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 문자: 두 판 사이의 차이

36번째 줄: 36번째 줄:
!! style="background:#FFB366" colspan=2 | 제1열<br />(높은 [[무기음]])
!! style="background:#FFB366" colspan=2 | 제1열<br />(높은 [[무기음]])
!! style="background:#30D287" colspan=2 | 제2열<br />(높은 [[유기음]])
!! style="background:#30D287" colspan=2 | 제2열<br />(높은 [[유기음]])
!! style="background:#FF5B60" colspan=2 | 제3열<br />(낮은 [[장음]])
!! style="background:#FF5B60" colspan=2 | 제3열<br />(낮은 [[유성음]])
!! style="background:#53BEE2" colspan=2 | 제4열<br />(낮은 [[비음]])
!! style="background:#53BEE2" colspan=2 | 제4열<br />(낮은 [[비음]])
|-
|-
! style="background:#FECC99" | [[연구개음]]
! style="background:#FECC99" | [[연구개음]]
| style="background:#F9D3A5" | {{lang|bo|ཀ}}
| style="background:#F9D3A5" | {{lang|bo|ཀ}}
| style="background:#FFF1E1" | ka [{{IPA|k}}]
| style="background:#FFF1E1" | ka [{{IPA|k}}]
| style="background:#9EE2C8" | {{lang|bo|ཁ}}
| style="background:#9EE2C8" | {{lang|bo|ཁ}}
| style="background:#D5F3E8" | kha [{{IPA|kʰ}}]
| style="background:#D5F3E8" | kha [{{IPA|kʰ~ɡʱ}}]
| style="background:#FEB9B9" | {{lang|bo|ག}}
| style="background:#FEB9B9" | {{lang|bo|ག}}
| style="background:#FED9D9" | k‿a [{{IPA|}}]
| style="background:#FED9D9" | ga [{{IPA|ŋɡ}}]
| style="background:#98CDE8" | {{lang|bo|ང}}
| style="background:#98CDE8" | {{lang|bo|ང}}
| style="background:#C9E5F3" | nga [{{IPA|ŋ}}]
| style="background:#C9E5F3" | nga [{{IPA|ŋ}}]
51번째 줄: 51번째 줄:
! style="background:#FECC99" | [[경구개음]]
! style="background:#FECC99" | [[경구개음]]
| style="background:#F9D3A5" | {{lang|bo|ཅ}}
| style="background:#F9D3A5" | {{lang|bo|ཅ}}
| style="background:#FFF1E1" | ca [{{IPA|ʨ}}]
| style="background:#FFF1E1" | ca [{{IPA|ʨ}}]
| style="background:#9EE2C8" | {{lang|bo|ཆ}}
| style="background:#9EE2C8" | {{lang|bo|ཆ}}
| style="background:#D5F3E8" | cha [{{IPA|ʨʰ}}]
| style="background:#D5F3E8" | cha [{{IPA|ʨʰ~ʥʱ}}]
| style="background:#FEB9B9" | {{lang|bo|ཇ}}
| style="background:#FEB9B9" | {{lang|bo|ཇ}}
| style="background:#FED9D9" | c‿a [{{IPA|ʨː}}]
| style="background:#FED9D9" | ja [{{IPA|ɲʥ}}]
| style="background:#98CDE8" | {{lang|bo|ཉ}}
| style="background:#98CDE8" | {{lang|bo|ཉ}}
| style="background:#C9E5F3" | nya [{{IPA|ɲ}}]
| style="background:#C9E5F3" | nya [{{IPA|ɲ}}]
61번째 줄: 61번째 줄:
! style="background:#FECC99" | [[치경음]]
! style="background:#FECC99" | [[치경음]]
| style="background:#F9D3A5" | {{lang|bo|ཏ}}
| style="background:#F9D3A5" | {{lang|bo|ཏ}}
| style="background:#FFF1E1" | ta [{{IPA|t}}]
| style="background:#FFF1E1" | ta [{{IPA|t~d}}]
| style="background:#9EE2C8" | {{lang|bo|ཐ}}
| style="background:#9EE2C8" | {{lang|bo|ཐ}}
| style="background:#D5F3E8" | tha [{{IPA|tʰ}}]
| style="background:#D5F3E8" | tha [{{IPA|tʰ~dʱ}}]
| style="background:#FEB9B9" | {{lang|bo|ད}}
| style="background:#FEB9B9" | {{lang|bo|ད}}
| style="background:#FED9D9" | t‿a [{{IPA|}}]
| style="background:#FED9D9" | da [{{IPA|nd}}]
| style="background:#98CDE8" | {{lang|bo|ན}}
| style="background:#98CDE8" | {{lang|bo|ན}}
| style="background:#C9E5F3" | na [{{IPA|n}}]
| style="background:#C9E5F3" | na [{{IPA|n}}]
71번째 줄: 71번째 줄:
! style="background:#FECC99" | [[양순음]]
! style="background:#FECC99" | [[양순음]]
| style="background:#F9D3A5" | {{lang|bo|པ}}
| style="background:#F9D3A5" | {{lang|bo|པ}}
| style="background:#FFF1E1" | pa [{{IPA|p}}]
| style="background:#FFF1E1" | pa [{{IPA|p~b}}]
| style="background:#9EE2C8" | {{lang|bo|ཕ}}
| style="background:#9EE2C8" | {{lang|bo|ཕ}}
| style="background:#D5F3E8" | pha [{{IPA|pʰ}}]
| style="background:#D5F3E8" | pha [{{IPA|pʰ~bʱ}}]
| style="background:#FEB9B9" | {{lang|bo|བ}}
| style="background:#FEB9B9" | {{lang|bo|བ}}
| style="background:#FED9D9" | p‿a [{{IPA|}}]
| style="background:#FED9D9" | ba [{{IPA|mb}}]
| style="background:#98CDE8" | {{lang|bo|མ}}
| style="background:#98CDE8" | {{lang|bo|མ}}
| style="background:#C9E5F3" | ma [{{IPA|m}}]
| style="background:#C9E5F3" | ma [{{IPA|m}}]
81번째 줄: 81번째 줄:
! style="background:#FECC99" | [[파찰음]]
! style="background:#FECC99" | [[파찰음]]
| style="background:#F9D3A5" | {{lang|bo|ཙ}}
| style="background:#F9D3A5" | {{lang|bo|ཙ}}
| style="background:#FFF1E1" | tsa [{{IPA|ʦ}}]
| style="background:#FFF1E1" | tsa [{{IPA|ʦ}}]
| style="background:#9EE2C8" | {{lang|bo|ཚ}}
| style="background:#9EE2C8" | {{lang|bo|ཚ}}
| style="background:#D5F3E8" | tsha [{{IPA|ʦʰ}}]
| style="background:#D5F3E8" | tsha [{{IPA|ʦʰ~ʣʱ}}]
| style="background:#FEB9B9" | {{lang|bo|ཛ}}
| style="background:#FEB9B9" | {{lang|bo|ཛ}}
| style="background:#FED9D9" | ts‿a [{{IPA|ʦː}}]
| style="background:#FED9D9" | dza [{{IPA|}}]
| style="background:#D9D9D9" | {{lang|bo|ཝ}}
| style="background:#D9D9D9" | {{lang|bo|ཝ}}
| style="background:#F3F3F3" | wa [{{IPA|w}}]
| style="background:#F3F3F3" | wa [{{IPA|w}}]
91번째 줄: 91번째 줄:
! style="background:#A392B7" | (저음)
! style="background:#A392B7" | (저음)
| style="background:#C4B6CE" | {{lang|bo|ཞ}}
| style="background:#C4B6CE" | {{lang|bo|ཞ}}
| style="background:#DCD4E2" | sh‿a [{{IPA|ɕː}}]
| style="background:#DCD4E2" | zha [{{IPA|ʑ}}]
| style="background:#C4B6CE" | {{lang|bo|ཟ}}
| style="background:#C4B6CE" | {{lang|bo|ཟ}}
| style="background:#DCD4E2" | s‿a [{{IPA|}}]
| style="background:#DCD4E2" | za [{{IPA|z}}]
| style="background:#C4B6CE" | {{lang|bo|འ}}
| style="background:#C4B6CE" | {{lang|bo|འ}}
| style="background:#DCD4E2" | h‿a [{{IPA|}}]
| style="background:#DCD4E2" | 'a [{{IPA|ɦ}}]
| style="background:#C4B6CE" | {{lang|bo|ཡ}}
| style="background:#C4B6CE" | {{lang|bo|ཡ}}
| style="background:#DCD4E2" | ya [{{IPA|j}}]
| style="background:#DCD4E2" | ya [{{IPA|j}}]

2020년 2월 15일 (토) 19:00 판

티베트 문자
유형 아부기다
표기 언어 티베트어, 종카어
사용 시기 650년 ~ 현재
계통 원시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아람 문자
   브라미 문자
    굽타 문자
     범자(나가리 문자)
      티베트 문자


음소문자역사

원시 시나이 문자 (기원전 18 ~ 15세기)

메로이트 문자 (기원전 3세기)
오검 문자 (4세기)
한글 1443년
캐나다 문자 1840년
주음부호 1913년
전체 분류
v  d  e  h

티베트 문자(藏文字母, Tibetan script)는 티베트어의 표기에 이용하는 문자이다. 인도계의 표음문자이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몇 안 되는 변경을 더해 티베트계 여러 언어(종카어, 바르티어 등)의 표기에도 이용된다. 기원은 옛날에는 브라미 문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은 확실하지만, 브라미 문자의 어느 변종이 직접적인 기원이 되었는가는 데바나가리 문자, 그프타 문자, 네워르 문자 등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전해 내려오는 말에 의하면, 7세기 중반 티베트의 특사 Thonmi Sambhota가 여러 명의 인도 불교 승려와 함께 만들어 냈다고 한다.

티베트 문자는 자음을 나타내는 기본 자모의 주위에 모음 기호와 보조 기호가 조합원을 형성하여 하나의 문자가 형성한다. 음절마다 ' (활자에서는 역삼각형 ▼)로 단락지어 표기한다. 로마자에 전사하는 방식은 통일되어 있지 않고, 여러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자음과 모음

자음

티베트어의 자음은 제5행 제4열에 위치한 ཝ(wa)를 제외하고는 가로 방향, 세로 방향으로 갈 수록 고유의 음성을 띠고 있다. 아래에 있는 자음은 각 단마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쪽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나열한 것이다.

티베트어 자음
제1열
(높은 무기음)
제2열
(높은 유기음)
제3열
(낮은 유성음)
제4열
(낮은 비음)
연구개음 ka [k~ɡ] kha [kʰ~ɡʱ] ga [ŋɡ] nga [ŋ]
경구개음 ca [ʨ~ʥ] cha [ʨʰ~ʥʱ] ja [ɲʥ] nya [ɲ]
치경음 ta [t~d] tha [tʰ~dʱ] da [nd] na [n]
양순음 pa [p~b] pha [pʰ~bʱ] ba [mb] ma [m]
파찰음 tsa [ʦ~ʣ] tsha [ʦʰ~ʣʱ] dza [] wa [w]
(저음) zha [ʑ] za [z] 'a [ɦ] ya [j]
(저음 / 고음) ra [ɹ] la [l] sha [ɕ] sa [s]
(고음) ha [h] a [음가 없음]

모음

티베트어는 기본 글자만으로 /ɑ/를 드러내기 때문에 4개의 모음 기호가 있다. 또한 모음 a /ɑ/, u /u/, o /o̞/는 설첨음인 -ད(d), -ན(n), -ལ(l), -ས(s) 가운데 하나가 뒤에 오면 각각 ä /æ/, ü /y/, ö /ø̞/로 변화한다.

모음 부호 부호 이름 발음
없음 [ɑ] ([æ] -d, n, l, s) (ka), (ta), (a)
◌ི གི་གུ (gi gu) [i] ཀི (ki), ཏི (ti), ཨི (i)
◌ུ ཞབས་ཀྱུ (zhabs kyu) [u] ([y] -d, n, l, s) ཀུ (ku), ཏུ (tu), ཨུ (u)
◌ེ འགྲེང་པོ ('kreng po) [e̞] ཀེ (ke), ཏེ (te), ཨེ (e)
◌ོ ན་རོ (na ro) [o̞] ([ø̞] -d, n, l, s) ཀོ (ko), ཏོ (to), ཨོ (o)

티베트 숫자

티베트 숫자
아라비아 숫자 0 1 2 3 4 5 6 7 8 9

유니코드

유니코드에서 티베트 문자는 U+0F00–U+0FFF에 해당된다.[1]

티베트 문자틀:Ref label틀:Ref label틀:Ref label
Official Unicode Consortium code chart (PDF)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U+0F0x
U+0F1x
U+0F2x
U+0F3x ༿
U+0F4x
U+0F5x
U+0F6x
U+0F7x ཿ
U+0F8x
U+0F9x
U+0FAx
U+0FBx ྿
U+0FCx
U+0FDx
U+0FEx
U+0FFx
Notes
1.[notes 1]As of Unicode version 7.0
2.[notes 2]Grey areas indicate non-assigned code points
3.[notes 3]Unicode code points U+0F77 and U+0F79 are deprecated as of Unicode version 6.0

관련 항목

각주

외부 링크

틀:전거 통제
인용 오류: "notes"이라는 이름을 가진 그룹에 대한 <ref> 태그가 존재하지만, 이에 대응하는 <references group="notes" />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