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

공화제 국가의 정치체제 종류들에 대하여 알아보자

Profile
SPQR

일반적으로 공화제 국가들의 정치체제는 크게 세가지로 나뉜다.

대통령제(Presidential system),

의회공화제(Parliamentary republic),

이원집정부제(Dual executive system)이다.

 

대통령제의 대표적인 국가들로는 대한민국과 미국 등이 있으며,

의회공화제의 대표적인 국가들로는 독일 등이 있고,

이원집정부제의 대표적인 국가들로는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등이 있다.

 

이제 설명을 시작해보자.

 

대통령제는 독립 직후 미국에서 처음 시작된 제도로, '대통령(President)', 또는 그에 준하는 직책이 국가의 국가원수와 정부수반 역할을 모두 겸하는 제도이다. 대통령제가 처음 등장했을 당시(18세기 후반)까지만 해도 군주제 국가들이 절대다수였기에 처음에는 '임기가 있는 선출직 군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이는 역사상 최초의 대통령인 미국의 '조지 워싱턴'이 자신의 임기만을 딱 지키고 퇴임하면서 조금식 정착되었다.

 

의회공화제는 그냥 긴 설명 없이 의원내각제 입헌군주국에서 군주의 역할이 대통령으로 바뀌었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이런 경우 대통령을 간선제로 뽑는 경우도 많으며, 그렇기에 보통 이런 나라들에서 대통령직은 정치생명이 끝나가는 원로들이 맡는 한직()으로 취급된다.

 

이원집정부제는 약간 복잡한데, 그냥 국가원수(대통령)과 정부수반(총리)의 역할을 나누어 국가원수는 외치(외교), 정부수반은 내치(국정)을 따로 맡는, 다시말해서 대통량제와 의원내각제의 절충형과 같은 형식이다.

하지만 원래 국정이라는 것이 보기 좋게 딱딱 나누기 힘든 것이기에 필연적으로 국가원수, 또는 정부수반이 국정운영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또

프랑스식 이원집정부제(국가원수 우세)와 오스트리아식 이원정부제(정부수반 우세)로 나누기도 한다.

 

 

이제 여기서 끝내고 다음에 다시 만나도록 하자.

여태까지의 내용들 중에서 틀린 내용이나 개선할 점, 궁금한 점 등이 있다면 언제든지 말해주기 바란다.

댓글
1
  • SPQR
    작성자
    2시간 전
    의외로 조회수가 빨리빨리 올라가네ㄷㄷ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정보게시판 이용에 관한 필수 안내 21.01.01 46290 5
🗽정치 공화제 국가의 정치체제 종류들에 대하여 알아보자 (1) N 2시간 전 49 0
134 📝역사 서유럽 대의제의 중세적 기원 (2) 25.01.15 356 5
133 ✝️종교 한국의 사이비 종교에 대해 알아보자 (3) (6) 24.07.02 1194 4
132 ✝️종교 한국의 사이비 종교에 대해 알아보자 (2) (1) 24.07.02 655 5
131 ✝️종교 한국의 사이비 종교에 대해 알아보자 (1) (1) 24.07.02 1335 5
130 🗃️기타 다양한 원단에 대해 알아보자 (2) 24.04.30 468 7
129 🪙경제 세계적 환경정책 강화 기조와 한국 (1) 23.10.05 656 11
128 🗃️기타 한국에서 처음 선보인 "상온상압 초전도체" LK-99 (3) 23.07.28 786 6
127 🔮철학 책 "우리 안의 파시즘:인간성을 파괴하는 한국의 군사주의, 박노자"를 읽고. (5) 23.07.14 542 5
126 🗽정치 어떻게 한일은 65년에 정상수교를 할 수 있었을까? (5) 23.03.28 665 11
125 📝역사 천황과 막부의 대립 : 존호 사건(尊号一件) (3) 23.03.23 628 7
124 🗽정치 경제학으로 보는 안철수 현상, 그리고 안철수의 실패 (1) 23.03.20 689 11
123 📝역사 일본 역사의 한 장면 : 하야토의 반란 (3) 23.03.19 372 7
122 🗽정치 국제관계의 분석틀 - 동맹관계의 연루와 방기 (4) 23.03.14 422 11
121 📝역사 내가 써먹으려고 쓰는 가바네(性) 글 -1- (2) 23.03.13 332 5
120 🗃️기타 'MZ세대', 과연 청년들을 대변할 신조어인가 (4) 23.02.19 612 6
119 🈴언어 대만에서 사용된다는 이란 크리올어 (2) 23.02.11 407 5
118 ⚔️군사 '시모 해위해', 그는 누구인가? (1) 23.01.10 384 6
117 🔮철학 현대 철학의 지배적인 흐름들 (2) 23.01.10 355 6
116 📝역사 중세 유럽의 정치사상 1부 3장 (2) 22.12.26 261 5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ID/PW 찾기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