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실용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실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실용 문서입니다.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수정이나 왜곡은 불가합니다.

대체역사(Alternate History, 중국어: 代替歷史)는 if 가설[1]을 통한 가정에서 출발하는 일련의 픽션 장르로서, 현실의 사회상과 가치관에서 벗어나, 새롭거나 혹은 전혀 다른 사회상과 가치관을 연구 및 즐기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개념 정의

실제로 존재했던 역사와 충돌하지 않는 선에서 그 내부에서 벌어진 이야기를 가상화하여 이야기를 이끌어내는 가상역사소설과 같은 개념이 있는데, 어느 분기점을 기준으로 실재한 역사와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전개된다는 점에서 대체역사물은 가상역사소설과는 전혀 다른 개념으로서 취급되는 경향이 크다.[2][3] 해외, 특히 영어권에서는 SF에서 파생된 형태로 취급하며, 당당히 하나의 서브장르로서 인정받고 있다.

역사

19세기 무렵부터 간간히 명맥[4]을 이어왔으나, 대체로 SF의 창시자 중 한 사람인 허버트 조지 웰즈의 《신들과 같은 인간》(1923)을 현대적인 대체역사의 효시로 보고 있다. 가장 유명한 대체역사물 중 하나로는 20세기 중후반의 큰 역할을 한 소설가 필립 K. 딕의 《높은 성의 사나이》가 있다. 필립 K. 딕은 이 작품으로 1963년 휴고상을 수상하였다.

특징

대체역사는 역사 소설과 SF에 영향을 받은 장르이며, 만약 한 가지로만 정의할 경우 작가의 상상력이 간과되거나 역사 인식의 방법론을 설명할 수 없다는 한계가 나타난다. 이를 통해 대체역사는 이 장르에서 비롯된 두 가지 정의를 통해 나타난다.

  • 역사 소설에서의 영향
    대체역사는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을 소재로 창작하는 역사물의 파생 장르이며, 포스트모던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역사기록 메타픽션의 일환이 대체역사라고 일컫어진다. 이 분야의 경우 사실주의적 역사 소설과는 달리 작가의 상상력과 해석, 재현을 중시하지만 근본적으로 현실의 세계와 현재의 전사(前史)를 소재로 하는 것 또한 역사성에 중점을 두므로 대체역사는 필연적으로 역사소설로서의 정체성을 가진다.
  • SF에서의 영향
    반면 19세기 말에 등장한 대체역사는 20세기를 기점으로 SF 작가들에 의해 생산되어 잇단 유명세를 타게 되는데, 초창기 SF의 장르적 특성을 대체역사와 부합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초창기 SF는 "과학적 사실이나 인식론을 토대로 작가가 구상한 허구적 서사물"로 정의되는 특성을 바탕으로 자연주의적 상상력 위에 인문·사회과학적인 요소들이 결합되면서 발견되는 과정의 산물, 즉 대체역사를 만들어 낸 것이다. 이처럼 대체역사는 초창기 SF의 특성을 지닌 장르이기도 하지만 시간 이동을 주제로 하는 대체역사물은 여기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다만 대체역사가 실제에 존재한 역사적 사실을 다룬다는 점에서 개연성핍진성이 매우 중요하게 다뤄진다.

한국에서의 인지도

국내 대체역사물은 복거일의 《비명을 찾아서》가 그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오래 전으로 되돌아 보면 과거 조선시대에도 박씨전, 임진록, 홍길동전과 같은 고전 소설들이 대체역사의 형태를 띄었다고 할 수 있다.

각주

  1. "만약 역사가 사실과 다르게 전개되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로 대표되는 가정에 해당한다.
  2. 간단히 예를 들면 사극에서 픽션 내용을 삽입하였음에도 변질되지 않는 것을 가상역사소설, 변질되는 것을 대체역사라고 부를 수 있겠다.
  3. 지구에 가상섬을 만들어 현실적으로 역사를 창작하는 경우도 대체역사로 볼 수는 있으나 대부분 이러한 경우는 없다시피 하며 대부분 대체역사로 분류되지 않는다.
  4. 최초의 대체역사물로 평가받는 마크 트웨인의 《아서 왕 궁정의 코네티컷 양키》가 바로 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