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 연맹군 多國籍 聯盟軍 Multinational Forces of League Völkerbundeswehr | |
![]() | |
창립일 | 1950년 2월 2일 |
---|---|
국적 | ![]() |
편제 | ![]() ![]() |
충원방식 | 모병제 |
상비군 | 17만 8천명 |
예비군 | 7만 2천명 |
지휘체계 | |
명령체계 | ![]() ![]() ![]() |
본부 | ![]() ![]() |
연합참모장 | 파울 폰 팔켄하임 |
군사비 | |
방위산업 | |
함께 읽기 |
다국적 연맹군(多國籍 聯盟軍, 영어: Multinational Forces of League, 독일어: Völkerbundeswehr, 프랑스어: Forces multinationales de la Ligue)은 국제 연맹 휘하의 군사 단체이다. 이 단체는 유사 상태시 평화와 국제 질서 회복을 위해 국제 연맹의 회원국의 국민이 자원하거나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파병한 병사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주로 지역 질서에 위해를 가하는 무장 집단을 괴멸시키거나 국가간 분쟁에서 평화 협정을 주도하고 이를 이행하고 피해를 복구하는 등의 활동을 한다. 이를 위해 연맹군은 연맹의 다양한 국가와 주 정부, 조직내 국제적 수준에서 잠재적 분쟁지역을 선별하고 감시하며 관찰한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연맹의 결의를 실현하고 회원국 간의 신뢰 구축 및 결속을 제고한다. 또한 지역의 질서 유지와 함께 치안 유지, 법치주의 강화, 경제적 사회적 발전 지원 등의 영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동하고 있다.
1 구성과 조직
1.1 모병방식
다국적 연맹군은 표면상으로 모병제를 채택하고 있는데 이는 회원국의 만 18세부터 만 35세까지의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들은 만 18세부터 연맹군에 자의로 가입 신청을 할 수 있으며 이는 빈 본부와 각 지역 사무국에서 모병 업무를 맡아서 처리한다. 이들은 빈과 제네바 본부 등지에서 3개월 간 기초 훈련을 받고 정식 군인으로 등록된다. 연맹군의 군인가 되면 기존의 국적은 포기되며 국제 연맹의 특수 국적을 부여받는다. 이를 통해 그들은 모국의 징병령에 해당하지 않으며 오직 연맹군에서 복무하도록 강제된다. 하지만 본인의 국적을 포기하지 않고 연맹군에 복무할 수 있는데, 이는 본국의 군대에서 연맹군으로 파견되는 경우이다. 파견병으로 연맹군에서 공동으로 작전하는 동안, 그들은 연맹군의 지휘체계에 편입되며 기한이 끝난 뒤 본국으로 귀환한다. 이러한 각국의 자발적 파병으로 연맹군은 상비군 이상의 군사력을 얻을 수 있으며, 대규모 분쟁에도 개입하여 작전을 수행한다.
장교나 부사관의 경우에는 국제 연맹 휘하의 사관학교나 부사관 학교에 지원하여 임관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연맹군의 병으로 성실히 활동하여 승급할 수 있다.
1.2 명령체계
다국적 연맹군은 세 가지 권력에 의해 통제된다. 첫 번째 통제자는 유엔 사무총장으로 해당 임무의 공식적인 지도자이다. 두 번째 통제자는 해당 임무에 의해 결성된 다국적 연맹군의 사령관이다. 마지막으로는 다국적 연맹군의 보급과 지원을 담당하는 행정관이 다국적 연맹군의 임무에 관여하게 된다.
먼저 국제 연맹 총회에서 질서, 평화 또는 치안 유지나 분쟁 개입 활동이 결의되면 국제 평화유지위원회를 통해 해당 국가 또는 지역의 국제 연맹 활동을 위한 방안을 수립한다. 이러한 활동에 분쟁의 억제를 위한 군사력이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 이사회 또는 총회 중 한 곳의 승인을 얻어 다국적 연맹군을 분쟁에 개입시킬 수 있다. 이 때 다국적 연맹군 사무소가 업무를 인계하여 군을 파견하고 작전을 수행한다. 이 때, 예비군은 총회 2/3의 승인이 있어야 활용할 수 있다.
1.3 구성과 편제
다국적 연맹군은 크게 연맹지상군과 연맹해군으로 구분되며 공중부대는 각각의 휘하에 연맹지상군 항공대와 연맹해군 항공대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항공기는 지상군이 운영하며 함재기와 일부 헬기만 해군 항공대가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지상군 휘하에는 국제 연맹 정보군으로 간첩과 방첩을 주관하는 기관이 자리잡고 있다.
2 역사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많은 국력을 소비한 열강들이 식민지와 피지배층의 독립운동과 봉기에 위협을 느꼈다. 1950년대에 이르러 국제 정세에 민족자결주의가 대두되자 이들은 유사 상태에 대비하기 위해 공동 군사 체제를 요구했다. 그 결과 독일의 주도하에 국제 연맹의 군사력 동원을 승인했으며 1950년 2월 2일, 국제 연맹이 투사할 수 있는 최종적 압력인 폭력적 수단으로서 창설되었다. 이들은 대외적으로 분쟁지역에 개입하여 연맹의 결의안에 따른 사안을 확실히하고 분쟁을 끝맺는다는 명목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2.1 지상군
창설 초기에는 그나마 경제적으로 여유로웠던 독일, 이탈리아의 자금 지원과 전후 전쟁 트라우마로 인해 평화에 목매던 사회 풍조에 힘입어 7만 2천명의 지상군을 모집했다.
국가 | 1950년 | 1954년 | 1958년 | 1962년 | 1966년 | 1970년 | 1980년 | 합계 |
---|---|---|---|---|---|---|---|---|
![]() |
9,900 | 8,628 | 2,264 | 13,851 | 3,240 | 2,112 | 33,455 | 73,450 |
![]() |
21,250 | 19,221 | 4,567 | 27,145 | 15,888 | 9,842 | 48,492 | 146,405 |
![]() |
9,520 | 6,210 | 3,659 | 15,892 | 16,613 | 8,463 | 41,019 | 101,376 |
![]() |
19,600 | 5,232 | 1,477 | 10,099 | 9,978 | 11,719 | 29,980 | 88,085 |
![]() |
6,545 | 2,115 | 780 | 5,890 | 4,057 | 11,536 | 25,886 | 56,809 |
![]() |
2,575 | 990 | 414 | 2,647 | 651 | 2,063 | 9,812 | 19,152 |
![]() |
2,272 | 1,026 | 179 | 2,052 | 1,124 | 2,442 | 9,468 | 18,563 |
![]() |
165 | 1,447 | 916 | 6,780 | 2,100 | 812 | 4,844 | 17,064 |
![]() |
143 | 813 | 620 | 1,244 | 953 | 333 | 3,535 | 7,641 |
![]() |
250 | 1,285 | 3,982 | 10,338 | 9,704 | 2,225 | 22,808 | 50,592 |
![]() |
0 | 52 | 15 | 257 | 45 | 24 | 638 | 1,031 |
![]() |
112 | 220 | 68 | 2,821 | 144 | 187 | 4,790 | 8,342 |
![]() |
0 | 152 | 21 | 890 | 565 | 62 | 810 | 2,500 |
![]() |
0 | 66 | 8 | 566 | 201 | 10 | 269 | 1,120 |
![]() |
0 | 263 | 154 | 1,041 | 532 | 348 | 619 | 2,957 |
![]() |
0 | 1,219 | 653 | 1,892 | 977 | 597 | 2,028 | 7,366 |
![]() |
0 | 1,199 | 844 | 710 | 1,333 | 330 | 2,127 | 6,543 |
![]() |
0 | 12 | 31 | 92 | 116 | 225 | 979 | 1,455 |
![]() |
0 | 8 | 4 | 101 | 22 | 26 | 296 | 457 |
![]() |
0 | -33,581 | -20,620 | -41,869 | -56,995 | -33,967 | -191,273 | -378,305 |
합계 | 72,332 | 88,909 | 88,945 | 151,384 | 162,632 | 182,021 | 232,603 | - |
2.2 해군
1958년부터 해군도 양성되었는데 국제 해군사관학교가 수립되었고, 해군 군축에 의해 전역한 전함과 일부 국가에서 발주하여 함대를 구성했다. 1960년대에 정규 항공모함 2척, 전함 4척과 순양함 18척, 구축함 20척, 잠수함 31척을 운영했다.
수주국 | 함급 | 함명 | 함번 | 진수 | 인수 | 취역 | 퇴역 | 비고 |
---|---|---|---|---|---|---|---|---|
![]() |
어드미니스트레이터급 항공모함 (Administrator-Class Aircraft Carrier) | 어드미니스트레이터(Administrator) | C900 | 1978년 | 1978년 | 1980년 | 2001년 | 영국에 발주 |
![]() |
헤르슈어급 항공모함 (Herrscher-Klass Flugzeugträger) | 헤르슈어(Herrscher) | C911 | 1978년 | 1981년 | 1981년 | 2002년 | 독일에 발주 |
![]() |
브륀힐트급 항공모함 (Brünhild-Klass Flugzeugträger) | 브륀힐트(Brünhild) | C915 | 1995년 | 1998년 | 1998년 | 2005년 | 독일에 발주 |
![]() |
레이와급 항공모함 (令和型航空母艦) | 레이와(令和) | C922 | 1999년 | 2000년 | 2002년 | 2005년 | 일본에 발주 |
![]() |
인히비터급 전함 (Inhibitor-Class Battleship) | 인히비터(Inhibitor) | B810 | 1956년 | 1956년 | 1957년 | 1998년 | 영국에 발주 |
![]() |
인히비터급 전함 (Inhibitor-Class Battleship) | 어나힐레이터(Annihilator) | B811 | 1956년 | 1956년 | 1958년 | 2000년 | 영국에 발주 |
![]() |
휘터급 전함 (Hüter-Klass Schlachtschiff) | 휘터(Hüter) | B820 | 1958년 | 1959년 | 1960년 | 2002년 | 독일에 발주 |
![]() |
롤랑급 전함 (La Classe Roland) | 롤랑(Roland) | B830 | 1960년 | 1960년 | 1961년 | 2003년 | 프랑스에 발주 |
![]() |
첸소르급 순양함 (la Classe Censore Di Incrociatore) | 첸소르(Censore) | K650 | 1974년 | 1976년 | 1976년 | 2005년 | 이탈리아에 발주 |
![]() |
레콩기스타급 순양함 (Clase Reconquista) | 레콩기스타(Reconquista) | K610 | 1975년 | 1976년 | 1977년 | 2005년 | 스페인에 발주 |
![]() |
페르미틀러급 순양함 (Vermittler-Klass Kreuzer) | 페르미틀러(Vermittler) | K620 | 1974년 | 1975년 | 1976년 | 1999년 | 독일에 발주 |
![]() |
뱅퀴셔급 순양함 (Vanquisher-Class Cruiser) | 뱅퀴셔(Vanquisher) | K640 | 1976년 | 1976년 | 1977년 | 2003년 | 영국에 발주 |
![]() |
뱅퀴셔급 순양함 (Vanquisher-Class Cruiser) | 퍼니셔(Punisher) | K642 | 1976년 | 1976년 | 1977년 | 2002년 | 영국에 발주 |
![]() |
에갈리테급 순양함 (La Classe Égalité) | 에갈리테(Égalité) | K630 | 1977년 | 1978년 | 1979년 | 2004년 | 프랑스에 발주 |
![]() |
에갈리테급 순양함 (La Classe Égalité) | 리베르테(Liberté) | K631 | 1978년 | 1979년 | 1979년 | 2005년 | 프랑스에 발주 |
![]() |
에갈리테급 순양함 (La Classe Égalité) | 프라테르니테(Fraternité) | K632 | 1979년 | 1979년 | 1979년 | 2005년 | 프랑스에 발주 |
![]() |
뱅퀴셔급 순양함 (Vanquisher-Class Cruiser) | 빈디케이터(Vindicator) | K641 | 1976년 | 1978년 | 1979년 | 2005년 | 영국에 발주 |
![]() |
페르미틀러급 순양함 (Vermittler-Klass Kreuzer) | 히르트(Hirt) | K621 | 1976년 | 1979년 | 1980년 | 2005년 | 독일에 발주 |
![]() |
오라녀급 순양함 (Oranje Klasse Kruiser) | 오라녀(Oranje) | K601 | 1979년 | 1980년 | 1980년 | 2005년 | 네덜란드에 발주 |
![]() |
크루스급 순양함 (Cruz Classe Cruzador) | 크루스(Cruz) | K602 | 1979년 | 1980년 | 1980년 | 2005년 | 포르투갈에 발주 |
![]() |
아흐모니급 순양함 (La Classe Harmonie) | 아흐모니(harmonie) | K635 | 1981년 | 1981년 | 1981년 | 2005년 | 프랑스에 발주 |
![]() |
아흐모니급 순양함 (La Classe Harmonie) | 트헝킬리테(tranquillité) | K636 | 1981년 | 1981년 | 1981년 | 2005년 | 프랑스에 발주 |
![]() |
네고시에이터급 순양함 (Negotiater-Class Cruiser) | 네고시에이터(Negotiater) | K645 | 1980년 | 1981년 | 1982년 | 2005년 | 영국에 발주 |
![]() |
네고시에이터급 순양함 (Negotiater-Class Cruiser) | 글라디에이터(Gladiator) | K646 | 1980년 | 1981년 | 1982년 | 2005년 | 영국에 발주 |
![]() |
분트급 순양함 (Bund-Klass Kreuzer) | 분트(Bund) | K625 | 1981년 | 1982년 | 1982년 | 2005년 | 독일에 발주 |
![]() |
분트급 순양함 (Bund-Klass Kreuzer) | 분더(Wunde) | K626 | 1982년 | 1982년 | 1982년 | 2005년 | 스페인에 발주 |
![]() |
분트급 순양함 (Bund-Klass Kreuzer) | 바펜(Wappen) | K627 | 1982년 | 1982년 | 1982년 | 2005년 | 네덜란드에 발주 |
![]() |
분트급 순양함 (Bund-Klass Kreuzer) | 벨러(Welle) | K628 | 1982년 | 1982년 | 1982년 | 2005년 | 이탈리아에 발주 |
![]() |
분트급 순양함 (Bund-Klass Kreuzer) | 빌레(Wille) | K629 | 1982년 | 1982년 | 1982년 | 2005년 | 포르투갈에 발주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