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주 공씨: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82번째 줄: 82번째 줄:
* 제35대 '''''박선(璞宣)''''' 공무찬<sup>珙茂燦</sup> (1072 ~ 1120)
* 제35대 '''''박선(璞宣)''''' 공무찬<sup>珙茂燦</sup> (1072 ~ 1120)
* 제36대 '''''한효(瀚孝)''''' 공망호<sup>珙望澔</sup> (1120 ~ 1136)
* 제36대 '''''한효(瀚孝)''''' 공망호<sup>珙望澔</sup> (1120 ~ 1136)
* 제37대 '''''천효(薦斅)''''' 공민세<sup>珙旻挩</sup> (1136 ~ 1168)
* 제38대 '''''보평(寶㺸)''''' 공상소<sup>珙慡韶</sup> (1168 ~ 1180)

2024년 4월 14일 (일) 00:27 기준 최신판

©Bluepavels 2021 ~ 2024

2021년 11월자 설정이며, 2024-2025년 내 수정 계획중입니다.


태해월국의 국성
月州 珙氏
월주 공씨
파일:호호.jpg
관향 월주 (月州)
시조 공천무 (珙闡武)
중시조 공상건 (珙常健)
집성촌 중경부 선덕구
천희부 경선구
북창영성 경산군
북창영성 강천군
원경성 성효군
인구 20명(2021년, 황위계승권이 존재하고 황족의 권리를 영유할 수 있다.
12,164명(2021년, 이들은 現 호월의 5촌 이상으로, 황위계승권이 없으며 황족의 권리를 영유할 수 없다.)

개요

태해월국의 국성이자 황가.
옛 거정국의 수도 월주를 본관으로 하고 공천무를 시조, 초대 호월인 태평제 (공상건)을 중시조로 받든다. 동아시아 국성이 으레 인구가 많은 게 당연하다고 받아들여짐에도 불구하고 해월 황실은 계승권 통제와 인구 조절을 엄격하게 하는 바람에 인구가 12,164명밖에 되지 않는다.

기원

고대 거정국 시대 후기인 289년, 가문 시조 공천무가 문과에 급제한 지 약 30년만에 국가 재상의 위치인 태중대신(太中大臣)을 역임한 이래 공씨 가문은 중앙 귀족가문의 반열에 올라섰으며, 334년에는 당시 가주 공용운이 안세의 정변에 함께해 역성혁명을 일으켜 소상국을 건국하는 데에 큰 공을 세웠고, 이에 따라 수세기 동안 개국공신가로써 번영하였다.

공씨 가문은 소상국 시대 안씨 왕조의 여러 왕들과 혼인정책을 추진하여 혈통적 측면에서의 정통성을 강화하고 외척가문의 권력을 장악했다. 606년 안씨 왕조의 대가 끊기고 천하십웅 시대가 펼쳐져 소상국이 멸망하자, 당대 열도 최고의 명문가였던 공씨 가문의 당시 가주 공상건은 봉토를 넓히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6년만인 612년 마침내 열도 영웅들이 공상건을 해월 열도 전역의 군주이자 통합을 상징하는 존재로써 받들어 호월(虎月)에 옹립하므로 해월국이 개창되면서 월주 공(珙)씨의 군림이 시작되었다.

상세

월주 공씨 중 황족으로 인정되는 기준은 現 호월의 5촌 이내로, 단일 종가 일원에 한한다. 그 이내의 범위에 있는 사람들은 법적으로 황족의 대우를 받으며 황족으로써의 권리를 가지지만 그 이외의 범위에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다.

다만 이외 非5촌 친족들을 위하여 舊 일본의 영향을 받아 황공족(皇公族) 체제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대체로 해월은 열댓개 집안의 공족들이 있다.

역대 종주

(이름 우측에 있는 기간은 가주로써의 재임 기간입니다.)

  • 초대 공천무珙玔茂 (267 ~ 306)
  • 제2대 공천선珙玔璇 (306 ~ 321)
  • 제3대 공용운珙蓉運 (321 ~ 365)
  • 제4대 공무운珙務澐 (365 ~ 380)
  • 제5대 공산표珙傘飇 (380 ~ 411)
  • 제6대 공이덕珙利悳 (411 ~ 434)
  • 제7대 공용전珙容箭 (434 ~ 438)
  • 제8대 공업산珙嶪山 (438 ~ 491)
  • 제9대 공선표珙宣飇 (491 ~ 516)
  • 제10대 공원한珙元瀚 (516 ~ 554)
  • 제11대 공화산珙花傘 (554 ~ 577)
  • 제12대 공안하珙安昰 (577 ~ 601)

이하 태해월국 호월 (Emperor of the Great Haewol)

  • 제13대 태조(太祖) 태평(太平) 공상건珙常健 (601 ~ 633)
  • 제14대 창영(昌榮) 공상재珙常渽 (633 ~ 649)
  • 제15대 장희(長熹) 공수원珙綏源 (649 ~ 681)
  • 제16대 광덕(廣德) 공재문珙渽文 (681 ~ 716)
  • 제17대 정명(正明) 공헌수珙憲綏 (716 ~ 723)
  • 제18대 목정(睦政) 공전珙展 (723 ~ 739)
  • 제19대 강화(康和) 공덕한珙悳瀚 (739 ~ 750)
  • 제20대 융무(隆武) 공명형珙明型 (750 ~ 784)
  • 제21대 제익(齊翼) 공회산珙會山 (784 ~ 805)
  • 제22대 사성(使成) 공연재珙衍在 (805 ~ 816)
  • 제23대 지덕(至悳) 공관훈珙寬訓 (816 ~ 845)
  • 제24대 상종(常宗) 보원(寶元) 공전효珙展曉 (845 ~ 870)
  • 제25대 경선(敬先) 공연교珙衍敎 (870 ~ 888)
  • 제26대 효명(曉明) 공명珙明 (888 ~ 911)
  • 제27대 경력(慶歷) 공선소珙先昭 (911 ~ 937)
  • 제28대 성백(誠百) 공우관珙祐寬 (937 ~ 950)
  • 제29대 달광(達匡) 공육장珙育場 (950 ~ 959)
  • 제30대 장성(章成) 공찬珙贊 (959 ~ 967)
  • 제31대 천통(天統) 공손珙率 (967 ~ 1002)
  • 제32대 명원(明元) 공창수珙昌守 (1002 ~ 1041)
  • 제33대 경혜(慶慧) 공천한珙遷漢 (1041 ~ 1055)
  • 제34대 선종(先宗) 현원(賢援) 공민珙旻 (1055 ~ 1072)
  • 제35대 박선(璞宣) 공무찬珙茂燦 (1072 ~ 1120)
  • 제36대 한효(瀚孝) 공망호珙望澔 (1120 ~ 1136)
  • 제37대 천효(薦斅) 공민세珙旻挩 (1136 ~ 1168)
  • 제38대 보평(寶㺸) 공상소珙慡韶 (1168 ~ 1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