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부 (경희지절):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조선의 연호/경희}}
{{조선의 연호/경희}}
{{V|5}}{{앵커|교통}}
<div style="width:100%;text-align:left;font-size:12px;word-spacing:1px;border-top:1px solid rgba(158,8,33,.5);border-bottom:1px solid rgba(158,8,33,.5);padding:15px 25px;color:rgba(235,193,82,.6);font-family:Chosunilbo_myungjo, ChosunSm;font-weight:500; background:#9e0821;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rgba(0,0,0,0.2) 0%, rgba(0,0,0,0) 50%, rgba(0,0,0,0.2) 100%);text-shadow:0px 0px 2px rgba(0,0,0,0.35);border-radius:10px;box-shadow:0px 0px 3px rgba(0,0,0,.3);border:2px solid #b08e33;">
<div style="font-size:14px;letter-spacing:1px;margin-bottom:10px;color:rgba(235,193,82,.8);font-weight:bold;">8. 교통</div>
조선의 교통은 그 환경적 요인에 있어 불리한 점이 많았는데, 산과 언덕이 많아 지역 간 분리가 심했으며 수레를 이용하더라도 그 고충이 심하여 제대로 도입되지 못하고 전적으로 수운에 집중된 교통망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세종, 문종, 광종 때에 지속적으로 도로망 정비와 수레 권장 정책을 펼쳤음에도 정착되지 못한 배경이었다. 이에 따라 혜종 때에는 대대적인 지리조사를 통해 평지와 낮은 둔턱 위주의 지역 도로망을 정비하고 지역 도로망에서 연결된 포구에서 타 지역간 운송을 담당하도록 체계화하여 사업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사업은 경제 성장과 맞물려 민간이나 지방에서도 호응하여 효율적인 교통망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이러한 교통은 대외무역이 발달하고 항해술과 조선술이 발달함에 따라 수운의 효율성이 증대됨에 따라 더 안정화되었는데 이 때문에 부 사이에 육로 이동이 여전히 힘들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div>


</div>
</div>

2024년 4월 22일 (월) 20:29 판

조선의 연호
연희
延熙
1678년 1월 23일 ~ 1700년 2월 18일
연희 1년 1월 1일 ~ 연희 22년 12월 30일
경희
慶熙
1700년 2월 19일 ~ 1743년 01월 25일
경희 1년 1월 1일 ~ 경희 43년 12월 30일
천우
天祐
1743년 01월 26일 ~ 1746년 01월 21일
천우 1년 1월 1일 ~ 천우 4년 12월 30일
8. 교통

조선의 교통은 그 환경적 요인에 있어 불리한 점이 많았는데, 산과 언덕이 많아 지역 간 분리가 심했으며 수레를 이용하더라도 그 고충이 심하여 제대로 도입되지 못하고 전적으로 수운에 집중된 교통망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세종, 문종, 광종 때에 지속적으로 도로망 정비와 수레 권장 정책을 펼쳤음에도 정착되지 못한 배경이었다. 이에 따라 혜종 때에는 대대적인 지리조사를 통해 평지와 낮은 둔턱 위주의 지역 도로망을 정비하고 지역 도로망에서 연결된 포구에서 타 지역간 운송을 담당하도록 체계화하여 사업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사업은 경제 성장과 맞물려 민간이나 지방에서도 호응하여 효율적인 교통망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이러한 교통은 대외무역이 발달하고 항해술과 조선술이 발달함에 따라 수운의 효율성이 증대됨에 따라 더 안정화되었는데 이 때문에 부 사이에 육로 이동이 여전히 힘들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