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연출작 ]
|
[ 참여작 ]
|
[ 유저가이드 ]
| ||||
| ||||||
틀 수정하기 |
명금일하 | ||||||||
---|---|---|---|---|---|---|---|---|
석구 | ||||||||
주요 대회 |
WOSPA | INSPA | NEAST | NASCAC | UESAPC | |||
최근 우승 |
잉글랜드 | 우즈벡 | 대한민국 | 캐나다 | 네덜란드 | |||
틀 수정하기 |
명금일하 | |
---|---|
연재 시작 | 2022년 2월 12일 |
연재 완결일 | 미정 |
현재 상태 | 연재 중 |
세계관 형태 | 가공의 스포츠 |
1 개요
명금일하(鳴金一下)는 가공의 스포츠인 석구(Stoneball)를 소재로 한 세계관이다. 석구에서 명금일하는, 축구의 골, 야구의 홈런·안타, 미식축구의 터치다운 등과 같이 득점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2 명칭
명금일하란, 대한민국의 전통 행진곡인 대취타를 시작할 때의 구호 "명금일하대취타(鳴金一下 大吹打) 하랍신다"에서 따온 말로, 본디 징을 한 번 울린다는 뜻이다.
언어 | 명칭 | 언어 | 명칭 |
---|---|---|---|
한국어 | 명금일하 | 로마자 | Myonggumilha |
영어 | Ring a Jing | 프랑스어 | Sonner un Jing |
스페인어 | Tocar un Jing | 러시아어 | Звонить в Жинг (Zvonit' v Jing) |
중국어 | 鸣金一下 (Míngjīn yīxià) |
아랍어 | دق جينغ (Diq Jingh) |
3 역사
2021년, 2020 도쿄 하계올림픽을 보며 떠오른 아이디어가 그 시초이다. 대한민국의 전통 유희에서 발전한 현대식 스포츠를 만들고 싶었고, 최종적으로 석전에서 유래한 석구를 고안하게 되었다. 초기 후보안과 채택 과정은 아래와 같다.
종목 | 분류 | 결과 | 비고 |
---|---|---|---|
격구 | 구기 | 탈락 | 폴로, 하키, 골프와 유사. |
광상희 | 변형장기 | 탈락 | 일부 아이디어만 채용. |
석전 | 구기, 격투기 | 채택 | 개성이 뚜렷함. |
윷놀이 | 주사위게임 | 탈락 | 운 요소가 크게 작용. |
투전 | 카드게임 | 탈락 | 운 요소가 크게 작용. |
돌은 석전의 정체성이지만, 현대에 시행할 수 없이 과격하고 잔인하므로 작은 공으로 대체하였다. 이외에도 특히 럭비를 참고하여 현대식으로 개선한 규칙을 마련하였다. 이미 8월 경에 석구의 전체적인 틀은 완성되었다.
2022년, 잠시 중단되었던 석구 제작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영향으로 인해 다시 재개되었다. 제이위키에서 본격적으로 문서 정리에 돌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