업적 때문에 창업군주인 프레더릭 3세와 더불어 브리타니아 제국 내에서 가장 존경받는 군주로 꼽힌다. 브리타니아 제국이라는 초강대국의 기틀을 다진 것이 프레더릭 3세였다면, 에드워드 7세의 치세에는 본격적으로 초강대국으로서의 브리타니아 제국의 모습이 드러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총 40년간 재위하여[1] 브리타니아 제국의 황제중 가장 오랜기간 재위하였으며,[2] 동시에 81세까지 장수하였기에 역대 브리타니아 제국의 황제중 가장 장수하기도 하였다.

생애

어린 시절

프레더릭 4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동서고금의 학자들이 쓴 책들을 두루 접하는 것을 꺼리지 않아 할아버지인 프레더릭 3세의 사랑을 듬뿍 받았다. 유교 성리학, 불교, 힌두교 등 동양 종교에 특히 많은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 관심을 둔 또다른 대상으로는 문학이 있다. 알렉산더 포프, 존 밀턴, 존 던과 같은 고전 시인들의 문학 뿐만 아니라 비교적 최근의 문학까지 읽으면서 소양을 넓혔다.

황제 섭정과 대공황 극복

프레더릭 4세는 어려서도 병약하였는데, 황제에 즉위하였을때는 60세라는 고령의 나이였다. 선황 프레더릭 3세가 무려 62년동안이나 재위했기 때문이었다. 초기에는 비교적 건강했지만 3년만에 인도에서 얻은 말라리아가 각종 합병증으로 나타나면서 사경을 해매는 지경에 이른다. 정상적인 업무가 거의 불가능했기 때문에 이때부터 황태자인 에드워드 7세가 황제의 업무를 거의 대부분 대신하게 되었으며, 9년에는 공식적으로 브리타니아 제국 황제 섭정을 맡게 되었다.

이 시기에는 브리타니아 제국이 경제 대공황으로 어려운 시점이었으므로, 기존에 정당 중심으로 구성되던 내각을 해체하고 경제 전문가, 즉 테크노크라트로 구성된 거국 내각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섭정 시절부터 에드워드 7세와 함께했던 거국 내각은 이후 일본과의 전쟁을 끝낼때까지 연장되며, 브리타니아 제국의 무너진 경제를 복구하는데 큰 도움을 줬다. 에드워드 7세는 경제적인 지식이 얕았던 탓에, 내각에 대부분의 업무를 맡기는 한편으로는 스스로도 경제학 공부를 하여 내각과 정책의 방향을 토론하기도 하였다.

이런 에드워드 7세의 대공황 극복 노력은 프레더릭 4세의 사후 직접 황제로 즉위하면서도 이뤄졌으며, 이러한 노력의 끝에 브리타니아 제국은 대공황의 어려운 시절로부터 벗어나 다시 경제적으로 회복할 수 있게 되었다.

브리타니아 제국-일본 전쟁

대공황이 지속되면서 정치가 혼란해져, 군부가 정치권을 장악한 일본이 폭주하며 기존 패권이었던 조선-대만-만주 외에 중화제국 본토와 인도차이나까지 위협하자, 브리타니아 제국 정부는 일본에 대한 석유 수출 금지령을 발표했다. 일본은 당시 브리타니아 제국으로부터 석유의 70%를 수입하고 있었으므로 이는 일본의 경제적 파산으로 이어지는 일이었다. 일본제국 군부는 더이상 브리타니아 제국과의 전쟁을 막을 수 없음을 선언하고, 브리타니아 제국의 해군 군사기지가 있던 하와이와 브리타니아 제국 동남아시아 중앙 군사본부가 있던 필리핀을 공격하였다.

전쟁 초반기에는 일본의 급습 때문에 필리핀이 함락되고, 태평양 주요 섬은 물론 인도차이나와 중화제국 본토까지 일본에게 유린당하는 피해를 입었다. 일본은 동아시아인들의 주권은 동아시아인들에게 있음을 주장하며, 브리타니아 제국 식민지 주민에게 봉기할것을 종용했고 그 결과 곳곳에서 반영친일 폭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일본과 브리타니아 제국의 국력 차이는 매우 극명하였으므로 전쟁 자체가 일본에게는 매우 불리한 판이었다. 거기다가 일본은 점령지에서 학살, 강간, 약탈 등 각종 전쟁 범죄를 저지르면서 일본이 주장하는 대동아공영권이라는 것도 브리타니아 제국 식민지 주민들의 지지를 잃게 되었다.

에드워드 7세는 이러한 상황을 완전히 반전시키고자, 식민지 주민과 브리타니아 제국 주민간의 평등 권리를 선언하였다. 전쟁이 끝나고 안정화가 된다면 더이상 브리타니아 제국 본토 주민들의 특권으로 인해 피해를 보는 식민지 주민들이 없도록 식민지에도 본토와 똑같은 법률을 적용하겠다는 것이었다. 이는 식민지 주민들에게도 큰 지지를 받으면서 일본의 처지는 약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에드워드 7세가 직접 중화제국 본토를 위험을 무릅쓰고 방문하여 전쟁 참여를 독려하는 등의 행보를 보이면서 국민들의 사기도 올라갔다.

이 상황에서 소련까지 일본과의 전쟁에 참여하면서 일본은 패전을 거듭하였다. 1945년 수도인 도쿄를 비롯하여 3개 주요 도시(도쿄, 기타큐슈, 니가타)에 핵공격을 받은 일본제국은 항복하였고, 만주, 대만, 조선 그리고 일본 본토가 모두 브리타니아 제국의 식민지로 편입되었다.

전후 브리타니아 제국의 영향력 확장

브리타니아 제국-일본 전쟁 종전 직후에는 영국의 반 식민지가 되어있던 포르투갈 왕국을 브리타니아 제국의 제후국으로 삼았다. 페드루 3세의 사망으로 브라간사 왕조의 혈통이 끊긴 상태에서 화이트로이드 황조의 수장인 자신이 포르투갈 왕국의 국왕직을 이어받게한 것이다. 이로서 브리타니아 제국의 패권은 남아메리카까지 뻗었으며, 얼마 이후에는 아르헨티나도 총독령으로 삼으면서 아메리카 대륙의 80% 이상을 차지했다.

조용한 혁명

30년 인도차이나 독립을 요구하는 시위대가 베트남과 라오스 지역을 중심으로 들고 일어섰다. 이때는 그저 흔한 폭동으로 취급되어 진압되었으나 40년대에는 더욱 과격한 양상의 준내전이 벌어졌다. 인도차이나 지역에서 특히나 독립 운동이 더욱 거셌던 것은 브리타니아 제국으로부터의 수탈 뿐만 아니라, 중화제국과 인도제국, 즉 "제2대영 본토" 출신의 유력자들까지 이들을 착취해갔기 때문이다. 에드워드 7세 본인이 일본과의 전쟁에서 약속한대로 구조적인 수탈은 어느정도 해결되었으나 경제적으로는 거의 달라진 점이 없었다. 그랬기에 베트남, 라오스, 캄푸치아 일대에서 독립을 요구하는 시위가 크게 일어난 것이다.

대영 정부는 이를 유혈 진압하면서 거의 대학살에 가까운 진압이 이뤄졌다. 20만명 이상이 브리타니아 제국의 폭동적 시위 진압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하여 인도차이나 내부에서 분노가 하늘을 찔렀고 브리타니아 제국 내에서조차 비판 여론이 일었다. 대학생들의 인도차이나 유혈 진압 반대 시위가 산발적으로 일어나고, 내각이 교체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에드워드 7세는 이를 브리타니아 제국 체제 그 자체의 문제임을 인정하면서 내각과 손 발을 맞춰 개혁 정책에 착수하였다. 브리타니아 제국 내에서 팽배했던 인종차별의식의 폐지, 신분제로 인한 민권 제약의 완화, 군국주의적인 정책의 폐지, 동성애와 낙태의 합법화 등이 이때 이뤄졌다. 이런 일련의 사회 개혁 정책의 결과 브리타니아 제국은 성공회와 귀족이 중심이 되는 보수적 체제에서 비교적 진보적이고 개방적인 국가로 변할 수 있었다. 이후 70년대 중반까지 브리타니아 제국 역사상 가장 개방적이었다고 일컬어지는 "밝은 20년" 시대가 이어졌다.

말년과 사망

55년 생전 퇴위를 발표하였다. 이는 브리타니아 제국 황제중 최초이자, 현재까지 마지막 사례이다. 처음에는 황제의 인기가 워낙 좋았기 때문에 정치권은 물론이고 민간에서조차 반대 여론이 매우 압도적이었다. 그러나 에드워드 7세의 건강은 이 시점에서 매우 좋지 않았기 때문에 황제의 뜻을 굽혀서는 안된다는 분위기가 얼마 안있어 조성되었다. 이에 따라 에드워드 7세가 즉위한지 정확히 40년이 되는 56년 퇴위하였고, 그의 장남 프레더릭 5세가 황위를 이었다.

이후 4년간은 인도와 중국을 오가면서 요양 생활을 했고 대부분의 생활은 전통적으로 브리타니아 제국 황제들과 청나라 황제들의 요양지였던 원명원에서 하였다. 60년 3월, 간암으로 인한 시한부 판정을 받은 이후, 고향에서 죽고 싶다며 브리타니아 제국 본토로 귀국하였으며, 2개월 후인 60년 5월 17일 숨을 거두었다.

성향

역대 브리타니아 제국 황제중 가장 진보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조지 5세도 진보적이긴 하지만 사회 문제부터 경제, 외교 문제까지 에드워드 7세만큼의 진보성을 보여주지는 못한다는 평이다.

동성애 합법화, 낙태 합법화, 인종차별법 폐지 등이 그의 치세동안 이뤄졌으며 그중 일부는 황제의 주도가 있었기에 가능했었다. 일설에 따르면 동성혼 합법화도 주장하였으나 종교계 및 정치권의 극심한 반대로 인하여 뜻을 접었다고도 한다. 동성혼 합법화는 조지 4세 치세인 66년에야 이뤄졌으니, 거의 20년을 앞선 사고를 가지고 있었던 셈이다.

이 때문에 황제교도 아니라 무신론자가 아니냐는 설이 있지만 생전의 기록을 보면 황제교 교도이었음은 거의 확실하다.

여담

  • 어릴때에 러시아에 4개월간 방문한 적이 있었다. 혁명으로 무너지기 직전인 1915~6년 러시아 제국 시절에 방문한 것으로, 아나스타샤 로마노프 등 러시아 제국의 주요 황실 인사들과 만났다. 이때는 세계 전쟁이 한창이었을때였으므로 외교적인 차원에서 방문한 것이었지만, 러시아어도 잠깐 배우고 황실 인사들과 친해지는 등 특별한 관계를 맺었다. 이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무너지고 로마노프 황실 일원들이 재판도 없이 총살을 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어린 나이였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이 때문에 그는 진보적인 성향과 별개로 사회주의를 죽을때까지 매우 혐오하였고, 로마노프 황실에 대해서도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대해 조지 4세는 로마노프 황실에 대한 가혹한 처분은 응당히 비판받을만하나 로마노프 황실은 기본적으로 제왕학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한 황실이었다며 자신의 할아버지가 로마노프 황실에 대해 가진 인식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 인도차이나 독립 전쟁 당시 독립 운동가였던 호치민에게서 편지를 받은 적이 있었다. 에드워드 7세는 이 편지를 받고 대단한 충격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이 편지의 구체적인 내용은 에드워드 7세의 사후에도 비공개되었다가 최근에 조지 5세의 의중으로 공개되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만약 다른 나라에서 온 외국인들이 자신들의 나라와, 자신의 나라가 기대고 있는 강대국만을 믿고 폐하의 백성들께 폭력을 행사한다면, 황제 폐하께서도 크게 분노하시며 이들을 내쫓거나 제거하고자 하는 방법을 찾지 않겠습니까?
그들이 고의로 우리에게 해를 입힌 것이 아닐지언정, 탐욕스럽게 이득을 갈구하는 그들은 타인을 해친다 하여도 상관하지 아니할 것입니다.
질문을 허락하신다면 묻겠습니다. 폐하의 양심은 어디에 있습니까?

둘러보기

중화 황제
中華皇帝
[ 펼치기 · 접기 ]
진한시대
진(秦) 황조 시황제 | 이세황제 | 영자영
초한쟁패기 초의제 | 한고제
(전)한 황조 한고제 | 한혜제 | 전소제 | 후소제 | 한문제 | 한경제 | 한무제 | 한소제 | 폐제 | 한선제 | 한원제 | 한성제 | 한애제 | 한평제 | 유영
신 황조 왕망 난립기 자립 정권
(후)한 황조 조위 - 위문제 | 위명제 | 위소제 | 폐제 | 위원제
분열기
삼국시대 촉한 - 소열제 | 회제
조위 - 위문제 | 위명제 | 위소제 | 폐제 | 위원제
손오 - 오대제 | 오폐제 | 오경제 | 오말제
오호십육국 자립 정권 서진 2차 재위 진혜제 | 진회제 | 진민제
동진 진원제 | 진명제 | 진성제 | 진강제 | 진목제 | 진애제 | 폐제 | 진간문제 | 진효무제 | 진안제 | 진공제
북위 황조 문성제 | 헌문제 | 효문제 | 태무제 | 효명제 | 효명제의 딸 | 원조 | 효장제 | 장광왕 | 절민제 | 폐제 | 효무제 유송 황조 송효무제 | 전폐제 | 송명제 | 후폐제 | 송순제
북위의 동서분열 동위 - 효정제 남제 황조 제고제 | 제무제 | 소소업 | 소소문 | 제명제 | 소보권 | 제화제
서위 - 문제 | 폐제 | 공제
북조 효소제 | 무성제 | 고위 | 고항 소량 황조 양무제 | 양간문제 | 양효원제 | 양경제
북주 - 주민제 | 주명제 | 주무제 | 주선제 | 주정제 진(陳) 황조 진무제 | 진문제 | 진백종 | 진선제 | 진숙보
수당 시대
수 황조 수문제 | 수양제
당 황조 당고조 | 당태종 | 당고종 | 당중종 | 당예종 | 측천무후 | 2차 재위 당중종 | 당상제 | 2차 재위 당예종 | 당현종 | 당숙종 | 당대종 | 당덕종 | 당순종 | 당헌종 | 당목종 | 당경종 | 이오 | 당문종 | 당무종 | 당선종 | 당의종 | 당희종 | 당소종 | 이유 | 2차 재위 당소종 | 당애제
오대십국시대
오대 황조 주전충 | 주우규 | 주우정 | 이존욱 | 이사원 | 이종가 | 이종후 | 석경당 | 석중귀 | 유지원 | 유승우 | 유빈 | 곽위 | 시영 | 시종훈 십국 황조 자립 정권
송금 남북조시대
송 황조 송태조 | 송태종 | 송진종 | 송인종 | 송영종(英) | 송신종 | 송철종 | 송휘종 | 송흠종 요 황조 요목종 | 요경종 | 요성종 | 요흥종 | 요도종 | 천조제
남송 황조 송고종 | 송효종 | 송광종 | 송영종(寧) | 송이종 | 송도종 | 송공제 | 송단종 | 송소제 금 황조 금태조 | 금태종 | 금희종 | 해릉양왕 | 금세종 | 금장종 | 위소왕 | 금선종 | 금애종 | 금소종
서하 황조 하태조 | 하의종 | 하혜종 | 하숭종 | 하인종 | 하환종 | 하양종 | 하신종 | 하헌종 | 말제
원명청시대
원 황조 원세조 | 원성종 | 원무종 | 원인종 | 원영종(英) | 원진종 | 천순제 | 원문종 | 원명종 | 2차 재위 원문종 | 원영종(寧) | 원혜종
명 황조 홍무제 | 건문제 | 영락제 | 홍희제 | 선덕제 | 정통제 | 경태제 | 천순제 | 성화제 | 홍치제 | 정덕제 | 가정제 | 융경제 | 만력제 | 태창제 | 천계제 | 숭정제
순 황조 이자성
청 황조 천명제 | 숭덕제 | 순치제 | 강희제 | 옹정제 | 건륭제 | 가경제 | 도광제 | 함풍제 | 동치제 | 광서제 | 선통제 | 현문제
백인 천자 시대
영 황조 현문제건덕제천경제영력제자경제태륭제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수 · 당
오대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
영사 (英史)
[ 본기 (本記) ]
1권 「태조기(高祖紀)」 2권 「명종기(明宗紀)」 3·4·5·6권 「순종기(順宗紀)」
화적헌 화위희 화청선
7·8권 「정종기(正宗紀)」 9·10권 「열종기(烈宗紀)」
화양진 화건주
※ 흠정 26사 관련 틀 둘러보기

전 인류의 황제
[ 펼치기 · 접기 ]

각주

  1. 태상황으로 물러난 기간까지 포함하면 44년이 된다.
  2. 할아버지인 프레더릭 3세가 62년간 재위하긴 하였으나 이중 황제로 재위한 기간은 8여년 정도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