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관리자.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대한민국 (2018 세계관)]][[분류:정치인 (2018 세계관)]][[분류:2018 (갈라진 세계: 개입의 종말과 신질서)]] {| class="wikitable" style="color:#111111; background:#ffffff; max-width:10000px; border:2px solid #888888;" |- | colspan="2" style="width:10000px; color: #ffffff; background: #444444; text-align: center; font-size: 150%;" | '''유승민 (Yoo Seung-min)'''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ffff;" | [[파일:유승민 프로필.jpg|450px]] |- | colspan="2" style="background:#f0f0f0; text-align:center;" | '''기본 정보''' |- | 출생 || 1958년 1월 7일, 대구광역시 |- | 소속 || 무소속 (비상정부 체제) |- | 직위 || 대한민국 비상정부 대통령 권한대행 (2017~) |- | 배경 || 전직 국회의원, 개혁 보수파 정치인, 대한민국 제 8대 총리 (2013~2017) |- | 국적 || [[대한민국 (2018)]] |- | 학력 || 서울대학교 경제학 학사, 위스콘신 대학교 경제학 박사 |} == 개요 == '''유승민'''(Yoo Seung-min)은 대한민국의 전직 국회의원이자 개혁 보수계 인사로, 2018 세계관에서는 군부 독재 체제가 수립된 이후 [[전두환]]국가 수반의 2인자로 불렸다가 사망 이후 권한 대행체재로써 대통령을 맡게된 인물 == 생애 == 대구에서 태어나 서울대와 미국 위스콘신대에서 경제학을 전공한 그는 2000년대 중반부터 보수 정당 소속 국회의원으로 활동했으며, 개혁적 보수주의 노선을 주장해왔다. 2004년 헌법 중단 이후 정치활동이 금지되었고, 2011년 이후 외교 명분을 이용해 해외로 탈출한 뒤 복귀 하였다. == 비상정부 체제 == 2013년 한국으로 복귀 이후 민주 헌정 회복을 위한 대변인을 자처했다. 내부 합의에 따라 그는 대통령 권한대행에 임명되었으며, 유엔 및 NGO를 상대로 독재체제 불인정 및 한국 국민 보호를 호소해왔다. 하지만 유능하여 총리로 임명 된 후 [[전두환]]의 사망이후 대통령으로 자동 임명되었다. == 활동 == 2017~2018년 사이 그는 제한적 언론 매체를 통해 취임하였고, 국제회의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에 대한 가능성을 연설하여 많은 국가를 다시 주목받게 하였다. 다만 외교적 고립과 자금 부족으로 실질적 영향력은 크지 않으며, 국내에는 거의 전파되지 못한 상태다. == 평가 == 국내에서는 독재 정권의 검열로 인해 이름조차 거론되지 못하지만, 해외 인권 단체와 민주화 지지 단체 사이에서는 '한국 민주주의의 마지막 불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후 체제 전환의 정치적 상징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유승민 (2018)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