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대 국회의원 선거

WARSAW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4월 22일 (월) 19:58 판

 3.5 / 5

변화의 시대는 "만약 새로운 정치 세력이 등장했다면?"을 바탕으로 제작된 시즌제 대체역사물입니다.

모든 설정은 공식이자 허구임을 밝히며, 자세한 정보는 각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개요  ·  선거구  ·  배경  ·  투개표 현황  ·  참여 정당  ·  선거 결과  ·  여담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 최근 선거 다음 선거
대통령 선거 제21대
2027년 3월 3일
제22대
2032년 3월 3일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제22대
2024년 4월 10일
제23대
2028년 4월 12일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제헌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전국동시지방선거 제9대
2026년 6월 3일
제10대
2030년 6월 12일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1952 · 1956 · 1960 · 1991
제1회 · 제2회 · 제3회 · 제4회 · 제5회 · 제6회 · 제7회 · 제8회 · 제9회 · 제10회
재보궐선거 추가 예정 추가 예정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추가 예정
부통령 선거 제5대
1960년 3월 15일
부통령직 폐지*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국민투표** 제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
[ 역대 선거 · 펼치기 접기 ]
제1차 · 제2차 · 제3차 · 제4차 · 제5차 · 제6차
* 1960년 6월 15일 제3차 개헌으로 부통령직을 폐지함.
** 국민투표는 선거에 포함되지 않으나, 편의상 기술함.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부 일부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은 관계로 2016년 1월 1일부터 효력을 상실했다.
본 템플릿(틀)은 변화의 시대의 공식 설정입니다. 시즌이 진행될수록 선거 기록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정수: 300석 / 과반: 151석
실시일: 2024년 4월 10일
투표율: 68.6% (▲ n%p)
제21대 제22대 제23대
선거 결과
민주·연합 94석 (31.3%)
(30.3%) 91석 국민·미래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총합 비율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연합
84석 10석 94석 31.3%
국민의힘
국민의미래
77석 14석 91석 30.3%
변화당 79석 8석 87석 29.0%
진보당 8석 1석 9석 3.0%
시대정신 0석 9석 9석 3.0%
개혁신당 2석 2석 4석 1.3%
녹색당 2석 2석 4석 1.3%
국민신당 1석 0석 1석 0.33%
노동당 1석 0석 1석 0.33%
정당연합 결과
시민연합 103석 (34.3%)
(33.7%) 101석 민진연
시민연합 84석 19석 103석 34.33%
민주진보연대 90석 11석 101석 33.66%
미래대연합 2석 2석 4석 1.3%

2024년 4월 10일에 치러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의원 정수는 지난 총선과 동일한 300석이다. 본 선거에서는 선거가 실시되기 5~4일 전 누구나 사전투표소에서 투표를 할 수 있으며, 투표 당일에는 본 투표를 할 수 있다. 동시에 임기 중 사퇴, 사망 등의 사유로 공석이 된 곳에서 실시하는 재보궐선거도 함께 치러진다. 이번 총선에서는 대다수의 정당들이 정책이나 방향의 공통점, 지역구 단일 후보, 비례 전략 투표를 모색하는 정당들로 구성된 정당연합을 통해 치러지게 되었고, 정당연합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독자 출마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번 총선에서 참여한 원내정당은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국민의미래, 변화당, 국민신당, 대안과전망, 개혁신당, 자유통일당, 진보당, 한국의희망, 새로운선택, 새진보연합이며, 정의당은 이번 총선에서 불출마를 선언했다.

개요  ·  선거구  ·  배경  ·  투개표 현황  ·  참여 정당  ·  선거 결과  ·  여담
내용이 방대함에 따라, 개별 문서로 이동합니다.
개요  ·  선거구  ·  배경  ·  투개표 현황  ·  참여 정당  ·  선거 결과  ·  여담
내용이 방대함에 따라, 개별 문서로 이동합니다.
개요  ·  선거구  ·  배경  ·  투개표 현황  ·  참여 정당  ·  선거 결과  ·  여담
내용이 방대함에 따라, 개별 문서로 이동합니다.
개요  ·  선거구  ·  배경  ·  투개표 현황  ·  참여 정당  ·  선거 결과  ·  여담
내용이 방대함에 따라, 개별 문서로 이동합니다.
개요  ·  선거구  ·  배경  ·  투개표 현황  ·  참여 정당  ·  선거 결과  ·  여담
정당별 결과
정당 득표수 지역구 / 비례대표 총합 증감
더불어민주당 8,449,049 (27.8%) 84석 94석 -
더불어민주연합 4,254,112 (15.0%) 10석
국민의힘 7,442,120 (24.5%) 77석 91석 -
국민의미래 5,921,935 (20.8%) 14석
변화당 9,021,034 (29.7%) 79석 87석 -
12,015,739 (42.3%) 8석
국민신당 275,115 (0.9%) 1석 1석 -4
408,341 (1.4%) 0석
개혁신당 976,223 (3.2%) 2석 4석 없음
1,211,202 (4.3%) 2석
대안과전망 48,112 (0.2%) 0석 0석 -4
65,673 (0.2%) 0석
자유통일당 642,123 (2.1%) 0석 0석 -1
635,331 (2.2%) 0석
진보당 911,223 (3.0%) 8석 9석 +8
1,376,206 (4.8%) 1석
새로운선택 54,130 (0.2%) 0석 0석 -1
215,520 (0.5%) 0석
새진보연합 138,310 (0.3%) 0석 0석 -1
더불어민주연합 공동비례로 대체
시대정신 지역구 후보 없음 9석 +9
4,012,303 (14.1%) 9석
한국의희망 112,903 (0.4%) 0석 0석 -1
69,621 (0.2%) 0석
녹색당 269,441 (0.6%) 2석 4석 +4
1,076,502 (3.3%) 2석
노동당 40,231 (0.1%) 1석 1석 +1
비례대표 후보 없음
무소속 71,123 (0.2%) 0석 0석 -
원외정당
기타 정당 802,724 (2.6%) 0석 0석
140,804 (0.4%)
정당연합별 결과
정당 득표수 지역구 / 비례대표 총합 증감
민주진보연대 10,271,941 (31.7%) 90석 101석 -
15,365,032 (47.5%) 11석
시민연합 8,587,359 (28.3%) 84석 103석 -
8,266,415 (27.2%) 19석
미래대연합 1,149,588 (3.8%) 4석 4석 -6
1,562,016 (5.1%) 0석
국민중심선거연대 0 (0%) 0석 0석
0 (0%)
내일로미래로 0 (0%) 0석 0석
0 (0%)
자유연합 0 (0%) 0석 0석 -1
0 (0%) 0석
제22대 국회 구도
보수 국민의힘 91석
제3지대 변화당 87석
개혁신당 4석
민주 더불어민주당 92석
시대정신 9석
국민신당 1석
진보 진보당 8석
녹색당 4석
노동당 1석
새진보연합 1석
새시민당 1석
상세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더불어민주연합 94석, 국민의힘·국민의미래 91석, 변화당 87석, 진보당·시대정신 9석, 개혁신당·녹색당 4석, 국민신당·노동당이 각각 1석을 확보했다. 의석 수에 따라 범야권이 209석, 여권이 91석으로 범야권이 압도적인 여소야대를 이루게 되면서 향후 윤석열 정부와 집권 세력의 국정 동력에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이지만, 3당 모두 과반 확보에 실패하면서 국회 역사상 두 번째로 '동률 국회'가 탄생하게 되었다.

'정권 심판'과 '야당 심판'을 각각 내세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변화당과 민주진보연대 후보를 겨냥한 선거운동 방해에 대한 미흡한 대처, 변화당의 돌풍, 위성정당 심판론 등으로 부진할 가능성이 높아졌고, 결국 민주당은 과반 확보 실패, 국민의힘은 개헌저지선 확보 실패라는 최악의 성적을 거두었다. 여기에 이재명, 한동훈이 적지 않은 타격을 입으며 책임론이 불거졌고, 양당 간 극한 대립이 변화당의 득세로 이어졌다는 것을 스스로 입증하게 되었다.

반면 변화당은 양당 지지자들의 선거운동 방해에 대한 강경 대처와 유권자들의 동정론이 힘을 얻은데다, 정당연합을 통한 청년·진보·무당층 결집, 양당·정권 심판론의 효과로 의석이 늘어난 것은 물론 제3당으로서의 현상유지에 성공했다. 물론 막판에 민진연-미래연 선거연대로 지지세가 빠졌고, 본래 목표였던 개헌저지선까지는 미치지 못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이번 총선의 최대 수혜자로서 제3지대 진영에서의 높은 성과를 이루었다.

군소정당 중에서는 진보당이 민주진보연대의 결집 효과로 9석을 흭득했고, 시대정신도 친민주당 지지층의 분산 투표로 9석을 확보해 3당 다음으로 큰 수혜를 보게 되었다. 같은 민진연 소속인 녹색당과 노동당도 진보, 무당층 결집과 전략 투표로 원내 입성에 성공했으며, 제3지대 세력인 개혁신당은 후보의 개인기와 민진연-미래연 선거연대 효과로 4석을 얻는 데 그쳤으나 국민신당은 세종시 갑을 제외하면 예상과는 달리 별 다른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총선의 여파로 변화당이 제3당이자 캐스팅보터 역할을 해야하는 만큼 양당과의 관계도 다시 정립해야 하는데다, 양당은 변화당을 배제했다간 정치적 타격이 클 것을 우려해 변화당과 손을 내밀고 있어 향후 3당 간 협치가 잘 이루어질 수 있을지가 과제로 남아 있다. 하지만 김건희 특검법이나 코스프레 규제법 등 주요 쟁점 법안들로 충돌할 가능성이 높고, 상임위 구성 과정에서도 큰 난항이 예상되는 등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정당별
자세한 내용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변화)/정당별 결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개요  ·  선거구  ·  배경  ·  투개표 현황  ·  참여 정당  ·  선거 결과  ·  여담
내용이 방대함에 따라, 개별 문서로 이동합니다.
여러분은 지금 변화의 시대를 보고 계십니다. 모든 문서는 공식 설정이자 허구임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