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BC1133;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BC1133; width:100%;"
|-
|-
173번째 줄: 174번째 줄:
|-
|-
|}
|}
영화국의 국기, '''단리백선양홍기(丹李白線両紅旗, 단리하쿠센료코키)'''는 붉은 바탕을 가운데 백색 선이 양단하며 좌측 중앙의 적색 원에 [[영화국 왕실]]의 상징인 오얏꽃 문양이 하얗게 새겨진 깃발이다. 여기서 붉은 바탕은 번영과 풍요를 기원하는 만세의 불꽃, 하얀 선은 올곧게 이어질 무결한 영화국의 미래, 오얏꽃 문장은 당연히 영화국을 이끄는 히노쿠니 왕실을 상징한다.
영화국의 국기, '''단리백선양홍기(丹李白線両紅旗, 단리하쿠센료코키)'''는 붉은 바탕을 가운데 백색 선이 양단하며 좌측 중앙의 적색 원에 [[영화국 왕실]]의 상징인 오얏꽃 문양이 하얗게 새겨진 깃발이다. 여기서 붉은 바탕은 번영과 풍요를 기원하는 만세의 불꽃, 하얀 직선은 올곧게 이어질 무결한 영화국의 미래, 오얏꽃 문장은 당연히 영화국을 이끄는 히노쿠니 왕실을 상징한다. 문양 부분이 약간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이유는 해가 뜨는 동쪽을 가리키기 위함이라 한다.
[[파일:선대 영화국의 상선기 ver.2.png|섬네일|가운데|구 영화국의 상선기]]
화주가 직접 창안한 도안에 바탕을 두어 제작된 것으로 깃발이 마련된 초창기엔 오얏꽃 무늬가 현재처럼 90도 각도로 회전돼 있지 않았고 가로의 백색 선이 좌측에 치우쳐 세로로 깃발을 양분하는 차이점이 있었다. 또한 원래 단리기는 국기로 쓰일 목적으로 만들어진게 아니라 19세기에 문호개방을 단행한 [[선대 영화국|영화국]]의 상선기로 이용하려 제정된 것이었다.


화주가 직접 창안한 도안에 바탕을 두어 제작된 것으로 깃발이 마련된 초창기엔 오얏꽃 무늬가 현재처럼 90도 각도로 회전돼 있지 않았고 가로의 백색 선이 좌측에 치우쳐 세로로 깃발을 양분하는 차이점이 있었다. 또한 원래 단리기는 국기로 쓰일 목적으로 만들어진게 아니라 19세기에 문호개방을 단행한 [[선대 영화국|영화국]]의 상선기로 이용하려 제정된 것이었지만 1906년, [[미국령 영화국]] 정부가 출범하자 보호국 정부의 상징으로 지위가 급격히 격상되었으며 이후 영화국이 미국의 보호령에서 [[영화 자치령|자치령]]으로 승격한 뒤에도 단리기는 영화를 대표할 상징으로 굳어져 훗날 1946년 주권 회복이 이루어졌을 때도 디자인만 현재와 같은 모양새로 바뀐 다음 독립국가 영화국의 공식 국기로서 계승되었다. 법적으로는 [[영화국 헌법]]에 그 존재가 대강 명기돼 있고 1947년에 별도로 성립된 국기·국가법에서 국기의 색감이나 규격 등 상세한 사항을 정한다.
그러나 1906년, [[미국령 영화국]] 정부가 출범하자 기존에 국기로 쓰이던 황실기를 대신해 보호국 정부의 상징으로 지위가 급격히 격상되었으며 이후 영화국이 미국의 보호령에서 [[영화 자치령|자치령]]으로 승격한 뒤에도 영화를 대표하는 상징으로 이어졌다. 훗날 1946년 주권 회복이 이루어졌을 때도 디자인만 현재와 같은 모양새로 바뀐 독립국가 영화국의 공식 국기로서 계승되었다. 법적으로는 [[영화국 헌법]]에 그 존재가 대강 명기돼 있고 1947년에 별도로 성립된 국기·국가법에서 국기의 색감이나 규격 등 상세한 사항을 정한다.
===국가===
===국가===
{{국가정보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order:2px solid #BC1133; color:#000;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 외곽선_색      = <!--#BC1133-->
|-
| 국기            = 명화국 국기.png
! colspan="2" style="background:#BC1133; color:#fff;" | 영화국의 공식 국가
| 국기_크기      = 70px
|-
| 국어_제목      = 영화가
| colspan="2" width=100% | <span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color:#BC1133; font-size: .9em">'''{{글씨 크기|13|영화가}}<br>永火歌'''
| 원어_제목      = 永火歌
|-
| 지위            = 영화국의 법률상 국가
| width=30%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fff;" | '''지위'''
| 국가            =  
| width=70% style="background-color:#fff;color:#000;" | 법률상 국가
| 작곡            = 프란츠 에케르트<sub>(작곡)</sub><br>구세모토 우타<sub>(편곡)</sub>
|-
| 언어           = 영화어
| width=30%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fff;" | '''채택 시기'''
| 듣기            = [[파일:유튜브 아이콘.png|23px]] [https://youtu.be/S_HCh5RC6WI 유튜브 링크]
| width=70% style="background-color:#fff;color:#000;" | [[선대 영화국|영화국 조정]]<sub>(1905년)</sub><br>[[영화국 정부]]<sub>(1946년)</sub>
| 원어_표기      = 明るい空の火は永遠で、<br>
|-
われらを高める火は高潔で、<br>
| width=30%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fff;" | '''근거 법령'''
大地を照らす火は千代に栄えるわれら々だ。<br>
| width=70% style="background-color:#fff;color:#000;" | 영화국 국기·국가법
火かりは万歳にわたって世界を守護するから、<br>
|-
天地を照らす火は無限に明るい。
| width=30%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fff;" | '''작사자'''
| 국어_표기      = 환한 하늘의 불빛은 영원하며,<br>
| width=70% style="background-color:#fff;color:#000;" | 히노쿠니 아야코
우리를 드높이는 불빛은 고결하고,<br>
|-
대지를 비추는 불빛은 천대에 번성할 우리다.<br>
| width=30%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fff;" | '''작곡자'''
불빛은 만세토록 세계를 수호할지니<br>
| width=70% style="background-color:#fff;color:#000;" | 프란츠 에케르트<br>구세모토 우타<sub>(편곡)</sub>
천지를 비추는 불빛은 무한히 환하다.
|-
}}
| width=30%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fff;" | '''언어'''
영화국의 국가인 '''영화가(永火歌)'''는 독일인 작곡가 프란츠 에케르트가 작곡하여 영화인 음악가 구세모토 우타에 의해 편곡된 노래로 가사 자체는 신원 미상의 작가를 포함한 여러 시인들이 공동 편찬했던 시집 '''영가만요집(永歌萬要集)'''에서 따온 것이기에 뚜렷한 작사가는 없다고 보는게 맞다.
| width=70% style="background-color:#fff;color:#000;" | 영화어
|-
| width=30%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fff;" | '''링크'''
| width=70% style="background-color:#fff;color:#000;" | [[파일:유튜브 아이콘.png|23px]] [https://youtu.be/S_HCh5RC6WI 유튜브 링크]
|-
|}
영화국의 국가인 '''영화가(永火歌)'''는 독일인 작곡가 프란츠 에케르트가 작곡하여 영화인 음악가 구세모토 우타에 의해 편곡된 노래로 가사는 히노쿠니 아야코 공주가 신원 미상의 작가를 포함한 여러 시인들이 공동 편찬했던 시집 '''영가만요집(永歌萬要集)'''에서 내용을 따와 작사하였다.
 
가사 전반이 영화국의 건국 과정과 깊이 연관된 '불'을 찬양하는 내용을 주제로 담았다. 불의 밝음과 영원함을 찬미하는 구절이 곡의 처음과 끝에 배치돼 수미상관을 이루며, 불을 예찬하면서도 그 예찬의 대상인 불과 영화국을 연결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자국을 찬양하는 뜻으로 가사가 해석될 여지를 남겼다.<ref>다만, 네번째 구절의 잇쇼다(一緒だ)를 '같다'가 아닌 '함께 하다'로 해석할 경우엔 이런 의미는 아예 사라지고 불꽃을 기리는 이미지가 강해진다. 한데 국기·국가법에도 정확한 해석이 명시돼 있지 않아 어느 쪽으로 해석을 해야 하는지 학자마다 의견이 공분하는데 대중적인 해석은 전자인 편이다.</ref>
 
음악의 분위기는 다소 어두운 편이지만 구카쿠(宮楽)에 기반한 영화 전통의 궁중 음악 선율과 서양적 색채의 곡조가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 듣는 느낌은 좋다. 이는 에케르트가 유럽식 악풍으로 작곡했던 기존 영화가의 선율을 후일 주권 회복을 앞두고 1946년에 수석 궁정음악가 구세모토 우타가 편곡하면서 영화의 전통 음계에 맞게 변경을 가함에 따라 생긴 것이다.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BC1133; width: 100%; text-align: center"
|-
| colspan="12" style="background: #fff; color: #BC1133; height:80px" | [[파일:풀_사이즈_영화국_문양_색_반전.png|x55px]]<br>'''영화가<br>永火歌'''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明るい空の火は永遠で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아카루이 소라노 히와 에이엔데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환한 하늘의 불빛은 영원하며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BC1133 |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万邦を守る火は高潔で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반포오 마모루 히와 코케츠데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만방을 수호하는 불빛은 고결하고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BC1133 |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大地を堅固に照らす火は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다이치오 켄고니 테라스 히와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대지를 견고히 비추는 불빛은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BC1133 |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千代に栄えるわれらと一緒だ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치요니 사카에루 와레라토 잇쇼다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천대에 번성할 우리와 같다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BC1133 |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火は万歳にわたって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히와 이치만사이니 와탓테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불빛은 만세토록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BC1133 |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変わらず世界を助けるから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카와라즈 세카이오 타스케루카라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변함없이 세계를 도우리니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BC1133 |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天地を照らす火は無限に明るい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텐치오 테라스 히와 무겐니 아카루이
|-
| rowspan="1"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color:#BC1133 | 천지를 비추는 불빛은 무한히 환하다
|-
|}</div></div>
===국장===
===국장===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order:2px solid #BC1133; color:#000;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order:2px solid #BC1133; color:#000;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210번째 줄: 283번째 줄:
|-
|-
| width=30%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fff;" | '''이명'''
| width=30%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fff;" | '''이명'''
| width=70% style="background-color:#fff;color:#000;" |  
| width=70% style="background-color:#fff;color:#000;" | 오엽기표이화문(五葉基標李花紋)<br>이화어문(李花御紋)<br>이화문장(李花紋章)
|-
|-
| width=30%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fff;" | '''채택 시기'''
| width=30%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fff;" | '''채택 시기'''
| width=70% style="background-color:#fff;color:#000;" | [[영화국 왕실]]<sub>(1907년)</sub><br>[[영화국 정부]]<sub>(1946년)</sub>
| width=70% style="background-color:#fff;color:#000;" | [[영화국 왕실]]<sub>(1907년)</sub>
|-
|-
| width=30%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fff;" | '''지위'''
| width=30%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fff;" | '''지위'''
219번째 줄: 292번째 줄:
|-
|-
| width=30%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fff;" | '''근거 법령'''
| width=30%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fff;" | '''근거 법령'''
| width=70% style="background-color:#fff;color:#000;" | [[영화국 왕실전범]]<sub>왕실 문장 지정</sub>
| width=70% style="background-color:#fff;color:#000;" | [[영화국 왕실전범]]<sub>왕실 문장 규정</sub>
|-
|-
| width=30%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fff;" | '''제작자'''
| width=30% style="background-color:#BC1133;color:#fff;" | '''제작자'''

2023년 6월 24일 (토) 18:24 판

영화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동아시아의 국가
[ 펼치기 · 접기 ]
베트남[1] 대만 대한민국
몽골[2] 일본 영화국[3]
중국[4]
  1. 한자문화권 국가로 분류되는 동남아시아 국가
  2. 중앙아시아, 북아시아의 일부로 분류되기도 함
  3. 한자문화권 국가로 분류되는 오세아니아 국가
  4. 영토의 일부가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함


영화국의 역사
[ 펼치기 · 접기 ]

G7
[ 펼치기 · 접기 ]
참가국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영화국 캐나다 유럽연합(비공식)

G20
[ 펼치기 · 접기 ]
미국 중국 독일 영국
인도 일본 프랑스 이탈리아
영화국 캐나다 러시아 호주
브라질 멕시코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튀르키예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유럽 연합

영화국
永火国 | Kingdom of Eika
국기 국장
明るい火が天地を照らす
밝은 불빛이 온 세상을 비추리라
상징
국가 영화가
국조
호반새
국화
오얏꽃
역사
[ 펼치기 · 접기 ]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가쿄도
최대 도시
가쿄도
면적
230,958㎢
내수면 비율
1%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47,508,050명
밀도
205.6명/km2
민족 구성
영화인 94%
영화 원주민 3%
기타 3%
출산율
1.46명
기대 수명
81세
공용어
영화어(사실상)
지역어
영화 제어
공용 문자
한자(영화 표준상용정자), 가나 문자
종교
국교
국교 없음(신앙의 자유)
분포
불교 32%
기독교 29%
영화 신토 20%
기타 및 무종교 19%
군대
영화국 국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광역행정단체
1도 4주 11현
기초행정단체
n시 n구 n정 n향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입헌군주제, 자유민주주의, 의원내각제, 다당제, 일당 우위 정당제, 양원제, 단일국가
민주주의 지수
8.2점, 완전한 민주주의 (2022년)
국가 원수 (화주)
히노쿠니 미치요리
정부
요인
내각총리대신
아이자와 시노부
참의원의장
카마도 이치로
민의원의장
이타가와 에이코
대심원장
가네하라 메이슈
입법부
영화국 국회(·하원)
여당
영화민주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체제
GDP
(명목)
전체 GDP
$2,135,977,052,680
1인당 GDP
$44,960
무역
수입
$6,756억
수출
$7,114억
예산
세입
$6,409억
세출
$6,824억
외환 보유고
$3,870억
신용 등급
무디스 Aa2
S&P AA
Fitch AA-
화폐
공식 화폐
영화 엔
ISO 4217
EKY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슈에이(朱榮)
시간대
UTC +9 (영화 표준시)
도량형
SI 단위
ccTLD
.ek
국가 코드
333, EIK, EK
전화 코드
+83
위치

개요

영화국(永火国), 약칭 영화(永火)는 오세아니아의[1] 영화 제도에 위치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영화국은 역사적으로 일본인 계통의 이주민들이 수립한 봉건제 군주정을 오랫동안 유지하다가 미국의 보호국이 된 뒤 점진적으로 정치 제도를 개혁해 지금은 의회제 민주주의를 토대로 한 입헌군주국으로 자리잡았다. 양원제를 채택 중인 국회에서 행정부 수반에 해당하는 내각총리대신을 선출하는 전형적인 의원내각제 국가이며 영화국의 군주인 화주는 명목상 국가원수로서 형식적인 권한만을 행사한다. 현재 영화국의 화주는 히노쿠니 미치요리가 재위 중에 있고 내각총리대신은 아이자와 시노부영화민주당의 당수로서 단독정부를 구성해 재임하고 있다.

1946년에 미국으로부터 주권을 회복한 직후, 영화국은 냉전 시기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가 공산화된 상태일 때 자유 진영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비약적인 경제 성장을 이룩하였다. 현대에 이르러 영화는 세계 10위권 안에 드는 경제대국이자 다수의 국제기구가 공인한 선진국이며 외교적으로 봤을 때도 G20의 공식 참가국, G7 회원국 중 유일한 아시아권 국가, 영미상호안보조약을 통한 미국의 주요 군사동맹국임과 동시에 준수한 국방력과 소프트 파워를 지닌 지역강국이라 볼 수 있다.

상징

국호

영화국이라는 명칭은 영화국 헌법에서 규정된 공식 국호로 보통 이를 줄여서 영화라 부르는데 이는 과거 영화국을 창건한 태강왕 하쿠코가 해의 신(日の神)의 축복을 받았다며 나라를 건국했을 때, 그 신을 기리고자 나라의 이름을 영화(永火)로 지은 데에서 기원한 이름이다.

영화국의 국호를 영화어나 일본어로 읽을 시에는 그 한자를 음독한 에이카(えいか)로 독음하는게 원칙이다. 영화의 한자를 훈독해서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영화국의 영문 국호 역시 이를 음차하여 Eika로 일컬어지고 대다수 국가는 영어처럼 영화의 음독인 에이카를 그대로 따라 부른다.

한편으로 영화라는 호칭 이외에도 영화국을 가리키는 비공식적인 이름들은 꽤 있다. 예를 들어 불의 나라라는 뜻의 히노쿠니(火の国)라던지[2] 엔코쿠(炎国), 해동화국(海東火国), 화본국(火本国) 같은 불을 매개로 한 바리에이션들이 역사적으로 영화국을 의미하는 별명들이었다.

국기

영화국의 공식 국기
단리백선양홍기 | 단리기
丹李白線両紅旗 | 丹李旗
제작 시기 19세기
제정 시기 영화국 조정(1858년)
재영화 미국 고등판무관부(1906년)
영화 자치령 자치정부(1935년)
영화국 정부(1946년)
지위 공식 국기
근거 법령 영화국 헌법공식 규범
영화국 국기·국가법세부 규범
제작자 화주
비율 3 : 2
유니코드 EK

영화국의 국기, 단리백선양홍기(丹李白線両紅旗, 단리하쿠센료코키)는 붉은 바탕을 가운데 백색 선이 양단하며 좌측 중앙의 적색 원에 영화국 왕실의 상징인 오얏꽃 문양이 하얗게 새겨진 깃발이다. 여기서 붉은 바탕은 번영과 풍요를 기원하는 만세의 불꽃, 하얀 직선은 올곧게 이어질 무결한 영화국의 미래, 오얏꽃 문장은 당연히 영화국을 이끄는 히노쿠니 왕실을 상징한다. 문양 부분이 약간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이유는 해가 뜨는 동쪽을 가리키기 위함이라 한다.

구 영화국의 상선기

화주가 직접 창안한 도안에 바탕을 두어 제작된 것으로 깃발이 마련된 초창기엔 오얏꽃 무늬가 현재처럼 90도 각도로 회전돼 있지 않았고 가로의 백색 선이 좌측에 치우쳐 세로로 깃발을 양분하는 차이점이 있었다. 또한 원래 단리기는 국기로 쓰일 목적으로 만들어진게 아니라 19세기에 문호개방을 단행한 영화국의 상선기로 이용하려 제정된 것이었다.

그러나 1906년, 미국령 영화국 정부가 출범하자 기존에 국기로 쓰이던 황실기를 대신해 보호국 정부의 상징으로 지위가 급격히 격상되었으며 이후 영화국이 미국의 보호령에서 자치령으로 승격한 뒤에도 영화를 대표하는 상징으로 이어졌다. 훗날 1946년 주권 회복이 이루어졌을 때도 디자인만 현재와 같은 모양새로 바뀐 채 독립국가 영화국의 공식 국기로서 계승되었다. 법적으로는 영화국 헌법에 그 존재가 대강 명기돼 있고 1947년에 별도로 성립된 국기·국가법에서 국기의 색감이나 규격 등 상세한 사항을 정한다.

국가

영화국의 공식 국가
영화가
永火歌
지위 법률상 국가
채택 시기 영화국 조정(1905년)
영화국 정부(1946년)
근거 법령 영화국 국기·국가법
작사자 히노쿠니 아야코
작곡자 프란츠 에케르트
구세모토 우타(편곡)
언어 영화어
링크 유튜브 링크

영화국의 국가인 영화가(永火歌)는 독일인 작곡가 프란츠 에케르트가 작곡하여 영화인 음악가 구세모토 우타에 의해 편곡된 노래로 가사는 히노쿠니 아야코 공주가 신원 미상의 작가를 포함한 여러 시인들이 공동 편찬했던 시집 영가만요집(永歌萬要集)에서 내용을 따와 작사하였다.

가사 전반이 영화국의 건국 과정과 깊이 연관된 '불'을 찬양하는 내용을 주제로 담았다. 불의 밝음과 영원함을 찬미하는 구절이 곡의 처음과 끝에 배치돼 수미상관을 이루며, 불을 예찬하면서도 그 예찬의 대상인 불과 영화국을 연결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자국을 찬양하는 뜻으로 가사가 해석될 여지를 남겼다.[3]

음악의 분위기는 다소 어두운 편이지만 구카쿠(宮楽)에 기반한 영화 전통의 궁중 음악 선율과 서양적 색채의 곡조가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 듣는 느낌은 좋다. 이는 에케르트가 유럽식 악풍으로 작곡했던 기존 영화가의 선율을 후일 주권 회복을 앞두고 1946년에 수석 궁정음악가 구세모토 우타가 편곡하면서 영화의 전통 음계에 맞게 변경을 가함에 따라 생긴 것이다.


영화가
永火歌
明るい空の火は永遠で
아카루이 소라노 히와 에이엔데
환한 하늘의 불빛은 영원하며
万邦を守る火は高潔で
반포오 마모루 히와 코케츠데
만방을 수호하는 불빛은 고결하고
大地を堅固に照らす火は
다이치오 켄고니 테라스 히와
대지를 견고히 비추는 불빛은
千代に栄えるわれらと一緒だ
치요니 사카에루 와레라토 잇쇼다
천대에 번성할 우리와 같다
火は万歳にわたって
히와 이치만사이니 와탓테
불빛은 만세토록
変わらず世界を助けるから
카와라즈 세카이오 타스케루카라
변함없이 세계를 도우리니
天地を照らす火は無限に明るい
텐치오 테라스 히와 무겐니 아카루이
천지를 비추는 불빛은 무한히 환하다

국장

영화국의 공식 국장
이화문
李花紋
이명 오엽기표이화문(五葉基標李花紋)
이화어문(李花御紋)
이화문장(李花紋章)
채택 시기 영화국 왕실(1907년)
지위 법률상 왕실 문장
관습상 국장
근거 법령 영화국 왕실전범왕실 문장 규정
제작자 태강왕 하쿠코

역사

이시즈카 시대

시로즈카 시대

고코쿠 시대

통일 영화국 시대

개항기

외치 시대

미국의 보호령

일치시기

현대

지리

영화국은 일본 열도의 이즈 제도 이남에 자리하고 있는 영화 제도 전역을 영유하며 제도의 총면적은 230,958㎢으로,

인문환경

인구

민족

언어

종교

공공서비스

행정구역

주요 도시권

정치

정당과 선거

영화국 국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아이자와 3기 내각
(2021 ~ )
여당

영화민주당
90석 · 218석
야당

영화사회당
61석 · 110석

자유혁진당
24석 · 42석

영화 퍼스트
10석 · 10석

신정 영화
4석 · 4석

신당 미도리
2석 · 3석

사민당
2석 · 3석

여명당
2석 · 2석
무소속 4석 · 6석
재적 199석 · 398석공석 1석 · 2석
왼쪽은 참의원(상원) 의석 수, 오른쪽은 민의원(하원) 의석 수

사법

경제

사회

문화

군사

외교

  1. 지리적으로는 오세아니아 지역에 위치하지만 문화권 자체는 일본의 영향으로 동아시아 쪽에 훨씬 가까운 편이다.
  2. 이 명칭은 영화국 왕실국성이기도 하다.
  3. 다만, 네번째 구절의 잇쇼다(一緒だ)를 '같다'가 아닌 '함께 하다'로 해석할 경우엔 이런 의미는 아예 사라지고 불꽃을 기리는 이미지가 강해진다. 한데 국기·국가법에도 정확한 해석이 명시돼 있지 않아 어느 쪽으로 해석을 해야 하는지 학자마다 의견이 공분하는데 대중적인 해석은 전자인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