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동역 Woldong Station | 月洞驛 | |||
---|---|---|---|
일반열차 노선 보기
| |||
주소 | |||
경월북도 월동시 성화로 266 (원동동) | |||
역 코드 | |||
현월철도공사 | 263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 3급 (신월동역 관리/현월철도공사 북전본부) | |||
운영기관 | |||
북월선 | 현월철도공사 | ||
동부해안선 | |||
개업일 | |||
동부해안선 | 2022년 12월 10일 | ||
북월선 | 2022년 12월 31일 | ||
무궁화호 | 2022년 12월 10일 | ||
역사 구조 | |||
지상 1층 | |||
승강장 구조 | |||
2면 8선 쌍섬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북한월 방면 서월동 ← 5.1km |
북월선 월 동 |
종점 | |
창산진 방면 서 방 ← 6.5km |
동부해안선 월 동 |
동항 방면 내 원 5.1km → |
개요
북월선과 동부해안선의 철도역. 경월북도 월동시 성화로 266 (원동동) 소재.
역 정보
대현월국에서 몇 안되는 한옥 형태의 역사 중 하나이다.
열차 운행 정보
2022년 12월 31일 북월선 명천에서 월동에 이르는 마지막 구간이 개통되자, 북전선을 통해 영남선과 직결 운행이 가능해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새마을호가 한때나마 정차한 이력이 있는 역이다. 이후 새마을호는 창전방면으로 운행하는 계통이 폐지되면서 현재는 월동역을 지나는 새마을호는 없다.
월동시의 중심부에 위치한 역으로, 북월선의 종착역이다. 북월선 기점인 북한월역에서 출발하는 하행 무궁화 2편성이 이 역을 경유하여 동부해안선을 거쳐 창전역까지 운행한다. 상행도 마찬가지로 무궁화 2편성 만이 창전발 북한월행으로 다닌다. 이 운행계통은 한월과 월동시내를 바로 잇는 유일한 계통이다. 창전~동북전간을 운행하는 열차가 상당히 많다. 운행 횟수는 총 왕복 13회.
과거 통일호가 동북전역을 출발해 이 역을 경유, 동항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이 있었는데 현재 이 노선은 무궁화호가 계승하여 운행 중이다. 1751~1758열차가 바로 그것.
연혁
- 2022년 12월 10일: 관리역으로 영업 개시
- 2022년 12월 31일: 북월선 명천~월동 구간 개통과 동시에 새마을호 정차 개시
- 2023년 8월 18일: 철도기념물로 지정
- 2024년 1월 1일: 새마을호 폐지
- 2024년 3월 17일: 보통역으로 격하
승강장
서월동 ↑ / 내원 ↑ | ||||||||||||
ㅣ | 1 | 2 | ㅣ | ㅣ | 3 | 4 | ㅣ | ㅣ | ㅣ | ㅣ | ㅣ | |
↓ 서방 |
1 | 동부해안선 | 무궁화호 | 권천·남양·청운대·창전·설천 방면 | |
2 | ||||
3·4 | 북월선 | 동북전·안천·북한월·청릉·동항 방면 | ||
동부해안선 |
역 주변 정보
월동역 일대는 월동시가지의 교통의 요지로, 거의 모든 대중교통이 월동역 앞을 지나간다.
일평균 이용객
연도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일호 | 비둘기호 | 총합 | 비고 |
---|---|---|---|---|---|---|
2022년 | 226명 | 818명 | 975명 | 1,009명 | 3,028명 | |
2023년 | 216명 | 957명 | 807명 | 928명 | 2,908명 | |
2024년 | 3,281명 | [1] |
연계 교통
월동시 시내버스 노선의 대다수가 이곳을 경유한다.
기타
- 권천에서 월동으로 가려면 무궁화호를 이용하면 월동시내로 바로 접근이 가능하다.
- 독특하게도 매년 12월 10일이면 직원들이 단체사진을 촬영하는 풍습이 있다.
- 월동역의 급수탑은 현존하는 현월철도의 급수탑 중 유일하게 물 공급을 위해 사용되는 현역인 급수탑이다.
- 월동역 구내에 월동기관차승무사업소와 북전차량사업소 월동주재가 있으며, 덕분에 북월선, 동부해안선, 북전선 운행계통 중 일부 열차는 이 역에서 승무교대가 이뤄진다. 사업소 내부에 전차대도 설치되어 있다.
둘러보기
동부해안선의 철도역 | |||
[ 펼치기 · 접기 ] |
북월선의 철도역 |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