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의 아성 | ||||
---|---|---|---|---|
융유치인 | 시시크인 | 고려 유대인 | 바다지마인 | 쥥게인 |
융유치어 | 시시크어 | 오브리트어 (문법·회화) |
바다지마어 | 쥥게어 (회화) |
틀 수정하기 |
사용 국가 | ![]() |
---|---|
사용 지역 | 시베리아 극동, 축치캄차카 |
사용 민족 | 융유치인 |
언어 인구 | 전멸 |
어순 | SOV |
사멸 | 17세기 |
문자 | 필믹푹파, 키릴 문자, 라틴 문자 |
언어 계통 | 축치캄차카어족 융유치어파 융유치어 |
초기형태 | 축치캄차카조어 |
언어 부호 | |
ISO 639-1 | ll |
ISO 639-2 | llt |
ISO 639-3 | llt
|
1 개요
융유치어는 동아의 아성 세계관의 민족인 융유치인이 사용했던 언어로, 축치캄차카어족 융유치어파에 속하는 포합어이다.
명칭 | |
---|---|
![]() 한국어 |
융유치어, 경어(鯨語) |
![]() 영어 |
Lyumlyuchian |
![]() 융유치어 |
Лумлутилилил Lumlutililil |
![]() 러시아어 |
Люмлючийцы Lyumlyuchijtsy |
![]() 시시크어 |
بليذ ذيلي (Bljd Djlj) |
![]() 오브리트어 |
융유치 말 (Juqjuchi mal) |
![]() 바다지마어 |
くしらこ (Guzirago) |
![]() 쥥게어 |
鯨魚語 (Kiq4 Jyh4 Jyh5) |
2 역사
축치캄차카어족 | ||
---|---|---|
†축치캄차카조어 | 축치어파 | 축치어 |
코랴크어 | ||
알루토르어 | ||
†케레크어 | ||
융유치어파 | †융유치어 | |
캄차카어파 | 이텔멘어 | |
†동부 캄차달어 | ||
†남부 캄차달어 |
3 음운
양순 | 치경 | 치경구개 | 경구개 | 연구개 | ||
---|---|---|---|---|---|---|
무 | 유 | 무 | 무 | 유 | 무 | |
비 | [m] ⟨m⟩ | |||||
파열 | [p] ⟨p⟩ | [t] ⟨t⟩ | [k] ⟨k⟩ | |||
파찰 | [t͡ɕ] | |||||
마찰 | [s] ⟨s⟩ | [ɕ] | ||||
접근 | [ʎ] ⟨l⟩ |
이웃 언어들과 달리 융유치어의 자음은 몹시 협소한 편이다. 융유치어에서는 비슷한 음운끼리 동화가 이루어지면서 하나로 통합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겪게 된 원인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가장 지지받는 것은 여러 이웃 민족들과 끝없이 교류해야 했던 융유치인의 생활상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웃 언어들 사이에서 분명히 구분되는 음운들(대표적으로 [m], [n])조차도 통합된 것은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 통합된 음운은 아래와 같다.
- [m]: [m], [mˀ], [n], [nʲ], [nˀ], [ɲ], [ŋ]
- [p]: [p], [pʼ], [b], [ɸ], [β], [f], [v], [w]
- [t]: [t], [d], [t͡s], [t͡sʲ], [t͡ʃ], [t͡ʂ], [t͡ɕ]
- [k]: [k], [kʼ], [ɡ], [x], [ɣ], [q], [qʼ], [χ], [ʁ], [ʕ]
- [s]: [s], [z], [ʃ], [ʒ], [ʂ], [ɕ]
- [ʎ]: [ɬ], [ɹ], [l], [lʲ], [lˀ], [r], [j], [ʎ]
무성 파열음 [p], [t], [k]가 만났을 때는 선행 자음이 [p̚], [t̚], [k̚]로 불파음화된다.
- Тукотка/Tukotka [tukɔt̚kɐ]: 추코트카 [투콧카]
- Кткас/Ktkas [kt̚kɐs]: 길 [큿카스]
- Кыпкып/Kypkyp [kəp̚kəp̚]: 이빨 [컵컵]
[ɕ]와 [t͡ɕ]의 경우 s와 t 뒤에 전설 모음이 올 때, 즉 구개음화할 때 발현된다.
- Тукти/Tukti [tuk̚t͡ɕi]: 축치 [툭치]
- Стпатэс/Stpates [st̚pɐt͡ɕɛs]: 밟다 [슷파체스]
[ʔ]의 경우 장모음으로 이어졌으나 그마저도 없어졌다.
전설 | 중설 | 후설 | |
---|---|---|---|
평 | 중 | 원 | |
고 | [i] ⟨i⟩ | [u] ⟨u⟩ | |
중 | [ə] ⟨y⟩ | ||
중저 | [ɛ] ⟨e⟩ | [ɔ] ⟨o⟩ | |
근저 | [ɐ] ⟨a⟩ |
모음에 있어서도 사소하지만 변화가 몇 있었다.
- [i], [u]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 [ə]는 [ə], [ɨ]가 통합된 것이다.
- [ɛ], [ɔ]는 각각 [e], [o]에서 변화하였다.
- [ɐ]는 [a]에서 변화하였다.
음소 배열은 CCCCVVCCCC까지 허용했다. 하지만 사중자음을 쓰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삼중자음까지는 흔하게 발견된다. 과거에는 복자음과 복모음이 있었으나 15세기 즈음에 없어졌다.
4 문자
필믹푹파 모음 | 필믹푹파 자음 | ||
---|---|---|---|
자형 | 전사 | 자형 | 전사 |
![]() |
О"о./O"o. | ![]() |
М'м/M'm |
А"а./A"a. | П'п/P'p | ||
У"у./U"u. | С'с/S's | ||
Э"э./E"e. | Л'л/L'l | ||
И"и./I"i. | Т'т/T't | ||
Ы"ы./Y"y. | К'к/K'k | ||
필믹푹파 기호 | |||
자형 | 전사 | 기능 | |
![]() |
소괄호 | 카르투슈 (강조) | |
0~9 | 숫자표현 | ||
스페이스 | 띄어쓰기와 비슷 |
융유치어를 표기하는 문자를 "필믹푹파"라고 부르는데, 동물문자라는 뜻이다. 어근 пилмик/pilmik과 пукпа/pukpa는 각각 이텔멘어 명사 вирник, 축치어 명사 вуква와 어원이 같다. 영어로는 Pilmikpukpa, 러시아어로는 Пилмикпукпа로 쓰고 읽는다.
융유치인은, 정령 신앙을 보전해나가는 샤먼 민족이었다. 융유치인은 비록 소수였으나 종교 지도자로써 존경과 예우를 받았고, 종교예식에 필요한 문자 또한 그들만의 전유물이었다. 이 문자가 바로 필믹푹파이다. 필믹푹파는 융유치 판테온에서 하위 신에 속하는 12 동물신에게서 따와 만들어졌다.
필믹푹파가 쓰인 가장 오래된 기록은 1999년에 발견된 눈리그란 비문이다. 17세기 러시아 정교회의 유입으로 융유치인의 입지가 줄고 결국 사멸하면서, 그 존재 자체가 잊힐 뻔하였으나 눈리그란 비문에 쓰인 필믹푹파를 해석할 수 있게 되면서 융유치인의 삶도 밝힐 수 있었다.
모음의 순서는 О/O[ɔ] · А/A[ɐ] · У/U[u] · Э/E[ɛ] · И/I[i] · Ы/Y[ə]이며, 북극곰·바다코끼리·사슴·말·늑대·큰뿔양에서 따와 만들어졌다. 대문자는 머리와 몸통을, 소문자는 몸통만 묘사하였다. 모음이 연달아 올 때에는 중간에 빈 몸통 모양의 문자를 끼워넣었는데, 로마자 입력법에서는 " 기호를 사용한다.
자음의 순서는 М/M[m] · П/P[p] · С/S[s] · Л/L[ʎ] · Т/T[t] · К/K[k]이며, 독수리·매·백조·갈매기·나비·거미에서 따와 만들어졌다. 대문자는 머리를, 소문자는 날개(거미는 다리)를 묘사하였다. 자음이 연달아 올 때에는 중간에 앉은 다리 모양의 문자를 끼워넣었는데, 로마자 입력법에서는 ' 기호를 사용한다.
융유치어 서법에서는 카르투슈도 존재하였다. 형태는 고래에서 따와 만들어졌다. 고래의 몸통 사이에 들어가는 부분은 중요하여 보호해야 하거나, 강조하고 싶은 내용이었다. 로마자 입력법에서는 소괄호를 사용한다.
숫자는 0~9가 있었고. 겹쳐놓은 물고기에서 따와 만들어졌다. 0~4와 5~9가 각각 비슷하게 생겼으며, 5 이상의 수는 위에 점이 찍혀있다. 다만, 0의 자형은 물고기 한 마리, 1의 자형은 두 마리 식으로 n+1의 형식이라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융유치어는 포합어이며, 문장 하나가 단어 하나로 구성된다. 문장을 구분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띄어쓰기와 비슷한 용법이 있었다. 이는 달리는 사람의 형상에서 따와 만들어졌다. 위의 표에서는 기호를 5번 기입하였다. 로마자 입력법에서는 스페이스를 사용한다.
이외에, 위의 표에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4가지의 구두점도 존재하였다. 마침표, 쉼표, 느낌표, 물음표가 있었으며 용례는 일반적인 구두점과 거의 유사하였다. 자형은 물고기의 꼬리 지느러미에서 따와 만들어졌다. 로마자 입력법에서는 대응하는 구두점을 사용한다.
5 문법
융유치어는 기본적으로 포합어이지만 교착성을 일부 가진다.
수 | |
---|---|
단수 | |
복수 | |
격 | |
능격 | |
절대격 | |
도구격 | |
처격 | |
탈격 | |
향격 | |
감각격 | |
공동격 | |
지정격 | |
인칭 | |
1인칭 | |
2인칭 | |
3인칭 | |
시제 | |
현재 | |
과거 | |
미래 | |
상 | |
진행 | |
상태 | |
부정 | |
완료 | |
미완료 | |
서법 | |
직설 | |
조건 | |
명령 | |
태 | |
능동 | |
역수동 |
6 회화
원어 | 발음 | 번역 |
---|---|---|
Лэтык. Letyk. 례턱. |
[ʎɛtək̚] | 안녕. |
Амымлэтык. Amymletyk. 아멈례턱. |
[ɐməmʎɛtək̚] | 안녕하세요. |
Амто. Amto. 암토. |
[ɐmtɔ] | 안녕. |
Имто? Imto? 임토. |
[imtɔ] | 어떻게 지내세요? |
Мэсимки! Mesimki! 메심키! |
[mɛɕimki] | 잘 지냈습니다! |
Эмолик! Emolik! 에몰릭! |
[ɛmɔʎik̚] | 옳소! |
Микикыт? Mikikyt? 미키컷? |
[mikikət̚] | 이름이 뭐에요? |
Мымы~ Mymy~ 머머~ |
[məmə] | 이름은 ~입니다. |
Кытмикикыт? Kytmikikyt? 컷미키컷? |
[kət̚mikikət̚] | 당신 이름은 뭔가요? |
Кымимымы~ Kymimymy~ 커미머머~ |
[kəmiməmə] | 제 이름은 ~입니다. |
Талытэтымэлки? Talytetymelki? 탈려체터멜키? |
[tɐʎət͡ɕɛtəmɛʎki] | 지금 몇시에요? |
7 여담
곡명: Мумиклам/Mumiklam
가수: Элкылом/Elkylom
가사 |
---|
1절 Макамэмитипэлмэлыт Пэсымэмэстипэлмэлыт Эптэмулимымпаломтэл Мумликлэлытипэлмэлыт 2절 Кэлытпылыткаматлэмат Эпимытликымикпэт Эмикымимэмтэлолкым Пэлэлкымамымлэтэтклэм 3절 Таламылытипэлмэлкыт Эпимытликилпылпэт Малмылалатмэтэлкымэт Аматапымкылколаткат 후렴 Тлэпалмаматэмэпылкыт Иламытликасалакпат Амкымыкыкымылтэлкэ Мэмымэпымтэмикситлы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