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df
| |||
[ 펼치기 · 접기 ]
|
주니 연습장 | |||||
---|---|---|---|---|---|
연습장 1 | 연습장 2 | 연습장 3 | 연습장 4 | 연습장 5 | 연습장 6 |
메모 | 낙서 | 공부 | |||
리인포스 백업 |
ㅁㄴㅇㄹ
1위
asdf
![]() |
폴리네시아 공화국 гєקย๒Lเς ๏Ŧ ฬเςLเא |
역사 · 사회 · 행정 구역 · 정치 · 경제 · 군사 · 문화 · 외교 |
나만의 kbo리그 커리어하이
역대 커리어하이 (안타 홈런 타점 득점 타율/장타율/출루율) 볼드체는 시즌 1위, 빨간색은 역대 1위
타자
- 최충완 (2018 시즌)
192안타 65홈런 177타점 153득점 0.399/0.735/0.435
타격 7관왕&MVP&골든글러브
- 김광 (2019 시즌)
176안타 60홈런 151타점 121득점 0.372/0.681/0.413
트리플 크라운&MVP&골든글러브
- 박병호 (2018 시즌)
174안타 59홈런 173타점 141득점 0.361/0.675/0.406
- 김재환 (2018 시즌)
176안타 44홈런 133타점 104득점 0.334/0.657/0.405
- 정혁 (2019 시즌)
186안타 7홈런 69타점 104득점 0.362/0.413/0.447
투수
- 맥컨드 에이죠스 (2019 시즌)
- 에이전드 카론 (2018 시즌)
35경기 35선발 184이닝 2완투 1완봉 29승 5패, 163탈삼진, 평균자책점 2.14, 승률 0.852
- 일렉트로 스파키 (2020 시즌)
- 파이어드래곤 (2020 시즌)
- 박치국 (2019 시즌)
- 박치혁 (2019 시즌)
- 곽선빈 (2019 시즌)
- 김훈 (2020 시즌)
MVP
- 2015 MVP 김광
164안타(4위) 39홈런(1위) 134타점(1위) 114득점(2위)
타율 0.341 장타율 0.641(1위) 출루율 0.428
2루타 26개 54볼넷 4사구
3관왕&MVP&골든글러브
189안타(1위) 50홈런(1위) 161타점(1위) 134득점(2위)
타율 0.364 장타율 0.551 출루율 0.435
2루타 36개 71볼넷 17사구
3관왕&MVP&골든글러브
- 2018 MVP 최충완
189안타(1위) 65홈런(1위) 177타점(1위) 153득점(1위)}}
타율 0.399(1위) 장타율 0.735(1위) 출루율 0.435(1위)
2루타 45개 115볼넷 21사구
타격 7관왕&MVP&골든글러브
사이클링 홈런, 13경기 연속 홈런
- 2019 MVP 김광
176안타 60홈런 151타점 121득점 0.372/0.681/0.413
3관왕&MVP&골든글러브
- 2020 MVP 파이어드래곤
11승 3패 7홀드 44세이브
평균자책점 0.85 피안타율 0.137
세이브왕&MVP&골든글러브
- 2021 MVP
- 2022 MVP
두산 베어스
2015 시즌
- 2014년 암흑기 이후 김태형 감독 체제에서의 첫 시즌에서 14년 만의 한국시리즈 우승 달성
- 김현수-김광-최충완-박병호로 이어지는 중심 타선의 139홈런 합작(김광 38홈런, 박병호 37홈런, 최충완 34홈런, 김현수 30홈런)
- 5년만의 두산 소속 신인왕, 최충완의 활약(신인왕&신인 최다홈런(34개))
- 외국인 타자 없이도 강력한 타선을 완성한 두산의 화수분
- 하위 타선의 활약 (박병호, 홍성흔을 제외한 모든 주전 야수가 3할을 달성)
- 더스틴 니퍼트-에이전드 카론 원투펀치의 빈틈없는 활약
- 유희관의 커리어하이 갱신 (18승 5패 3.94)
- 믿고 보는 불펜진 (노경은-함덕주-윤명준-이현호), 이현승의 역투(18세이브 2.89)
- 정규시즌 4위를 기록했지만 포스트시즌에서의 역대급 뒤집기, 와일드카드-준플레이오프-플레이오프-한국시리즈 전적 13승 1패로 압도적인 승리를 가져오며 14년 만의 기적적인 한국시리즈 우승 달성
2016 시즌
- 김태형 체제에서의 강력한 선수진으로 압도적인 통합우승 달성
- 김광의 대활약(0.324 49홈런 146타점, 3관왕&MVP&골든글러브)
- 최충완과 박병호의 마르지 않는 활약(각각 37홈런, 35홈런)
- 김재호를 잇는 새로운 유격수, 이민의 활약
- 작년에 이은 판타스틱 4(더스틴 니퍼트-에이전드 카론-강현수-유희관)의 역투(니퍼트 22승, 카론 20승, 강현수 18승, 유희관 15승, 선발 합작 75승)
- 드디어 찾았다, 새로운 외인 타자 닉 에반스의 활약(0.308 24홈런)
- 갑자기 나타난 잠실 좌타거포, 김재환의 활약(0.325 32홈런)
2017 시즌
- 한국시리즈 3연패, 2년 연속 통합우승 달성
- 김광의 부진을 메꾸는 새로운 4번 타자, 최충완의 대활약 (3관왕&MVP&골든글러브)
- 니퍼트의 이탈을 메꾸는 맥컨드 에이죠스의 활약, 에이 라인 결성
- 언더파워의 결성, 일렉트로 스파키와 파이어드래곤 영입
- 박병호의 7년 연속 30홈런 달성
2018 시즌
- 4년 연속 통합우승, 역대 단일 시즌 최다승(98승) 달성
- 최충완의 역대 타자 최고 시즌급 대활약, 타격 7관왕&MVP&골든글러브, 단일 시즌 최다 홈런/타점/장타율 기록 달성
- 에이 라인 50승 합작 (에이죠스 21승, 카론 29승)
- 언더파워의 전성기 (50홀드 합작)
- 일렉트로 스파키의 25홀드, 파이어드래곤의 28세이브
- 박병호의 8년 연속 30홈런, 김재환의 44홈런 달성
- 이민과 정혁 리드오프 듀오 결성
- 양의지의 이탈
2019 시즌
2020 시즌
2021 시즌
2022 시즌
2023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