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번째 주(51st state)는 남한 지역이 사우스코리아 주로 미국에 편입된 내용을 담은 세계관이다. 한국이 존재하지 않는 세계가 어떻게 될 것인가를 다루고 있다.

영향

아시아

일본

일본은 미국에게 있어서 중요한 전략적 거점이긴 하지만, 소련의 영향권에 들어가지만 않으면 되는 수준으로 지위가 격하되었다. 특히 GHQ의 맥아더 사령관이 주도한 일본의 농업화 정책은 실제 일본보다 국제사회에서의 위상을 추락시켰다. 미일안전보장조약의 선제조항인 재벌 해체와 산업분리조항으로 여러 제품을 생산하며 유기적으로 결합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것이 원천 차단되었다. 일본은 북부의 낙농업과 풍부한 해양자원을 중심으로 한 어업, 쌀농사, 축산업에 의해 경제가 주도되는 1차 산업 중심 국가로 변모되었다. 특히 특정 지역에 인구가 몰려 살지 않도록 역내균형조항이 헌법에 삽입되어, 일본의 산업화를 계속해서 방해했다. 간토와 킨키, 도카이에 각각 일본 전체 인구의 10% 이상이 거주할 수 없도록 규정한 헌법은 일본의 지방분권화를 촉진시켰다.

일본은 한국전쟁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따로 산업화에 박차를 가할 기회가 부족했으며, 베트남 전쟁에서도 미국의 생산기지가 사우스코리아 였으며 미국의 대아시아 정책이 사우스코리아에 의해 주도되는 상황을 맞았다. 일본은 끊임 없이 아시아 권역에서 힘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지만, 미국은 최전방인 사우스코리아와 대만, 인도차이나에 지원과 관심을 몰아줘 큰 소득을 얻지 못했다.

일본은 1960년대 초부터 나름대로 산업화를 시도했지만, 60년대에는 린든 B. 존슨 대통령이 미일안전보장조약에서 일본의 산업화에 부분 개정을 거절했고, 70년대 초 닉슨 대통령과의 협의에서 산업화를 위한 부품 제조, 제철소 등을 허가 받았다. 일본은 산업화에 박차를 가했는데, 경공업보다 중화학공업에 중점적으로 투자를 한 것이 1979년 오일 쇼크와 겹치며 일본에 굉장히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 일본은 당시 미국 정부에 3억 달러의 차관을 받았고, 민간에서는 이보다 큰 규모의 대출을 받은 상태였다. 미국이 유동성을 조절하기 위해 금리를 21%로 올리자 일본의 대부분의 중화학공업 업체들이 파산했다.

일본은 80년대 중반까지 장기 불황에 시달렸다. 일본의 많은 좌우익 운동단체들은 일본의 경제에 과도할 정도로 큰 권한을 가진 미일안전보장조약에 대해 강력히 반발했고, 이는 곧 대규모 시위와 소요 사태로 발전했다. 현재 안보투쟁이라고 부르는 이 소요는 1981년부터 1987년까지 7년간 일본 사회를 뒤흔들었다. 1980년대 중반부터 소련의 약화가 시작되자 미국 정부는 그제서야 일본의 상황에 큰 관심을 보였고, 여러 물밑 협상 이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1988년 미국은 미일안전보장조약의 일본의 산업화 관련 조항을 삭제했으며, 이는 일본의 공업촉진 정책을 견인했다. 일본 정부는 국내투자와 기업간의 인수합병을 적극적으로 장려했으며 몇몇 기업이 대기업화 되며 90년대 중반 어느정도 궤도에 올랐지만, 97년 동남아시아 국제금융위기가 터지며 다시 한 번 산산조각 났다. 2000년대 초반 닷컴 버블은 정보통신 인프라 미비로 피해갈 수 있었다.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 때도 일본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저임금으로 중국이 부상하며 세계의 공장 역할을 맡은 이후 일본은 중국의 역할을 내심 부러워했다. 2010년대 중반 미중 패권경쟁이 가속화되자 일본은 저임금을 홍보하며 중국을 대신할 세계의 공장이 되겠다고 세일즈 외교를 펼쳤고 많은 서방 기업들이 제재가 시작된 중국에서 일본으로 투자처를 옮기면서 일본은 패전 이후 최고의 호황을 맞고 있다. 2009년 일본의 1인당 GDP는 4900달러 수준이었지만, 2019년 9000달러를 돌파했다.

북한

북한 지역은 남한지역이 미국에 편입된 것의 맞대응으로 소련의 자치공화국으로 편입되었다. 바로 코리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다. 이로써 미국과 소련은 국경을 맞댄 접경국이 되었다.

1991년 소련의 해체 이후 북한 지역은 고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이후 헌법 개정을 통해 고려가 되었다. 1990년대 초반에는 친러 성향이 강했지만, 원산항 조차지 문제로 사이가 틀어졌다. 그래도 정치에서 친러파와 친서방파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 편이다. 나름대로 사회주의의 최전선이었기 때문에 공업화도 적당히 진척되어 있으며, 인프라도 공산권 중에서는 동독과 견줄 정도로 탄탄하다.

러시아(소련)

중국

대만

인도차이나

유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