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년 사클레치아 반정부 시위

진행 중
221년 사클레치아 반정부 시위
221 Saculechian protests
사클레치아 위기의 일부
width: calc(100% + 5px)
수도 일리오스와 70km 떨어져 있는 빈민촌 에스티올라에서 시위 중 최루탄에 당하는 시위대
2차 시위 중
날짜
221년 1월 ~ 221년 8월
장소
사클레치아 전역
배경과 원인
율리우스 레이소라 취임으로 인한 시민 개혁 저지
통합군주당의 장기 집권
정부 부정부패 증가 및 상위계층의 지원
사클렉시트 국민투표의 검토
목표
레이소라 총리의 사퇴
의회선거 재실시 검토
공직선거법 개정, 직선제 유지
사클렉시트 정책 폐기 및 유로아 연합 회원직 유지
국민의 자유권 보장

온건파 측: 헌법 개정 및 국민소환법 제정
미래신화당 해산


공화국파 측: 군주제 폐지 및 공화제 수립
헌법 폐지 및 공화국 헌법 제정
24대 총선 무효화

종류
시위, 시민 불복종, 파업, 항의, 집회, 농성, 행진, 동맹휴학
결과
정부, 조기 총선 결정
사클렉시트 국민투표 취소
당사자
시위대 측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반정부 시위대
  • 대학생
  • 진보주의자
  • 사회주의자
  • 노동자
  • 학생
  • 여성
  • 전향 상위계급자

국민주권을 위한 야권연대

주요 인물
시위대 측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규모
시위대 측
[ 펼치기 · 접기 ]
1차 시위
경찰 10,000 ~ 20,000명
2차 시위
경찰 15,000명
육군 1,000명
3차 시위
경찰 20,000명
육군 1,500명
4차 시위
경찰 15,000명
육군 800명
[ 펼치기 · 접기 ]
1차 시위
시위대 50,000명
2차 시위
시위대 60,000명
3차 시위
시위대 40,000명
4차 시위
시위대 100,000명
피해 규모
시위대 측
[ 펼치기 · 접기 ]
경찰 130명 부상
군인 4명 부상
[ 펼치기 · 접기 ]
시위대 11,493명 구금 및 연행
시위대 9,103명 부상
시위대 29명 사망
각주


221년 사클레치아 반정부 시위(221 Saculechian protests)는 221년 1월부터 사클레치아 왕국에서 율리우스 레이소라 총리의 퇴진과 의회 선거의 재실시, 정치 개혁 등을 요구하는 반정부 시위를 말한다.

원인

율리우스 레이소라 총리 후보자가 사회 개혁과 국정 안정을 내걸고 24대 총선 이후 총리로 내정되었고, 민주당과 전 총리에 대한 지지율 하락과 함께 야권이 참패하여 통합군주당-공명연단 연합-미래신화당의 연립내각을 구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레이소라 총리는 기대와는 달리 이전 내각이었던 메이 내각에서 추진한 경제재개발 5개년 계획을 아예 폐기시키고, 사클레치아의 국영기업인 사클레스와이번의 정치적 유착을 긴밀히 진행했다. 이 일이 밝혀지자 노동자들은 분노했고, 220년 8월 노르문티아 지역에서 국영기업의 정치적 유착을 주도한 정부를 규탄하고 반국영화를 외치며 파업에 나섰는데, 정부의 강경 진압으로 논란이 커졌다.

거기에 사회 개혁을 강조한 기본소득제 도입, 성소수자·여성 친화 정책을 강하게 거부하며 무조건 종교에 따른 정책만 따르겠다고 공식 기자회견에서 밝히자 여성들과 성소수자들이 반발했고, 심지어 이세계 성소수자 연합이 비판 논평을 낼 정도로 파장이 컸다.

결국 출범 6개월 만에 지지율이 40%로 추락하는 결과를 맞게 되었고, 통합군주당의 정당 지지율 역시 21%로 줄어들어 소수의 진보층은 물론, 중도층을 크게 잃었다. 다만 보수층에서는 견고한 지지세를 보이는데, 중도층에서는 정부 내각의 강경 행보로 인해 실망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일각에서는 레이소라 총리가 스스로 사임하거나 퇴진시켜야 한다는 여론이 압도적이었으며, 반면 야당인 민주당자유당은 이 여론을 따라 정부의 무능함과 부정부패를 비판하여 지지율이 점차 상승세를 보였다.

그런데 220년 12월, 레이소라 총리가 유로아 연합 탈퇴를 목적으로 국민투표를 검토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많은 국민들은 충격에 빠졌다. 또 지난 선거에서 일부 주의 부정 개표 의혹까지 제기되자 결국 221년 1월 5만명의 시민들이 수도 일리오스에 시위를 진행함으로써 1차 시위가 시작된다.

경과

1 ~ 5차 시위

221년 1월에 일리오스 광장에 5만명이 모인 1차 시위에서 레이소라 총리의 퇴진과 선거 재실시를 요구하였다. 시위를 주도한 가브릴로 페렌츠는 연설에서 현 정부가 올바른 정부냐며 장기 집권을 추구하는 통합군주당-공명연단과 현 정부를 규탄하였으며 에밀리 레스타노 전 의회의원은 사클렉시트를 조장하는 국민투표와 현 정부의 ERU 탈퇴 행보를 결사 반대했다.

같은 날 공화주의자 에르빈 레스터가 이끄는 시위도 벌어졌는데, 총 2만명이 참여했다. 레스터는 더 이상 왕정으로 갈 수 없다며 100년 군주제 시대를 끝내고 공화제를 기초로 한 정권 교체를 요구했고, 왕정의 부패 행위에 소극적인 레이소라 총리와 집권 여당을 비판했다.

1차 시위 이후 나흘 뒤에는 약 6만 명이 참여한 2차 시위가 벌어졌다. 2차 시위에서는 총리의 사퇴에 한정되지 않고 국민의 자유권 보장, 조기 총선 실시, 공직선거법 개정 등을 촉구했다. 이 시위에서 언론인 가브릴로 페레츠가 공개 발언에서 "썩은 정부, 부패한 왕실, 도대체 정부는 제대로 된 것이 없는가"라며 정부와 왕실을 비판했다. 정부는 이번 시위에 대해 "국가의 질서를 무너뜨리는 반정부 시위를 용납할 수 없다"며 강경 대응을 촉구했고, 발표 1시간 후 사클레치아군 수뇌부와의 긴급 회의를 열어 시위 진압을 요청했다. 이후 시위 시작 3시간 뒤 시위대와 경찰 간의 격렬한 대치 상황에서 군인 일부를 투입했고, 시위 진압을 위해 사용한 최루탄을 투척하여 시위대를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특히 시위가 집중된 일리오스 광장에서는 경찰에 의해 최소 178명이 부상을 당했고 4명이 사망함으로써 큰 피해를 냈다.

이런 정부의 조치로 인하여 사클레치아 시민들은 정부를 향해 총리 퇴진과 정치 개혁을 요구하는 시위대들을 억눌리는 행위라고 비판했고, 게르마스 출신 언론인 한스 에르켈은 "정부의 강경 조치가 시위의 폭력적인 진압을 야기했다"며 해당 조치를 비판했다.

2월 중순, 민주당자유당 등의 야당 등이 주축이 되어 3차 시위가 시작되었다. 3차 시위는 4만 명이 참여했지만 2차 시위 당시 강경 진압을 벌였던 정부를 강력히 비판하고, 사망한 시위대들의 추모 행렬과 서명 운동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이 시위에서 민주당 당수 루이스 반 루카스테른와 자유당 당수 폴 다네트가 참여했고, 루카스테른은 야권연대 형성을 통하여 민주주의, 국민주권 확립을 내걸었고, 다네트는 정치 개혁은 물론이고 사회에도 변화를 주어야 한다며 이 같이 발표하였다. 지난 1차 시위 당시 참여했던 레스타노 전 의회의원도 해당 시위에 참여하여 다시 한번 정권 심판과 국민투표 취소를 요구하였다.

3차 시위에서는 공화국파와 반정부파가 뭉치면서 전국적인 시위로 확대되었으며 유로아 전역에서도 사클레치아인들이 반정부 시위를 지지하는 소규모 시위가 일어났다. 하지만 3차 시위에서도 정부의 강경 진압이 벌어지며 총 2,259명이 부상을 입고 1,600명이 연행되었다. 유로아 내 시위에선 대사관에서 진행되었기 때문에 사클레치아와의 외교 문제를 우려하여 대사관 측에서 시위 해산을 요청하였다.

3차 시위 이후 레스터는 공화국파의 정치 활동을 위해 새로운 정당인 공화국을 위한 연합을 창당하였다. 공화국을 위한 연합은 사클레치아 공화국의 실현을 위해 왕정을 끌어내리고, 대통령제 도입, 국민주권 기초 헌법 개정 등을 내세웠다. 이에 민주당, 개혁당, 자유당, 사회당이 추진하던 야권연대에 합류할 가능성이 커졌다. 레스터는 야권연대 지지를 선언하여 공화국을 위한 연합은 야권연대에 합류했고, 민주당과 자유당, 개혁당, 사회당, 노동당, 공화국을 위한 연합은 4차 시위 직전 야권연대 추진을 마무리하고, 225년 총선에서 야권 단일 후보를 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3월, 전국 10만 명이 참여하고 유로아 전역에서 5,100명의 거주 사클레치아인들이 주축이 된 4차 시위가 시작되었다. 이 시위에서 대학생과 진보주의자, 건설노동자, 여성 외에도 성소수자, 귀족 전향자, 언론인, 자유주의자, 청년단체 등이 합류했고, 일리오스 광장에서 무려 5만 명이 넘는 시위대가 결집하여 정권 퇴진을 외쳤다. 뿐만 아니라 노르문티아, 자카르파티아, 첸트루, 유스키아 등의 지역에도 만 명 이상의 시위가 동시에 열렸다.

뿐만 아니라 국민들을 대변하기 위한 신헌법 기초를 발표했는데, 국민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헌법에 반영하여 기존 헌법의 대부분을 개정한 것으로 추후 국민의회에 공동발의하여 기존 헌법을 폐지하고 신헌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4차 시위에서 경찰이 시위대를 향해 사격한 사건이 벌어졌고, 동시에 물대포 등을 이용한 강경 진압이 시작됨에 따라 5,690명이 연행되거나 구금되었을 뿐만 아니라 11명이 사망하고 2,479명이 부상을 입어 역대 최악의 피해를 입었다. 또 정부는 대규모 시위가 진행되고 있을 때 이미 군부와 경찰에게 사격 명령을 내리고 시위를 강제 해산시켜야 한다는 명목으로 진압 작전 수행을 공포해 더욱 비판을 받고 있는 중이다.

결국 시위대와 경찰 간의 갈등이 폭발하며 시위는 점차 과격해졌는데 시위에 참여한 일부 공산주의자, 국민주의자들이 무기로 무장한 채 경찰과 군인들을 공격해 총 84명이 부상을 입었다.

정부의 입장 발표

221년 4월, 율리우스 레이소라 총리는 기자회견에서 "정부는 뿔난 민심의 목소리를 듣고자 하며 이를 위해 조기 총선을 실시하겠다"며 원래 헌법에 따라 225년에 치러졌어야 할 제25대 사클레치아 의회선거를 조기에 치르기로 결정했다. 또 레이소라는 유로아 연합 탈퇴를 묻는 국민투표를 취소하고, 유로아 연합과의 관계 회복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다시 대규모 시위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국민의 안전과 질서를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시위 해산과 질서 안정을 권고했고, 시위 도중 폭력적 행위가 발견될 시 강력한 처벌을 내리겠다며 시위대에게 경고를 날렸다.

국영방송인 STN에서는 정부 내각이 결국 뒤늦게 시민의 요구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고 발표했지만, 여전히 진보 계열 언론사들은 시민의 요구가 조기 총선과 국민투표 취소만으로는 충족되지 않는다며 더 많은 요구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야권연대 형성

221년 4월 민주당, 자유당, 노동당, 사회당, 개혁당, 공화국을 위한 연합이 조기 총선의 야권 단일 참여를 위해 국민주권을 위한 야권연대(Opposition for People's Sovereignty)를 출범시켰다.

5차 집회

베르데니스 회의

국제단위시 기준 2021년 6월 14일 게르마스 베르데니스에서 유로아 연합 12개국 (게르마스, 앵글로카, 스코치, 게일리코, 이베리카, 프랑키아, 와루샤-라트바, 외스티-운가른, 밀라니아, 나플뤼스, 슬라보냐 연합, 비잔텔레니카) 정상들이 사클레치아 반정부 시위의 국제적인 지지를 위해 사클레치아 반정부 시위 지지를 위한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클리우스의 사클레치아 규탄 선언문

저 나라는 지금 우리가 우려하던 사회로 가고 있다.
That country is now going to society we are concerned about.

프랑수아 이클루아 총리

국제단위시 기준 2021년 6월 16일, 프랑수아 이클루아 이클리우스 총리는 사클레치아 반정부 시위에 대해 지지를 표명함과 동시에 사클레치아 경찰의 강경 진압, 사클레치아의 권위주의 부활과 민주주의 분쇄 행보를 규탄하는 선언문을 발표하였다.

이 선언문은 이클루아 총리를 포함하여 프랑수아 드 라티몽 부총리, 루이 스테피아 외교부 장관, 리처드 밀스 생태부 장관, 조지 발렌타인 내무부 장관, 제임스 사이먼 국가재정부 장관 등 18명의 내각 부서, 56명의 연방관저 소속 고위 공직자가 낭독하였으며, 사클레치아와의 군사적 협력 관계는 물론이고 무역, 문화, 군사 등에 관한 모든 교류를 원천 제한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동시에 주사클레치아 대사관은 물론이고, 주이클리우스 대사관도 국제단위시 기준 6월 29일까지 폐쇄를 지시하도록 했다. 발표 직후 6월 18일 대사관 대사는 급히 국내로 철수를 선언했다.

여기에 민주당을 포함한 19개의 정당들도 '사클레치아 반정부 시위 지지를 위한 정치연대'를 잠시 결성하여 사클레치아 반정부 시위를 지지하고 정부의 시위대 탄압, 검열을 규탄하는 게시물이 올라와 사클레치아 내 반정부 시위대들과 지지자들의 큰 지지를 받았다. 선언문이 발표된 후 6월 17일에는 영화감독 겸 사회운동가, 진보당 소속 당원인 알렉스 캐롤이 1차 시위부터 5차 시위까지의 일대기를 한 컷에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왕으로부터의 행진'(March From The King)이 이클리우스 전국에 개봉되기도 했다.

하지만 보수당 등의 보수주의 계열의 정당들은 물론이고, 국민당, 대이클리우스당 등의 극우 계열 정당들은 사클레치아와의 관계 파탄을 우려하여 규탄 선언문을 비판했다. 보수당 강경파 의원인 샤를 드 마리나는 이 선언문을 "퇴행적 좌파와 유사 사회주의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위법행위"라며 규탄했는데, 그러면서 "약 50년 전에 체결한 이클리우스-사클레치아 조약을 위반했다"며 비판 강도를 높혔다. 사클레치아 정부는 물론 레이소라 총리도 이클리우스의 규탄 선언문에 비판을 가했다.

반응

정부 및 내각

정치권

통합군주당은 반정부 시위를 강력히 규탄했고, 온건파는 "국가와 안보를 위협하는 행위", 중도파는 "진보가 결국 뿔났다", 보수파는 "잘못하면 군주제가 무너질 가능성 크다", 급진·과격파는 "국가 전복을 주장하려는 좌파 세력들의 음모"라며 각 파벌마다 비난을 표출했다. 공명연단도 "반정부 시위가 성공하게 되면 국가 전복이 우려된다"며 비판했으며, 곧 공명학회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래신화당은 "정치적 불순세력들이 주도한 불법 시위"라며 강력하게 비난했다.

반면 민주당과 자유당은 현 정부와 여당을 비판하며 개혁당, 사회당과 함께 야당연합 구성을 추진하기로 했다.

네티즌

종교계

해외

유로아 연합은 정부의 국민투표 검토를 강도 높게 비판했고, 국민투표를 전면 취소해야 된다고 강력히 요구했다.

논란

정부의 강경 대응

많게는 10만명이 참가하는 반정부 시위인데도 불구하고, 정부는 이들의 시위를 강제 해산시키기 위해 경찰, 군부까지 동원하여 강경 진압을 펼쳤다. 때문에 시위 참가자들은 현재까지 총 9,000명 이상이 부상을 당했고, 그 중 29명이 사망했다. 외신들은 사클레치아 정부의 강경 대응이 민주주의를 짓밟았다며 비판했고, 이클리우스의 대표신문인 더 이클리우스 포스트 마저도 사클레치아 정부를 비판했다.

심지어 지구에서는 세계인들이 사클레치아 시민들을 위로하는 글을 올렸고, 어나더어스 역사학자들도 민주화 시위가 부패한 왕정을 끝낼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하며 지지에 나섰다. 사클레치아의 시민들은 정부의 대응이 너무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와 강경 대응이 과하다고 반응했으며 정부와 경찰에게 책임이 있다는 의견도 큰 상황이라 정부의 책임이 클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정부는 반정부 시위대들을 폭도로 부르고, 국가 질서를 위해 강경 진압을 해야 한다는 행보가 이어지며 차후 국정 운영은 물론 조기 총선에 대한 큰 악재로 번질 수 있다.

정언유착

반정부 시위가 불거진지 한 달이 지났을 무렵, 정부의 지시로 언론사 전체에 반정부 시위를 폭동, 내란으로 표기하라는 문건이 공개되어 정언유착이라는 논란까지 생겼다. 이 문건이 공개되기 전 1차 시위 당시 정부가 보수와 진보언론을 상대로 반정부 시위를 폭동으로 표기해야 한다는 지시를 내렸으며, 만약 이를 어길 시 강제 정간되었기 때문에 언론사들은 이를 따를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진보 언론사들은 이 문건을 따르지 않고 정부에 대한 비판 보도를 했기에 정간 가능성이 커졌지만 지난 3월 경찰이 레프트캐스트 본사에 칩입하여 언론인 수십 명을 체포한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리고 221년 언론의 날을 맞아 국경 없는 기자회가 발표한 어나더어스 언론 자유 지수에서는 54개국 중 49위를 기록해 유로아 지역 중 꼴찌를 기록했고, 일각에서는 전제군주제를 채택하고 있는 알라브국보다 심각한 수준이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오게 되었다.

SNS 검열 논란

3차 시위 이후 시위의 두 축을 이루었던 공화주의 계열과 반정부 세력이 뭉치며 시위가 전국에서 유로아 전역으로 확대되고, 여기에 SNS 활동을 통해 사클레치아 정부는 국제적으로 연대한 유저들의 비난을 받아야만 했다. 또 페이스토리 등에서는 #WhatsHappeninginSaculechia 해시태그 운동이 일어나 사클레치아 정부의 시위 강경 진압을 비판하고, 민주주의 수호와 국민주권 정체성을 확립시키자는 여론이 조성되었다.

보다 못한 정부는 결국 5차 집회를 앞두고 사클레치아 정보통신안전부에 SNS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결정했다. 모니터링의 내용은 사클레치아 반정부 시위에 관련이 있거나, 반정부 시위를 지지하는 계정이 발견될 시 즉시 삭제되거나 IP 추적을 통해 구금되거나 징역 2년 이하에 처하게 되는데, 이를 두고 정부가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며 비판했다.

중국 지원론

일부는 현실 세계의 중국이 사클레치아군을 긴밀하게 지원했다는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현실 세계에서 어나더어스로 가려면 차원의 문이 필요한데, 현재 5개 도시에 설치되어 있다. 원래 베이징에 차원의 문을 설치하려 했으나 전 세계적인 코로나 사태로 인해 취소된 바 있다.

하지만 어나더어스에서 활동하고 있는 일부 음모론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은 코로나19라는 팬데믹 사태에도 불구하고, 중국 공산당의 비밀 당원들이 유럽을 돌아다니며 차원의 문에 칩입 후 중국제 무기를 사클레치아에 보내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썼다고 주장했다.

어나더어스는 음모론탐사TF를 통해 이번 시위에 관한 중국 지원론에 대해 추적 중이며, 충분한 근거가 모이면 차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영향

차기 총선 영향

반정부 시위로 인해 원래 225년에 치러지는 25대 총선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국민의회 의장과 총리는 내각 불신임권과 의회 해산권이 존재하며 만약 총리가 실각했을 경우 야권 혹은 여권의 요구에 따라 국민의회 의장이 의회 해산권을 발동하여 예상보다 일찍 치러질 수 있다.

그런데 221년 4월 레이소라 총리가 기자회견에서 조기 총선을 시사했고 에두아르 알레송 의장이 조기 총선 날짜를 잡기 전까진 무기한 해산하기로 결정하면서 헌정 사상 초유의 해산 사건이 발생해, 앞으로 차기 총선에선 어떤 이슈라도 반정부 시위가 엄청난 변수로 작용하여 여권에 큰 악재가 닥칠 수 있다. 반면 야권의 경우 이를 이용해 강한 호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야권이 주도권을 가질 가능성이 크다.

여권 및 야권 영향

여야에도 반정부 시위로 인해 극명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여권에서는 차기 총선에서 악재로 인해 큰 타격을 받을 수 있으며 반대로 야권에서는 차기 총선에서 호재로 크게 약진할 가능성이 있다.

얼마나 더 의석을 얻느냐에 대한 여론조사에서는 야권연대(민주당-자유당-사회당-개혁당)가 연립정권(통합군주당-공명연단-미래신화당)을 압도적으로 밀어내고 제1당에 올라설 것이라는 의견이 대다수이며, 심지어는 반정부 시위의 영향으로 지난 총선 당시 진출에 실패했던 공산당 계열(신공산당)이 원내 진출을 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기도 했다.

연립정권 외에도 극우정당들도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221년 4월 조기 총선이 발표됨에 따라 야권의 승리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데, 만약 야권이 압승한다면 국민의회가 개편될 가능성이 크다. 선거에서 승리한 야권은 의장이 배치되고 총리 지명 투표에 과반수 찬성을 할 수 있지만 정원 배치나 상임위원회의 조직 등을 의장이 정하기 때문에 공동체 시기 의회가 확립된 지 약 220년 만에 이른바 100석 시대가 무너질 수 있다.

공화제 추진 가능성

이번 반정부 시위로 인해서 사클레치아의 정권 체제를 공화제로 바꾸자는 여론이 생겨났는데, 에르빈 레스터가 이 여론을 이끌고 있다. 레스터는 지난 100년간 절대적 왕정 체제로 인해 많은 백성들이 고통받고 있고, 현재 입헌군주제를 유지했음에도 여전히 국왕이 국가를 통치하고 있어 의회만 넣은 군주제라고 비판했다.

또 현대 사회에서 왕정은 구시대적 체제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대안이 공화제이고 이것이 민주주의 사회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3차 시위 이후 레스터가 공화국을 위한 연합을 창당하면서 공화국파의 정치 활동도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