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관리자.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namucat|Project Utopia|화북선|대현월국의 철도역}}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390px; width: 100%; float: right; border: 2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font-size: 11pt; color: #000" ! colspan="3" style="height:70px; background: #fff; color: #000; text-align: center; line-height: 150%" | '''{{글씨 크기|15|문행역}}'''<br>'''Munhaeng Station''' | '''門杏驛'''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주소 |- | colspan="4"|[[화정북도]] [[화주시]] 유수1길 13-10</br>(문행동 170)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관리역 등급 |- |colspan="4"|보통역 / 3급</br>([[화주역]] 관리/[[현월철도공사|현월철도공사 화북본부]])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운영기관 |- |[[화북선]] | colspan="3"|[[현월철도공사]]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개업일 |- |[[화북선]] | colspan="3"|[[2022년]] [[12월 12일]]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승강장 구조 |- |colspan="3"| 2면 '''9선''' 쌍섬식 승강장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철도거리표 |- | style="width: 33% | <small>[[호태원역|호태원]] 방면</small></br>[[화주역|화 주]]</br>← 5.4km | style="width: 34% | '''[[화북선]]'''</br>문 행 | style="width: 33% | <small>[[부양역|부양]] 방면</small></br>[[동령역|동 령]]</br>4.6km → |- |} ==개요== [[화북선]]의 철도역. [[화정북도]] [[화주시]] 유수1길 13-10 (문행동 13-10) 소재. ==역 정보== [[2022년]] [[12월 12일]] [[화북선]] [[부양역|부양]]연장과 동시에 보통역으로 개업하였다. 일대에 문행공단이 위치하고 있어 출퇴근 이용객들이 많았으며, 때문에 정차하던 여객열차도 상당히 많았다. 그러나 도로교통이 발달하면서 철도의 영향력은 점차 축소되었고 그에 따른 여파로 문행역의 이용객 역시 점점 줄게된다. 결국엔 [[2024년]] [[7월 1일]] 여객 취급이 중지되고 말았다. 다만 화물취급을 위해 역무원은 계속 상주한다. ==역 주변 정보== 문행역 일대엔 공장들이 자리하고 있는데, 이 공장들은 [[화주]] 지역 경제의 기반이 되는 문행공단이다. ==기타== ==둘러보기== {{틀:화북선의 철도역}}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Color-link (원본 보기) 틀:Colorlink (원본 보기) 틀:Namucat (원본 보기) 틀:Namucat/css (원본 보기) 틀:Namucat/styles.css (원본 보기) 틀:Navbarcolor (원본 보기) 틀:Title (원본 보기)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내비게이션 바 색상 (원본 보기) 틀:화북선의 철도역 (원본 보기) 문행역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