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와르샤와): 두 판 사이의 차이

147번째 줄: 147번째 줄:
태국의 정치는 크게 입헌군주정의 틀 안에 짜여져 있으며, 세습 군주가 국가 최고수반의 자격을 가지며 현재의 국가수반은 2016년 10월에 즉위한 {{color|#337AB7|마하 와치랄롱꼰}}(라마 10세)이다. 헌법에 의하면 국왕은 국가의 상징이며 태국군의 최고사령관, 그리고 태국 불교의 최고지도자들 중 한 명이기도 하다. 후계자를 선정할 권한이 있으며, 왕실 내탕금도 마음대로 운용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는 정치에 간섭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으나, 왕실이 정치에 관여하는 경우가 상당히 잦으며 모든 헌법에도 국왕의 정치권을 암묵적으로 보장하고 있다. 결국 21차 헌법에서 국왕이 정치에 간섭해선 안되는 원칙을 깨버리고 국왕에도 정치에 참여할 수 있도록 바꾸게 되었다. 이처럼 국왕의 권위가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태국에서 국왕을 모욕하는 행위는 무례죄로 징역 30년 혹은 국외 추방 처벌을 받는다. 또 태국은 공식적으로는 삼권분립제를 채택하고 있다.
태국의 정치는 크게 입헌군주정의 틀 안에 짜여져 있으며, 세습 군주가 국가 최고수반의 자격을 가지며 현재의 국가수반은 2016년 10월에 즉위한 {{color|#337AB7|마하 와치랄롱꼰}}(라마 10세)이다. 헌법에 의하면 국왕은 국가의 상징이며 태국군의 최고사령관, 그리고 태국 불교의 최고지도자들 중 한 명이기도 하다. 후계자를 선정할 권한이 있으며, 왕실 내탕금도 마음대로 운용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는 정치에 간섭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으나, 왕실이 정치에 관여하는 경우가 상당히 잦으며 모든 헌법에도 국왕의 정치권을 암묵적으로 보장하고 있다. 결국 21차 헌법에서 국왕이 정치에 간섭해선 안되는 원칙을 깨버리고 국왕에도 정치에 참여할 수 있도록 바꾸게 되었다. 이처럼 국왕의 권위가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태국에서 국왕을 모욕하는 행위는 무례죄로 징역 30년 혹은 국외 추방 처벌을 받는다. 또 태국은 공식적으로는 삼권분립제를 채택하고 있다.


입법부의 공식 명칭은 '''{{color|#337AB7|태국 왕립의회}}'''로, 정원은 580석이다. 최근 선거는 2022년으로, {{color|#337AB7|국민국가세력당}}이 전체 의석 중 375석을 차지한 반면, 의석을 가졌던 {{color|#337AB7|국가자랑당}}, {{color|#337AB7|국민통합민주당}}이 현재 친정부 성향을 띄어 현재 소수 정당과 함께 연립 내각에 뛰어들고 있다.
입법부의 공식 명칭은 '''{{color|#337AB7|태국 왕립의회}}'''로, 정원은 580석이다. 최근 선거는 2022년으로, 여당 {{color|#337AB7|국민국가세력당}}이 전체 의석 중 375석을 차지한 반면, 의석을 가졌던 {{color|#337AB7|국가자랑당}}, {{color|#337AB7|국민통합민주당}}이 현재 친정부 성향을 띄어 현재 소수 정당과 함께 연립 내각에 뛰어들고 있다.


사법부는 헌법에 의하면 행정부와 입법부로부터 완전 독립되어 자유로워야하지만, 최근 들어 태국 법원에서 편파적인 판정이 연달아 나오며 현존 법보다 정치에 더 신경을 쓰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2020년 민주화 운동과 그 이후의 반정부 시위 판결에서도 왕실과 경찰에 유리한 판결이 나오면서 논란이 더 커질 전망이다.
사법부는 헌법에 의하면 행정부와 입법부로부터 완전 독립되어 자유로워야하지만, 최근 들어 태국 법원에서 편파적인 판정이 연달아 나오며 현존 법보다 정치에 더 신경을 쓰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2020년 민주화 운동과 그 이후의 반정부 시위 판결에서도 왕실과 경찰에 유리한 판결이 나오면서 논란이 더 커질 전망이다.

2021년 3월 14일 (일) 20:05 판


A WARSAW FICTIONAL PROJECT / 2024
모든 설정들은 제작자 본인이 제작한 것으로, 퍼블릭 도메인과 제작 인증의 적용을 받습니다.
태국
타이 왕국
ราชอาณาจักรไทย
국기 국장
'ชาติ ศาสนา พระมหากษัตริย์
국가, 종교, 국왕'
상징
국가 태국 국가
국화
라차프륵
위치
width: calc(100% + 5px)
역사
[ 펼치기 · 접기 ]
  • 수코타이 왕조 성립 1238년
  • 아유타야 왕조 성립 1351년
  • 톤부리 왕조 성립 1768년
  • 짜끄리 왕조 성립 1782년 4월 6일
  • 시암 혁명 1932년 6월 24일
  • 2014년 태국 쿠데타 2014년 5월 22일
  • 신헌법 채택 2021년 9월 1일
  • 사실상 절대군주정 수립 2022년 4월 25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방콕
면적
513,120㎢
내수면 비율
0.4%
접경국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69,950,844명
밀도
132.1명/km2 | 세계 88위
인종
타이족 75% (콘타이족 34.1%, 이산족 24.9%, 콘무앙족 9.9%, 남부인 7.5%)
중국계 14%
기타 12% (카렌족, 말레이족, 몽족, 크메르족 등)
공용어
태국어(ภาษาไทย)
공용 문자
태국 문자
종교
국교
국교 없음(정교분리)
분포
상좌부 불교 94%
이슬람교 5%
기독교 0.9%
힌두교 0.1%
군대
태국 왕립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주(짱왓)
77개
구역(암프)
878개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정치: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다당제, 단원제, 문민통제
왕실: 절대군주제
민주주의 지수
167개국 중 117위 (권위주의 체제)
국가 원수 (국왕)
마하 와치랄롱꼰 (라마 10세)
정부
요인
왕립총리
쁘라윳 짠오차
왕립부총리 겸
국방권력부장관
쁘라윗 웡수완
왕립의회
의장
우타마 사바나야나
왕립군
참모총장
나롱 피파타나사이
내각조직위원장
쁘라찐 짠똥
국가수호경찰청장
타나삭 빠띠마쁘라꼰
여당
인민수호당
연립 여당
국민통합민주당
국가자랑당
원내 야당
민주전진당[1]
프어타이당[1]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협동주의적 시장경제
GDP
(PPP)
전체 GDP
$5,092억
1인당 GDP
$7,295
GDP
(명목)
전체 GDP
$1조 2,614억
1인당 GDP
$18,072
외환 보유고
$1조 1,600억
신용 등급
무디스 Baa1
S&P BBB+
Fitch BBB+
화폐
공식 화폐
바트(฿)
ISO 4217
THB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불기
시간대
UTC+7
도량형
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무비자 입국
양국 모두 90일
주한대사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대사관로 42[2]
ccTLD
.th, .ไทย
국가 코드
764, THA, TH
전화 코드
+66
여행 경보
[ 펼치기 · 접기 ]
특별여행주의보
전 지역[3]


타이 왕국(태국어: ราชอาณาจักรไทย 랏차 아나짝 타이[*]) 또는 태국(태국어: ประเทศไทย 쁘라텟타이[*])는 동남아시아 말레이반도인도차이나반도 사이에 걸쳐 있는 나라이다. 약 77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고, 전체 면적은 513,120㎢, 인구는 약 6,900만 명으로 동남아시아 나라 중 5위를 차지한다. 세계에서 50번째로 면적이 넓은 국가이며, 22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이기도 하다. 수도이자 최대 도시는 방콕이다. 북쪽으로는 미얀마, 라오스와 접경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라오스, 캄보디아와 접하고 있다. 남쪽에는 타이만말레이시아가 있고, 서쪽에는 안다만해가 있다. 해상 국경으로는 베트남인도네시아, 인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태국은 입헌군주제를 채택한 왕정이지만, 역사적으로 수많은 쿠데타와 군사 독재를 거치며 현재까지도 제대로 된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있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결국 2014년 쿠데타 이후 기존 헌법을 폐지하여 새 헌법을 공포했고, 2022년 4월 25일에는 총리 쁘라윳 짠오차가 왕립총리 직을 맡고, 쁘라윗 웡수완이 왕립부총리 겸 태국 국방권력부 장관을 맡아 내각 개편이 진행되었으나, 문민 통제와 언론 검열 등이 더욱 강화되어 동남아시아 나라 중에서 현재 군부의 집권을 받고 있는 미얀마, 절대군주정 체제인 브루나이와 함께 사실상 민주주의가 존재하지 않는 나라로 불리고 있다.

타이족은 약 11세기 즈음에 중국 남서부에서 동남아 반도로 이주해왔다. 이후 인도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몬 왕국, 크메르 제국, 말레이 군주국들이 등장하여 현재 태국계 왕조인 수코타이 왕국, 란나 왕국, 아유타야 왕국과 경쟁을 별였다. 아유타야 왕국의 시기인 1511년부터는 포르투갈인들과 만나며 유럽과의 교역을 시작하였고, 아유타야 왕국은 15세기 즈음에 전성기를 맞아 지역 강국으로 번성하였다. 허나 왕국도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고, 결국 1767년에 버마-태국 전쟁으로 멸망하였다. 이후 탁신 장군이 왕국을 재통합하는 데에 성공했고, 단명한 톤부리 왕조를 세웠다. 그러나 탁신 장군은 폭정으로 인해 지지를 잃어 현재 짜끄리 왕조의 시조인 풋타엿파쭐라룩이 새로운 왕으로 즉위하였다. 풋타엿파쭐라룩은 선정을 펼쳐 국민들의 지지를 얻는 데에 성공하면서 현재의 국왕인 라마 10세까지 왕조를 잇고 있다.

태국은 동남아시아에서 서양에 의해 식민지화가 되지 않은 유일한 국가였다. 물론 서양 열강들에 의해 수많은 불평등 조약들을 맺고, 영토도 많이 뺏겼으나 가까스로 주권을 지키는 데에만은 성공한 것이다. 이후 태국은 라마 5세의 재위기에 절대군주정으로 변모하였고, 힘을 키워 제1차 세계대전에도 참전하였다. 그러나 1932년 시암 혁명 이후 태국은 입헌군주정이 되었으며 국명도 현재의 ‘태국’으로 바꾸었다. 2차 세계대전 동안에는 쁠랙 피분송크람이 집권하여 친일 성향을 강하게 드러내 일본 제국의 꼭두각시 국가라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1950년대 후반에는 사릿 타나랏 장군이 군부 쿠데타를 일으켰고, 이후에는 미국의 군사 동맹국이 되어 냉전기에 동남아시아의 공산화를 저지하는 방어막 역할을 했다. 1970년대 중반에는 잠시 민주화가 되나 싶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쿠데타와 함께 군사 독재를 겪는다. 2000년대에는 탁신 친나왓 총리의 지지자들과 반대자들의 갈등으로 정치 위기를 맞았고, 2014년에는 국가평화유지위원회쁘라윳 짠오차에 의해 쿠데타를 겪어 군정이 실시되었다.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경제적 타격과 현 정부의 강력한 문민 통제에 반발하여 2020년에 촉발된 민주화 운동이 벌써 1년 째 지속되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정부는 친군부, 왕실 세력들이 개정한 헌법 안건이 통과되어 9월 1일 공포하고, 2022년 4월 25일 짠오차 총리는 라마 10세를 국왕으로 하되, 내각을 전면 개편하기로 선언함에 따라 사실상 전제군주정이 들어서게 된다. 때문에 국제 사회에서는 헌법 개정의 이유가 민주화 운동 억제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기도 했다.

태국은 ASEAN의 창립 국가이며, 미국의 최우방 중 하나이다. 지도부가 번번이 교체되고 있기는 하지만 어쨌든 국제 사회에서는 엄연한 중견국으로 대접받으며, 동남아시아에서는 2번째로 거대한 경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인간개발지수도 매우 높다. 태국은 신흥개발국으로 분류되며, 관광업, 제조업, 농업 등에서 약진하고 있다.

국호

태국(泰國)이라는 명칭은 타이(태국어: ไทย)를 중국어에서 '타이'라고 발음되는 한자 '泰'로 음역한 것으로, 타이 왕국(泰王國)의 준말이다. 태국의 정식 국호는 태국어쁘라텟타이(태국어: ประเทศไทย →자유의 땅)이다. 영어권에서는 타일랜드(Thailand)라고 표기하고 있다.

1939년 6월에 국호를 시암(태국어: สยาม 사얌[*], Siam, 음역어: 섬라(暹羅)/섬라곡국(暹羅斛國))에서 타이로 고쳤다가, 1945년 9월에 다시 시암으로 되돌렸다. 1949년 5월 11일에 국호를 다시 타이로 고쳐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역사

태국은 대략 2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하기 시작했다. 가장 초기의 쌀 재배 유적은 기원전 2000년 즈음으로 기원전 1250년에서 1000년 사이에 청동기에 진입하였다. 특히 태국 북서부에 있는 반 치앙 유적지는 현재 동남아시아 전체에서 가장 오래된 구리 생산지로, 당시 태국 지역의 높은 문명 수준을 잘 보여주고 있다. 태국은 약 기원전 500년 정도에 철기 시대로 진입하였으며, 기원전 2세기 즈음에 태국에 세워진 푸난 왕국은 동남아 전체에서 가장 강력한 왕국이었다. 6세기에는 몬족들이 소왕국들을 세웠으며, 크메르인들은 9세기 경에 앙코르를 중심으로 크메르 제국을 세웠다. 말라카해협을 통과하는 무역로를 장악하여 번성한 탐브랄링가는 약 10세기 즈음에 생겨나 전성기를 맞았고, 이후 태국을 비롯한 동남아 지역은 인도의 문화에 강하게 영향을 받았으며, 푸난 왕국부터 크메르 제국 시기까지 지속적으로 인도식 문화와 전통이 동남아 전체로 뿌리깊게 스며들어왔다. 이후 타이족이 등장해 약 11세기 즈음 몬족과 크메르인들이 살고 있던 현재의 태국 영토로 이주하기 시작했으며, 서로 융합되며 풍요로운 문화를 발전시켜나갔다.

크메르 제국파간 왕국이 13세기 초에 쇠퇴하기 시작하자, 그 자리에 수많은 도시왕국들이 생겨나며 경쟁하였다. 한편 타이족은 끝없이 뻗어나가며 현재의 인도 동북부에서부터 현재의 라오스말레이반도로 이주하였으며, 13세기 즈음에 이르자 이미 대부분의 동남아 영토들까지 세를 뻗치고 있었다.

1230년대 후반 경, 타이족 계열의 지역 토후였던 씨인트라팃이 크메르를 상대로 반란을 일으켰고, 1238년에는 스스로 수코타이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수코타이 왕국람캄행 대왕의 재위기에 최전성기를 맞으며 영토를 급격히 늘려나갔다. 다만 이때까지만 하여도 수코타이 왕국은 중앙집권식 국가가 아닌, 여러 제후국들이 모여 만들어진 느슨한 집합체 정도에 불과하였다. 한편 람캄행 대왕은 현재의 타이 문자를 고안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현재 태국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마하 타마라차 1세는 태국에 처음으로 상좌부 불교를 들여오기도 했다.

한편 북쪽에서는 지역 왕조의 후계자인 망그라이가 1292년에 치앙마이를 중심으로 란나 왕국을 세웠다. 그는 주변 지역들을 통합하였고, 란나 왕국은 약 200여 년간 주변 일대를 다스리게 된다. 란나 왕국메콩강까지 이르는 정치 동맹을 구축하였으며, 전성기에는 수많은 인구를 거느리며 문화를 꽃피우기도 했다. 한편 짜오프라야 분지 하부에서는 롭부리, 아유타야 등의 도시들이 11세기에 건립되었다.

아유타야 왕국은 군대와 정략결혼을 반복하며 세를 불려 나갔고, 15세기에 이르자 크메르 제국을 공격하고 수도인 앙코르를 점령하였다. 아유타야는 크메르를 몰아내고 새 지역 강국으로 떠올랐으며, 기존의 수코타이 왕국마저 멸망시키며 아유타야에 편입시키는 데에 성공하였다. 보로마트라일록카낫 국왕은 왕국에 처음으로 봉건제를 도입하였고, 이 봉건제는 20세기까지 이어지며 ‘사끄띠나’라고 불리는 태국 특유의 계급제도를 만들어내게 되었다.

아유타야는 16세기 초에 처음으로 유럽과 교류를 가졌다. 포르투갈의 사절이 1511년에 왕국에 도착하였고, 당시 왕이었던 라마 티보디 2세에게 군사를 공물로 바쳤다. 이후 포르투갈의 뒤를 이어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 등이 연이어 도착하였다. 그러던 중 몬족이 아유타야 왕국으로 하여금 버마의 따웅우 왕조와 전쟁을 벌이도록 하였고, 1540년대부터 치열한 전쟁을 벌였으나 결국 1570년 아유타야 왕국의 수도가 함락되면서 처참하게 패하고 말았다. 이후 아유타야 왕국은 중흥군주 나레쑤언 국왕이 1584년 다시 독립을 선언하기 전까지 버마의 봉신국으로 남았다.

아유타야 왕국의 국왕들은 대를 이어가면서까지 유럽 열강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 노력하였다. 특히 나라이 국왕의 재위기에 동남아를 여행한 유럽 여행가들은 아유타야 왕국을 중국과 인도와 함께 아시아의 최강국들 중 하나로 묘사하기도 했을 정도였다. 다만 지나친 서양과의 친화정책은 민족주의자들의 강력한 반발을 낳았고, 결국 1688년에는 나라이 국왕에 반대하는 대대적인 반란이 터지기도 했다. 다만 이후에도 서양과의 관계는 지속적으로 원만하였고, 프랑스 선교사들도 활동을 계속하며 선교하였다.

아유타야는 나레쑤언 국왕이 버마에서의 독립을 선포한 이후, 이전의 피해를 회복하고 황금기에 들어섰다. 아유타야 왕국은 예술, 문학 등을 눈부시게 꽃피웠으며 교육을 중점으로 두어 다양한 문화 발전 정책을 펼쳤다. 또한 1715년에 캄보디아 지역의 통치권을 두고 베트남과 일부 전쟁을 벌인 것만 제외하면, 외교적으로도 매우 평화롭고 안정된 시기였다. 그러나 이런 황금기도 결국 끝을 맞았고, 피비린내나는 계승 전쟁이 일어나며 내분이 발생했으며 장관들과 왕자들이 혈투를 벌였다. 이렇게 왕국이 약해지는 도중, 1765년에 4만 명에 달하는 버마 군대가 아유타야를 침략하였으며 14달에 걸친 공성전 끝에 마침내 1767년 4월에 수도 아유타야가 함락되며 멸망하게 된다.

멸망 이후 태국은 정치적 대혼란에 휩싸였다. 버마 군대는 아유타야에 주둔을 계속하였으며, 그와중에 5명의 지방관들이 서로 국왕을 자처하고 전쟁을 벌였던 것이다. 이들 중 유능한 군사령관이었던 딱신 장군이 점차 내분 상태의 태국을 통합하여나가기 시작하였고, 짜오프라야강으로 함대를 보내 톤부리를 장악한 이후 같은 해에는 아유타야를 점거하고 있던 버마 군대도 수도가 점령된 지 약 7개월 만에 모두 몰아내는 데 성공하였다.

딱신 장군은 이후 왕으로 즉위하였고, 톤부리를 임시 수도로 삼아 톤부리 왕조를 세웠다. 그는 즉위 직후부터 전쟁을 벌여 버마 세력을 란나 지역에서 1775년에 쫒아내고, 1778년에는 비엔티안을 함락하였으며 1770년대에는 캄보디아에 태국에 종속된 왕조를 세우려고 시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톤부리 왕조 말기에 딱신 장군의 ‘광기’에 반란을 일으킨 쿠데타 세력이 딱신 왕을 몰아냈고, 그의 휘하 장군이었던 짜오프라야 차크리 장군이 딱신 왕과 아들들을 죽였다. 차크리 장군은 이후 1782년 4월 6일에 라타나코신 왕국을 건국하며 현재까지 이어지는 짜끄리 왕조를 세우게 된다.

라마 1세가 즉위한 이후, 라타나코신 왕국은 성공적으로 버마의 침략을 이겨냈으며 버마와의 오랜 전쟁에서 승리하였다. 또한 라마 1세는 라오스와 캄보디아의 거대한 영토를 병합하기도 하였다. 1821년에는 영국의 존 크로퍼드가 시암(태국의 이전 국명)을 방문하여 새로운 무역 조약을 맺으려 하였고, 1826년에는 시암은 영국과 버니 조약을 맺었다. 한편 라오스의 아누웡 국왕은 영국이 이 과정에서 시암을 침공할 것이라고 오해하였고, 1826년에 반란을 일으켜 시암을 공격하려 했다. 그러나 영국은 시암을 침략하지 않았고, 오히려 라오스는 처참하게 진압당했으며 대다수의 라오스 왕족들이 강제로 방콕으로 끌려가거나 처형당했다. 시암은 베트남과도 여러 차례 전쟁을 치루었고, 이 전쟁에서 베트남에 우위를 거두며 캄보디아에 대한 주권을 확립하였다.

19세기 후반, 시암은 여러 식민지들을 세워 민족적 구성이 다른 영토들까지 한꺼번에 통치하려 들었다. 몽꿋 국왕은 다가오는 서양의 제국주의 위협에 대해 인지하였고, 이후에는 영국 정부에 사절을 보내 긴장을 완화하려 들었다. 그러나 이후 시암을 만만하게 보기 시작한 영국은 홍콩 총독이었던 존 보링 경을 보내 보링 조약을 시암과 맺었으며, 이후에도 여러차례 시암과 강제적인 불평등 조약을 맺기 시작하였다. 한편 몽꿋 국왕은 말라리아로 일찍 사망하였고, 그의 뒤를 이어 아직 어린 라마 5세가 왕위에 올랐다.

라마 5세는 왕실위원회를 설치하고 노예제, 농노제를 폐지하는 등 급진적인 개혁 정책을 펼쳤고, 중앙집중적인 정책들을 많이 내놓았다. 1870년대와 80년대에는 북부에 있던 보호령도 모두 왕국으로 편입시켰으며, 영토를 동북쪽과 남쪽으로 뻗어나가기를 계속하였다. 그는 현재의 각기 부처와 비슷한 12개의 '크롬'을 설치하였으며, 여러 차례 근대화 개혁들을 실시하며 국력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그리고 영국과 프랑스가 태국을 사이에 두어 완충 국가로 만들기로 합의하면서 태국은 동남아에서 유일하게 서구 세력들에 의하여 식민화가 되지 않은 국가로 남아있을 수 있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국은 태국은 영국에게는 말레이 인종이 거주하는 말레이반도의 크다(Kedah)·프를리스(Perlis)·트렝가누(Terengganu)·클란탄(Kelantan)을, 프랑스에게는 메콩강 왼쪽 연안의 라오스를 떼어주어야 했다. 그러나 빠따니라 불리는 말레이 인종이 거주하는 나머지 지역은 오늘날에도 태국의 영토로 남아 있다. 그 외에도 치외법권 같은 불공정한 조약들도 여전히 남아있기는 하였다.

한편 시암은 연합국 측이 이전의 불평등 조약을 개정해주지 않을까하는 기대감 때문에 1917년에 제1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국의 편으로 참전하였다. 이후 세계대전이 연합국의 승리로 끝나자, 시암은 승전국이 되었으며 파리 평화회의에 참석하여 관세의 자유, 그리고 치외법권의 폐지 등을 얻어내는 데에 성공하였다.

1932년에는 쁠랙 피분송크람 장군과 태국 인민당의 주도로 무혈 쿠데타가 일어났고, 이 쿠데타로 인하여 국왕은 실권을 잃고 명예직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당시 국왕이었던 라마 7세는 강제로 헌법에 서명하도록 강요받았으며, 이로 인해 시암은 전제군주정에서 입헌군주정으로 체제가 바뀐다. 그러나 얼마 가지 않아 대공황의 바람이 시암에도 몰아닥쳤고, 쌀 가격이 폭락하고 경제가 급하강하자 국민들 사이에서 원성의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이후 1933년에 쿠데타 세력들을 몰아내고 전제군주정을 되돌리려는 복고 쿠데타가 벌어졌지만 실패하였다. 라마 7세는 지속적으로 정부와 갈등을 겪으며 관계가 악화되었고, 결국 반강제로 퇴위하였다. 라마 7세가 퇴위한 직후, 정부는 스위스에서 공부하고 있던 아난다를 새로운 국왕으로 즉위시키니 이가 바로 라마 8세이다.

이후 태국 인민당의 군부 출신 인사들이 점차 시암의 정치계를 장악해나가기 시작하였다. 피분송크람 장군은 1938년에 총리직에 올랐고, 정치적인 탄압과 동시에 반왕실 정책들을 펴나가며 독재 체제를 굳혔다. 송크람 정부는 반중, 반프랑스, 서구화 정책을 펼쳤고, 1940년에는 국호를 ‘시암’에서 ‘태국’으로 바꾸었다. 1941년에는 비시 프랑스 정부와 무력 충돌하였으며, 이 전쟁에서 승리하며 라오스와 캄보디아 영토 일부를 가져오는 데에 성공하였다. 1941년 12월 8일에는 일본 제국의 침공을 받았고, 일본과 싸울 여력이 없었던 송크람 정부는 개전 직후 휴전을 선언했다. 일본군은 태국을 자유롭게 드나들기 시작하고, 12월 21일에는 군사 협정을 맺어 일본이 태국이 서구 세력들에게 잃어버린 영토 수복을 도와주는 대신에 세계 대전에서 일본 편, 즉 추축국 편에서 싸우기로 합의하였다. 태국은 미국과 영국에 전쟁을 선포하였다. 그러나 송크람의 독재와 일본의 간섭에 맞서 국민들이 자유타이운동(Free Thai Movement)를 벌였기도 하였다. 1945년에는 일본이 완벽히 패망하며 세계 대전이 끝났다. 다만 승전국 측이었던 연합국들이 태국의 선전포고 사실 자체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간신히 패전국 신세는 면할 수 있었다.

1946년 6월에 젊은 라마 8세가 수상쩍은 총기 사고로 인하여 죽은 채로 발견되었다. 그의 뒤를 이어 그의 동생인 라마 9세가 왕위에 올랐다. 이후 태국은 1954년에 공산주의에 맞서 미국의 동맹국이 되었다. 1957년에는 사릿 타나랏 장군이 쿠데타를 일으켰고, 그동안 태국 정계를 지배해오던 태국 인민당을 쫒아낸 이후 권위주의적인 정책을 펼쳤다. 그는 신적인 왕실의 권위에 힘입어 자신의 정통성을 확립하였으며, 자신의 입맛에 맞지 않는 인물들을 서서히 제거해나가면서 권력을 굳혔다. 타나랏 장군은 태국의 인프라와 교육에 나름대로 심혈을 기울였으며, 1961년에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참여한 직후에는 미국과 군사협정을 맺어 미국의 태국 보호를 확인받기도 하였다.

이시기 태국 사회는 급격한 서양화와 현대화가 이루어졌다.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며 수많은 농촌 인구가 일자리를 찾아 방콕 등 대도시로 모여들었으며, 도시민들에 비하여 자신들이 소외받았다고 느낀 농촌의 농부들은 점차 공산주의에 빠져들었다. 한편 이시기에는 경제 발전이 급격히 이루어지며 방콕 등의 대도시에서 막대한 양의 중산층이 생겨나기도 했다. 1971년 10월에는 타놈 끼띠카쫀 총리의 독재에 맞서 대중들이 대규모 시위를 벌였고, 이 과정에서 민간인 사상자가 생기기도 했다. 결국 국왕이 직접 개입하여 끼띠카쫀 총리를 몰아내고 법학자 출신의 사냐 다르마삭티를 새로운 총리로 임명하며 1932년 이래 처음으로 국왕이 정치에 직접적으로 개입한 사례를 남겼다. 이후 태국은 극히 짧은 기간 동안 의회 민주주의를 맛보았는데, 이 얼마 되지 않은 민주화 시기를 태국 현지에서는 ‘민주주의가 꽃핀 시기(ยุคประชาธิปไตยเบ่งบาน)’라고 칭한다.

정치

1932년 이전까지만 해도 태국은 절대군주정이었는데, 현대 태국의 전신들 중 하나였던 수코타이 왕국에서는 국왕을 다르마, 즉 우주의 섭리에 따라 세계를 통치하는 절대자로 묘사하였고, 이 전통이 지역에 뿌리깊게 박혀있는 불교와 합쳐지며 국왕의 권위가 지금까지도 절대적인 수준에 이르게 된 것이다. 특히 명군이었던 라마 5세가 지방분권적인 제후국들로 나뉘어져 있던 태국을 중앙집중적인 국가로 탈바꿈시키는 데에 성공하면서 국왕의 권력은 강력해져만 갔다. 다만 1932년 6월 24일, 태국 인민당이 무혈쿠데타에 성공하며 권력을 국왕에게서 빼앗아 입헌군주정의 기틀을 닦았다.

태국은 1932년 이래 20번 이상이나 개헌을 해왔는데, 가장 최근의 개헌은 2021년에 있었다. 워낙 헌법이 자주 바뀐 만큼, 국가 체제도 여러 번 바뀌었는데 완전한 군부 독재체제에서 입헌 민주주의까지 다양한 체제를 왔다갔다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태국은 세계에서 4번째로 쿠데타가 많이 일어난 국가이며, 1932년부터 2009년 사이의 83년 동안 55년을 군부 출신 인사들이 태국을 지배했을 정도로 군부의 입김이 강력하고, 최근에 국가평화유지위원회가 쿠데타를 일으켜 2014년에서 2019년까지 태국의 권력을 휘어잡았었다. 현재 태국은 군부 출신의 총리가 집권하고 있지만 국왕이 정부, 내각의 권한을 제외한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기에 사실상 절대군주제인 셈이다. 다만 국왕이 실권을 잡았다면, 정부 역시 실권을 잡고 있어 절대군주제라 보긴 어려우며 사실상 입헌군주정에 절대군주제 요소가 포함된 형태로 본다.

태국의 정치는 크게 입헌군주정의 틀 안에 짜여져 있으며, 세습 군주가 국가 최고수반의 자격을 가지며 현재의 국가수반은 2016년 10월에 즉위한 마하 와치랄롱꼰(라마 10세)이다. 헌법에 의하면 국왕은 국가의 상징이며 태국군의 최고사령관, 그리고 태국 불교의 최고지도자들 중 한 명이기도 하다. 후계자를 선정할 권한이 있으며, 왕실 내탕금도 마음대로 운용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는 정치에 간섭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으나, 왕실이 정치에 관여하는 경우가 상당히 잦으며 모든 헌법에도 국왕의 정치권을 암묵적으로 보장하고 있다. 결국 21차 헌법에서 국왕이 정치에 간섭해선 안되는 원칙을 깨버리고 국왕에도 정치에 참여할 수 있도록 바꾸게 되었다. 이처럼 국왕의 권위가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태국에서 국왕을 모욕하는 행위는 무례죄로 징역 30년 혹은 국외 추방 처벌을 받는다. 또 태국은 공식적으로는 삼권분립제를 채택하고 있다.

입법부의 공식 명칭은 태국 왕립의회로, 정원은 580석이다. 최근 선거는 2022년으로, 여당 국민국가세력당이 전체 의석 중 375석을 차지한 반면, 의석을 가졌던 국가자랑당, 국민통합민주당이 현재 친정부 성향을 띄어 현재 소수 정당과 함께 연립 내각에 뛰어들고 있다.

사법부는 헌법에 의하면 행정부와 입법부로부터 완전 독립되어 자유로워야하지만, 최근 들어 태국 법원에서 편파적인 판정이 연달아 나오며 현존 법보다 정치에 더 신경을 쓰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2020년 민주화 운동과 그 이후의 반정부 시위 판결에서도 왕실과 경찰에 유리한 판결이 나오면서 논란이 더 커질 전망이다.

행정부는 태국 총리가 최고책임자이며, 총리는 왕립의회의 3분의 2가 찬성해야만 임명이 가능하다. 내각은 국왕이 직접 임명하며, 총리는 태국의 정부 수반이다. 또 부총리는 총리의 역할을 뒷받침해주는 직책인데다 부총리는 해당 장관직까지 맡을 수 있기 때문에 총리의 지명을 통해 임명이 가능하다.

  1. 1.0 1.1 현재 21차 헌법에 따라 선거 참여가 금지되어 있고, 다음 선거에서 헌법재판소에 의해 해산될 가능성이 높다.
  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폐쇄
  3.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경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