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전역

동북전역
Dongbukjeon Station | 東北田驛
고속열차 노선 보기
하신 방면
강천한산
← 53.1km
영남선
창산 방면
신월동
49.0km →
동해선
신동항 방면
신동항
82.3km →
일반열차 노선 보기
주소
북전광역시 동구 동북전로 550 (흥암동 294)
역 코드
현월철도공사 072
관리역 등급
관리역 / 1급
(현월철도공사 북전본부)
운영기관
영남선 현월철도공사
영남고속선
개업일
영남선 2022년 11월 12일
영남고속선 2024년 3월 17일
북전선 2022년 12월 2일 ~ 2024년 3월 25일[1]
2024년 3월 17일
새마을호 2022년 11월 12일
무궁화호 2022년 11월 12일
역사 구조
지상 3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7면 14선 혼합형 승강장
철도거리표
한월 방면
북 전
← 3.2km
영남선
동북전
창산 방면
고 부
5.5km →
상흥 방면
강천한산
← 53.1km
영남고속선
동북전
창산 방면
신월동
49.0km →

개요

영남선영남고속선의 철도역. 북전광역시 동구 동북전로 550 (흥암동 294) 소재.

역 정보

역사

정부는 사전 계획 당시 북전역북전광역시의 대표역으로 만들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나, 북전역이 건설 될 부지가 향후 확장에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알게되자 대안으로 북전광역시 동구에 별개의 철도역을 지어 이곳을 북전광역시의 대표철도역으로 만들자는 계획에 따라 신설되었다.

고속철도 ESTOM의 개통 이전의 동북전역은 북전역과 이용객의 차이가 거의 나지 않아 북전 전체 철도이용객의 50~60%만 이용하는 수준이었다.

2024년 ESTOM의 개통에 발맞춰 기존 역사의 남쪽부분을 새롭게 신축하여 기존 역사와 통합하였고, 이후에도 제2맞이방을 건축해 일일 수용가능한 이용객이 엄청나게 불어나게 되었다.

본래 자체 화물 취급(소화물 등) 및 화물 중계역(조차장)의 기능도 담당했으나, 2024년 3월 북전선 이설과 함께 진천역이 새로 생기고 나서부터는 화물 중계 기능을 진천역으로 대부분 이전했다. 현재는 여객열차의 대피 및 승무교대를 위해 동북전역에 정차만 하고 있다.

열차 운행

일평균 이용객

연도 새마을호 무궁화호 통일호 비둘기호 총합 비고
2022년 미개통 29,831명 3,908명 5,576명 5,681명 44,996명
2023년 30,915명 4,607명 6,067명 6,726명 48,315명
2024년 46,420명 3,646명 12,676명 [2] 62,742명

승강장

북전 강천한산 강천한산 북전 시종착역
14 13 12 11 10 9 8 7 6 5 3 2 1
고부 신월동 신월동 고부
1 청명선 무궁화호 안천·명주·청릉 방면
동부해안선 명천·월동·창전 방면
2·3 북전선 안천·월동·동항 방면
동부해안선 명천·월동·창전 방면
5 영남선 무궁화호 밀천·창산 방면
경서선 밀천·무산·진월 방면
6 영남선 새마을호 밀천·창산·청운대 방면
경서선 밀천·무산·진월 방면
영남선 무궁화호 밀천·창산 방면
경서선 밀천·무산·진월 방면
7·8 영남고속선 신월동·서권천·창산 방면
9·10 덕전·월평영산·한월 방면
11·12
13 영남선 새마을호
무궁화호
덕전·월평·한월 방면
경북선 무궁화호 강천·경도·명주·청릉 방면
14 영남선 무궁화호 덕전·월평·한월 방면
화북선 덕전·화주·재천·명주 방면

주변 교통

시내 버스

기타

둘러보기

영남고속선의 철도역
[ 펼치기 · 접기 ]
영남선의 철도역
[ 펼치기 · 접기 ]
  1. 동북전역 ~ 창천역 구간 이설로 인한 북전선 기점 변경
  2. 운영기관 변경 영향으로 기록 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