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관리자.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 style=" float: right; " | {{여백|0.5em}} {| class=" wikitable " style=" float: right; border: 2px solid #000; width: 25em; " | colspan=" 2 " style=" background-color: #AD0000; color: #F5C72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big><big>'''국제 통제 위원회'''</big> <br /> '''Komisioni Ndërkombëtar i Kontrollit'''</big> |- | colspan=" 2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div style=" margin: -4.0px -9.0px; ">[[파일:Anëtarë_të_Komisionit_Ndërkombëtar_të_Kufinjve.jpg]]</div> |- | colspan=" 2 " style=" background-color: #AD0000; color: #F5C72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1914년 ~ 1916년''' |- | style=" background-color: #AD0000; color: #F5C72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width=" 30% " | '''조각''' | style=" border: 1px solid #000; " width=" 70% " | [[1914년]] [[1월 22일]] |- | style=" background-color: #AD0000; color: #F5C72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width=" 30% " | '''해산''' | style=" border: 1px solid #000; " width=" 70% " | [[1916년]] [[2월 11일]] |- | colspan=" 2 " style=" background-color: #AD0000; color: #F5C72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역사''' |- | style=" background-color: #AD0000; color: #F5C72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width=" 30% " | '''선거''' | style=" border: 1px solid #000; " width=" 70% " | [[런던 조약 (1913년)|런던 조약]] |- | style=" background-color: #AD0000; color: #F5C72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width=" 30% " | '''이전 내각''' | style=" border: 1px solid #000; " width=" 70% " | [[알바니아 임시 정부]] |- | style=" background-color: #AD0000; color: #F5C72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width=" 30% " | '''다음 내각''' | style=" border: 1px solid #000; " width=" 70% " | [[제1기 퍼르메티 정부]] |- |} |} <div>__NOTOC__</div> <div class=" scroll " style=" position: Absolute; margin-left: 1000px; height: 2500px; "> <div style=" position: sticky; top: 10%; width: 300px;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rgin-top: 900px; "> <div align="center" style=" color: #AD0000; margin-top: 0px; font-size: 12pt; border-bottom: 2px solid #AD0000; padding-top: 10px; margin-right: 10px; margin-left: 10px; ">'''[[파일:Emblem of Albania.png|x50px|link=]]<br />알바니아 왕국<br />Mbretëria Shqiptare''' </div> <div align=" center " style=" overflow: auto; height:100%;"> <div align=" center " style=" overflow-y: scroll; height: 500px; margin-top: -1px; padding-top: 10px; margin-right: 10px; margin-left: 10px; padding:5px 20px; text-align: left; font-size: 11pt; "> [[#1|'''{{color|#AD0000|1.}}{{여백|0.5em}}{{color|#000|배경}}''']] <br /> [[#2|'''{{color|#AD0000|2.}}{{여백|0.5em}}{{color|#000|구성원}}''']] <br /> [[#3|'''{{color|#AD0000|3.}}{{여백|0.5em}}{{color|#000|성립}}''']] <br /> [[#4|'''{{color|#AD0000|4.}}{{여백|0.5em}}{{color|#000|활동}}''']] <br /> [[#4-1|'''{{여백|0.5em}}{{color|#AD0000|4.1.}}{{여백|0.5em}}{{color|#000|내부 문제 해결}}''']] <br /> [[#4-2|'''{{여백|0.5em}}{{color|#AD0000|4.2.}}{{여백|0.5em}}{{color|#000|북이피로스 문제}}''']] <br /> [[#5|'''{{color|#AD0000|5.}}{{여백|0.5em}}{{color|#000|세계 대전과 해산}}''']] <br /> [[#6|'''{{color|#AD0000|6.}}{{여백|0.5em}}{{color|#000|같이 보기}}''']] <br /> </div> </div> </div> </div> '''국제 통제 위원회'''(<small>[[알바니아어]]:</small> Komisioni Ndërkombëtar i Kontrollit <small>코미시오니 은더르콤버타르 이 콘트롤리트 </small>, <small>[[영어]]:</small> International Control Commission, ICC)는 [[1913년]] [[5월 30일]] 체결된 [[런던 조약 (1913년)|런던 조약]]에 따라 6개 강대국의 결정에 의해 수립된 위원회이다. 주요 임무는 [[알바니아법]]을 바탕으로 헌법 기반을 확립하고 [[알바니아 공국]]의 행정 체제를 조직하는 것이었다. [[1913년]] [[10월 16일]], 7명의 대표로 구성되어 [[블로러]]에 본부를 둔 국제 통제 위원회는 10년의 임무 기간을 지녀 [[1924년]] [[10월 15일]] 해산되었다. [[알바니아 공국]]의 군주가 된 [[스컨데르베우 2세]]는 [[1914년]] 3월에 [[알바니아]]에 도착하여 공무를 담당했다. 그 이전까지 국제 통제 위원회는 내부 정치 상황을 통합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1914년]] 1월에 [[알바니아 임시 정부]]가 사임하고, 2월에 [[중앙알바니아 공화국]]이 해산되면서 행정력이 집중되었다. [[1914년]] 3월에는 [[알바니아의 헌법 (1914년)|헌법 초안]]이 작성되었고, [[1914년]] [[4월 10일]], 발표되었다. [[북이피로스 독립 전쟁]]의 성공적인 무력 해결에 영향을 끼쳤으며,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16년]] [[2월 11일]] 해체된다. {| class=" wikitable textParagraph " style=" max-width: 450px;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 | style=" width: 450px; border: 1px solid #AD0000; " | <div class=" paragraph-1 paragraph-N mw-customtoggle-content " style=" position: Sticky; top: 15px; padding-top: 15px; padding-bottom: 15px; padding-left: 0.5em; font-family: 'aldrich'; ">'''목차'''</div> <div class="mw-collapsible" id="mw-customcollapsible-content "></div> <div class=" mw-collapsible mw-collapsed " id=" mw-customcollapsible-content " style=" 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 [[#1|'''<div class=" content paragraph-4 "><span class=" paragraph-N">1.</span>{{여백|0.5em}}<span class=" paragraph-4 " style=" color: #000; ">배경</span>'''</div>]] [[#2|'''<div class=" content paragraph-4 "><span class=" paragraph-N">2.</span>{{여백|0.5em}}<span class=" paragraph-4 " style=" color: #000; ">구성원</span>'''</div>]] [[#3|'''<div class=" content paragraph-4 "><span class=" paragraph-N">3.</span>{{여백|0.5em}}<span class=" paragraph-4 " style=" color: #000; ">성립</span>'''</div>]] [[#4|'''<div class=" content paragraph-4 "><span class=" paragraph-N">4.</span>{{여백|0.5em}}<span class=" paragraph-4 " style=" color: #000; ">활동</span>'''</div>]] [[#4-1|'''<div class=" content paragraph-4 ">{{여백|0.5em}}<span class=" paragraph-N">4.1.</span>{{여백|0.5em}}<span class=" paragraph-4 " style=" color: #000; ">내부 문제 해결</span>'''</div>]] [[#4-2|'''<div class=" content paragraph-4 ">{{여백|0.5em}}<span class=" paragraph-N">4.2.</span>{{여백|0.5em}}<span class=" paragraph-4 " style=" color: #000; ">북이피로스 문제</span>'''</div>]] [[#5|'''<div class=" content paragraph-4 "><span class=" paragraph-N">5.</span>{{여백|0.5em}}<span class=" paragraph-4 " style=" color: #000; ">세계 대전과 해산</span>'''</div>]] [[#6|'''<div class=" content paragraph-4 "><span class=" paragraph-N">6.</span>{{여백|0.5em}}<span class=" paragraph-4 " style=" color: #000; ">같이 보기</span>'''</div>]] </div></div></div> |} <div id=" 1 " class=" paragraph paragraph-1 ">'''<span class=" paragraph-N ">1</span>{{여백|0.5em}}배경'''</div> [[제1차 발칸 전쟁]]에서 [[세르비아 왕국]], [[몬테네그로 왕국]], [[그리스 왕국]]은 [[오스만 제국]]의 알바니아계 빌라예트의 대부분을 점령했다. 그로부터 몇 달 전에 [[알바니아인]]은 자치권을 얻기 위해 이들과 맞서 싸웠으나 그들에게 영토를 분할당하게 될 상황에 이르자 [[1912년]] [[11월 28일]], [[블로러 회의]]에서 독립 알바니아가 선포되었고 [[이스마엘 체말리]]의 [[알바니아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1912년]] [[12월 3일]], 전쟁 당사국들은 [[제1차 발칸 전쟁]]에 휴전하였고, [[12월 7일]], [[런던]]에서 열린 회의에서 평화 협상이 시작되었다. 회의에서 [[알바니아인]]의 독립을 보장하는 것 이외에도 주변국과의 국경 문제가 결정되었다. 그리고 [[1913년]] [[7월 29일]], [[알바니아 공국]]의 기본 틀을 제시한 [[알바니아법]]이 [[런던]] 회의에서 규정된다. [[알바니아법]]을 통해 독립적인 [[알바니아 공국]]이 공식적으로 수립되었다. 법령에 따라 [[알바니아]]의 주요한 문제는 군주의 체제가 확립되기 전까지 6개국 열강 대표와 [[알바니아인]] 대표로 구성된 7명의 국제 통제 위원회에 의해 감독된다. 국제 통제 위원회는 [[알바니아 공국]]에게 감독과 자문을 제공하는 10년의 임무를 부여받았다. 그러나 [[알바니아]]는 경제 및 인프라의 열악함 외에도 여러 내부적인 정치 문제에도 직면해 있었다. 많은 지역이 타국의 점령 하에 있었고, 국경 문제는 결론지어지지 못헀으며, 여러 정치적 이해 관계로 영토가 분열되어 있었다. [[알바니아 독립 선언]] 이후 [[알바니아 임시 정부]]가 설립되었으나, 이에 반대하는 [[에사드 톱타니]]는 [[중앙알바니아 공화국]]을 선포했고, [[슈코드라]]는 타국의 군정 아래에 있었고, 북부 부족들은 독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div id=" 2 " class=" paragraph paragraph-1 ">'''<span class=" paragraph-N ">2</span>{{여백|0.5em}}구성원'''</div> {| class=" wikitable " style=" border: 2px solid #000; " |+ '''대표''' | style=" background-color: #AD0000; color: #F5C72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성명''' | style=" background-color: #AD0000; color: #F5C72E; border: 1pxsolid #000; text-align: center; " | '''재임기간''' | style=" background-color: #AD0000; color: #F5C72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국적''' |-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레옹알폰스타데 크라예프스키]]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1913년]] [[7월 29일]] ~ [[1916년]] [[2월 5일]]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프랑스]] |-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해리 할링 램]]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1913년]] [[7월 29일]] ~ [[1916년]] [[2월 6일]]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영국]] |-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알렉산드로 레오니]]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1913년]] [[7월 29일]] ~ [[1914년]] 8월 | rowspan=" 2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이탈리아]] |-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카를로 갈리]]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1914년]] 8월 ~ [[1916년]] [[2월 6일]] |-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페트리예프]]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1913년]] [[7월 29일]] ~ [[1916년]] [[2월 8일]]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러시아]] |-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아리스토텔레스 페트로비치]]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1913년]] [[7월 29일]] ~ [[1914년]] [[5월 25일]] | rowspan=" 2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오스트리아-헝가리]] |-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아우구스트 크랄]]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1914년]] [[5월 25일]] ~ [[1916년]] [[2월 11일]] |-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율리우스 빈켈]]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1913년]] [[7월 29일]] ~ [[1916년]] [[2월 10일]]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독일 제국]] |-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무피드 리보호바]]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1913년]] [[7월 29일]] ~ [[1914년]] [[3월 18일]] | rowspan=" 2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알바니아]] |-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메흐디 프라셔니]]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 [[1914년]] [[3월 18일]] ~ [[1916년]] [[2월 11일]] |- |} 국제 통제 위원회는 [[블로러]]에서 [[1913년]] 가을에 설립되었으나 첫 회의는 [[1913년]] [[10월 16일]]에 열렸다. [[알바니아인]] 대표로 [[알바니아 외무부장관|외무부장관]] [[무피드 리보호바]]가 선출되어 [[이스마엘 체말리]]는 그의 내각에서 그의 주요 지지자 중 한 명을 잃었다. [[무피드 리보호바]]가 [[제1기 퍼르메티 정부]]의 [[알바니아의 법무부장관|법무부장관]] 겸 [[알바니아 종교부장관|종교부장관]]으로 임명되면서 [[메흐디 프라셔니]]가 차기 [[알바니아인]] 대표가 되었다. <div id=" 3 " class=" paragraph paragraph-1 ">'''<span class=" paragraph-N ">3</span>{{여백|0.5em}}성립'''</div> 국제 통제 위원회의 주요 임무는 [[알바니아]]의 정치·사회적 상황을 파악하고 국가 조직, 공공 행정, 법과 질서, 경제 거버넌스의 모든 영역을 포괄하는 알바니아의 정부 형태, 즉 헌법 초안을 작성하는 것이었다. 이 임무는 6개월 이내로 완료되어야 했고, 일주일에 네 번 모이는 대표들은 일종의 분업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해리 할링 램]]과 [[레옹알폰스타데 크라예프스키]]는 재정, [[아리스토텔레스 페트로비치]]와 [[율리우스 빈켈]]은 법과 질서,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페트리예프]]와 [[알렉산드로 레오니]]는 공법 부분을 담당했다. [[1913년]] 10월, 국제 통제 위원회와 함께 강력한 권한을 가진 두 개의 국제 기구가 [[알바니아]]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하나는 [[알바니아]]의 국경 확립을 위한 국제 위원회로, 민족을 고려하여 현장 조자를 통해 [[알바니아]]-[[그리스]] 국경을 확정하고 [[1913년]] [[12월 7일]] 비준된 [[피렌체 의정서]]로 이를 마무리했다. 다른 하나는 [[국제 헌병대]]로 [[빌럼 더페이르]]와 [[로데베이크 톰손]]의 지휘 아래 [[네덜란드]] 장교들이 이끄는 조직이었다. <div id=" 4 " class=" paragraph paragraph-1 ">'''<span class=" paragraph-N ">4</span>{{여백|0.5em}}활동'''</div> <div id=" 4-1 " class=" paragraph paragraph-2 ">'''<span class=" paragraph-N ">4-1</span>{{여백|0.5em}}내부 문제 해결'''</div> 국제 통제 위원회의 위원들은 처음에는 [[이스마엘 체말리]]의 [[알바니아 임시 정부]]와 [[에사드 톱타니]]의 반-정부 조직을 인정하지 않고 가능하면 해산시키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러나 이는 곧 완화되었고, [[알바니아 독립 선언]] 1주년인 [[1913년]] [[11월 28일]], 국제 통제 위원회는 [[알바니아 임시 정부]]를 인정했다. [[1914년]] 11월, [[에사드 톱타니]]가 [[중앙알바니아 공화국]]을 선포하며 알바니아 영토에 두 개의 정부가 공존하게 되면서 긴장이 발생한다. [[알바니아 임시 정부]]의 [[알바니아 내무부장관|내무부장관]] [[하산 프리슈티나]]는 [[에사드 톱타니]]와 [[중앙알바니아 공화국]] 인사들을 [[엘바산]]으로 초청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하산 프리슈티나]]는 [[에사드 톱타니]]에게 다음 정부에서 [[알바니아 전쟁부장관|전쟁부장관]]을 맡게 해줄것을 약속하고 국제 통제 위원회는 이를 지지했다. 그러나 회담은 결렬되었고, [[엘바산]] 인근에서 무력 충돌이 발생하자 국제 통제 위원회는 [[국제 헌병대]]를 보내 충돌을 해산시켰다. 그러나 [[알바니아 임시 정부]]는 그로부터 두 달 후에 해산된다. [[1914년]] 1월, [[이스마엘 체말리]]가 [[오스만 제국]] [[그레베나 음모]]의 배후에 있다는 의혹이 퍼져나갔고, 이를 뒷받침할 증거는 없었지만 [[알바니아 임시 정부]]의 권위는 악화되었다. [[1914년]] [[1월 15일]], [[이스마엘 체말리]]는 [[스컨데르베우 2세]]가 왕좌에 오르기 전까지 [[알바니아 임시 정부]]의 권력을 포기하고 국제 통제 위원회에 위임하겠다고 열강들에 호소했다. [[알바니아 임시 정부]]와 국제 통제 위원회 대표들은 [[1914년]] [[1월 22일]], [[블로러]]에서 권력 이양 문서에 공식적으로 서명했다. 새로운 임시 정부는 국제 통제 위원회의 지시 하에 [[페이지 알리조티]]에 의해 [[1월 28일]] 구성되었다. 이러한 조치로 국제 통제 위원회는 알바니아 영토에 대한 통제권을 통일했고, 열강의 압력으로 [[북이피로스]] 지역을 점령한 그리스군을 철수시켰다. <div id=" 4-2 " class=" paragraph paragraph-2 ">'''<span class=" paragraph-N ">4-2</span>{{여백|0.5em}}북이피로스 문제'''</div> [[1914년]] [[2월 28일]], [[지로카스터르]]에서 [[예오르요스 흐리스타키스조그라포스]]를 포함한 [[그리스인]]이 [[북이피로스 독립 선언|북이피로스의 독립을 선언]]한다. [[알바니아 전쟁부장관|전쟁부장관]] [[에사드 톱타니]]를 비롯한 인사들은 [[북이피로스 독립 선언]]을 무력으로 진압하고자하였고, 국제 통제 위원회에 이를 주장한다. 국제 통제 위원회는 그들의 제안을 받아들였고 수 천 정의 소총과 수 십 문의 포를 제공했다. [[5월 21일]], [[에사드 톱타니]]의 쿠데타 미수로 인해 발생한 [[알바니아 농민 반란]]으로 [[북이피로스 독립 전쟁]]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졌으나, 8월 전후로 다시금 여유가 생겼다. [[북이피로스 자치 공화국]]은 점령지의 [[알바니아인]]을 학살하는 등 점령지의 불만을 고조시켰고, [[알바니아인]]의 [[그리스인]] 학살이 보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국제 통제 위원회는 이들로 하여금 [[그리스인]]에 대한 잔혹 행위를 멈출 것을 당부했으나 그들과 같이 있던 [[국제 헌병대]]는 방관하였다. 여러 차례의 학살극이 벌어지며 [[그리스 왕국]]도 이에 대해 규탄하며 [[그리스인]]의 신변 보장을 명분으로 개입하고자 하였으나 국제 통제 위원회가 이에 개입해 [[그리스 왕국]]의 개입을 막아섰다. 결국 [[1916년]], [[지로카스터르]]가 함략되며 [[북이피로스 독립 전쟁]]은 진압된다. <div id=" 5 " class=" paragraph paragraph-1 ">'''<span class=" paragraph-N ">5</span>{{여백|0.5em}}세계 대전과 해산'''</div>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며 국제 통제 위원회를 구성하는 열강은 모두 전쟁에 휩싸였다. 때문에 [[발칸 반도]]의 변방 [[알바니아]]에 대한 관심도는 하락했고, [[알바니아 농민 반란]]과 [[북이피로스 독립 전쟁]] 등에 적극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는 처지에 이르렀다. [[1915년]] 겨울, [[세르비아의 대퇴각]]이 [[알바니아]]의 영토를 불법적으로 가로지르는 것을 [[영국]]과 [[프랑스]], [[러시아]], [[이탈리아]]가 방관하자 [[독일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대표는 이에 대해 규탄한다. 이에 대해 [[협상국]] 측은 대표의 집단적인 철수로 대응했고, [[프랑스]] 대표를 시작으로 6개국 중 4개국이 철수한다. [[독일 제국]] 또한 전쟁에 집중해야 한다는 명분으로 철수했고, [[1916년]] [[2월 11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대표마저 철수하면서 국제 통제 위원회는 해체되었다. 국제 통제 위원회가 해체되면서 국제 통제 위원회의 하위 기구이던 [[국제 헌병대]]는 알바니아 공작이 통솔권을 가졌다. <div id=" 6 " class=" paragraph paragraph-1 ">'''<span class=" paragraph-N ">6</span>{{여백|0.5em}}같이 보기'''</div> * [[국제 헌병대]] * [[북이피로스 독립 전쟁]] {{알바니아의 역대 각료협의회}} [[분류:무엇보다도]] [[분류:알바니아의 역사]] [[분류:알바니아의 정치]]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Color (원본 보기) 틀:· (원본 보기) 틀:무엇보다도 (원본 보기) 틀:무엇보다도/styles.css (원본 보기) 틀:알바니아의 역대 각료협의회 (원본 보기) 틀:여백 (원본 보기) 국제 통제 위원회 (알바니아)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