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요국 목록 ]
|
[ 설정 목록 ]
|
[ 소설 • 외전 ]
| |

中華人民共和國
![]() |
그 이후 막대한 부를 가지게 된 그들은 본색을 들어내고 이내 악랄한 금권외교를 통해 자신들의 영향력을 높여왔습니다.
중국의 사회는 부조리하고 자본을 위한 사회로 변화하였고 블록 주택과 황홀한 야경 속 마천루들 사이로
수많은 사람들이 생존을 위한 노동을 이어가고 정부 소속 드론과 COS에 의해 감시 받고 있습니다.
사회신용도로 철저히 나뉜 계급 사회에서 소수의 사람만이 펜트하우스에서
시대의 역행을 방관하고 있습니다. 아직도 그들은 허황된 꿈에 갇혀 깨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1 개요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사회주의 국가로 군사 동맹 기구인 전략동맹기구의 수장이자 AIIB를 기반으로한 아시아 경제 금융권을 형성한 국가이다. 중국 공산당 중심의 일당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군사,사법권,입법권,행정권 모두 중국 공산당이 관리한다.
경제의 급성장으로 인한 공포심인 차이나포비아 현상이 있을 만큼 단 시간만에 급속도로 세계 강대국 반열에 올랐으며 기술독재, 심각한 환경오염, 인권 탄압, 디지털 감시 등으로 악명이 높다.
2 주요도시

3 역사

![]() |
후진타오-원자바오 주석 시기 중국은 사회개혁을 통해 엄격했던 검열이 완화되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통해 성장한 중국의 모습을 전 세계에 보여줬다. 미국의 부동산 위기와 은행의 부도로 시작된 대침체의 시작으로 서방 세계가 몰락하였다. 그러나 중국과 한국, 일본 등의 신흥국들이 수출 증대를 꾀하면서 무역 흑자를 이루었고 이는 중국이 미래에 세계 패권에 도전하는 발판이 마련된 사건이었다.
2013년 미국에서 버락 오바마가 당선되고 전 세계적인 분쟁이 만연하던 혼란의 시기인 조용한 10년에 새롭게 주석이 된 시진핑 주석은 전임 주석들과는 달랐다. 당 강령에 신 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넣으며 공산당 개혁을 주장했고 기존 파벌들 사이의 견제와 협력이 이루어 지던 시스템을 없애버리고 연임 제한도 풀어버리며 영구 지도자로 거듭났다. 외교적으로도 공격적인 중국의 패권 확장을 내세웠으며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을 설립해 금권외교로 중국의 영향력을 넓혀갔다.
![]() |
시진핑은 자신의 권력 확대를 위하여 여러 공기업들과 협력했다. 이들은 공기업이지만 사기업과 같은 권력을 얻고 당시 이루어지던 중국의 금권외교를 이용해 다른 국가의 인프라들을 독점해 갔다. 덕분에 현재도 많은 제 3국가들에서는 중국산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중국 기업들에게 진 빚을 값지 못한 국가들은 중국에 무릎을 꿇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미국에서 새롭게 대통령이 된 딕 체니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무역 전쟁을 선포하고 러시아와 손을 잡아 중국을 압박하기 시작했고 시진핑과 그 측근들은 공산당 내에서 영향력을 잃기 시작했다. 시진핑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친위 쿠데타를 선택했고 공청단, 상하이방 등에서 시진핑에 반대되는 사람들은 전부 축출되었다. 공산당의 일인자가 된 시진핑의 중국은 경제, 군사적 동맹인 전략동맹기구(Strategic Alliance Treaty)를 창설하고 전 세계에 군대를 파견하기 시작했다.
![]() |
2020년,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가 중국 대륙을 휩쓸었다. 철저한 방역 정책에도 확진자들이 늘어났고 이대로 가다간 무역 전쟁 시절처럼 권력에 위기 올 것이라 판단한 중국 공산당은 제로 코로나 정책을 시행, 대규모 봉쇄령을 선포하고 이동 금지령을 내린다. 그러나 이 사건을 기점으로 중국의 독재 정치에 끝이 보이기 시작하였다. 취업난과 996 정책, 엄청난 경쟁 사회. 경기 둔화로 중국 공산당에 대한 저항을 낳았고 그동안 벌어지지 않았던 대규모 시위와 파업이 시작되고 있었다. 2022년 대규모 봉쇄령이 떨어진 상하이에서 첫번째 시위가 발생했고 시진핑이 최초로 주석중에 3연임을 하게되자 연임을 반대하는 시위까지 합쳐져 백색 시위가 시작되었다. 백색 시위는 중국 공산당의 강압적인 공권력에 의해 무너졌으나 21세기에 들어 본토에서 일어난 대규모 반정부 시위였던 만큼 의미가 있는 사건이었다.

4 사회

중국은 중국 공산당의 일당 독재 체제로써 공산당에 반대하는 의견들은 국가의 제도로써 탄압 당한다. 집단적인 반정부 활동을 막기 위해 5명이상 집단으로 모여있는 것은 공안의 제재 대상이고 세계에서 손 꼽히는 큰 IT시장을 가진 국가 임에도 외부의 인터넷과 SNS는 황금장벽이라 불리는 중국의 인터넷 검열 시스템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창정(长征)이라 불리는 공산당에서 직접 개발한 도시운영체계를 통해 일명 반역 행위를 조사하고 감시하며 만일의 사태를 대비하기 위해 특정 수 이상의 인원이 모이면 반역모의로 처벌 받을 수 있는 법을 만들었다.[1]

중국은 보이지 않게 계급으로 나뉜 사회로 개인에게 부여되는 기여도에 따라 나뉘는 사회신용도가 정책으로써 시행되고 있다. 이 사회신용도는 국가의 법을 충실히 따르고 애국적인 모습을 보이며 국가를 위해 봉사하는 사람들에게는 이익을, 국가 체제에 대해 반항하고 반 사회적인 성향을 들어내는 이들에게는 불이익을 주는 시스템이며 창정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원래의 목적과 다르게 중국 공산당의 지침에 따르는 자들에게 여러가지 혜택을,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불이익을 자연스럽게 주는 시스템이 되었으며 체제 유지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 임에도 국가 노동 조례를 통해 강제적인 초과 근무와 교대 근무를 기업들에게 권장하며 오전 9시 출근, 오후 9시 퇴근, 주 6일 근무의 뜻을 담은 일명 996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 기업의 업무량은 살인적인 수준이며 두 차례의 세계적 경제위기로 인해 고용 시장이 냉각화되며 실업난이 발생해 회사를 나갈 수도, 들어가도 업무에 시달리는 삶을 살아야 한다. 그렇기에 중국의 청년층 사이에선 모든 경제 활동과 취업을 포기하고 들어눕는 다는 탕핑이라는 유행어가 퍼지며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5 의정서 전략 동맹 조약

Protocol Strategic Alliance Treaty
- ↑ 해당 프로그램은 구글이 중국 시장 진출을 노리고 중국 공산당과 기술 협력을 하며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