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관리자.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 분류}} {{틀:광성군의 해체된 부대}} [[분류:광성공화국]] {{엔조 군대 정보 | 틀너비 = 400px | 외곽선색 = #13264E | 선색 = #13264E | 색 = #13264E | 글색 = #fff | 명칭 = 주월광성군사령부 | 원어명칭 = 駐越光城軍司令部<br />Headquarters of Republic of Gwangsung Forces in Vietnam | 군기 = [[파일:주월광성군사령부.png|900px]] | 창립일 = 1964년 1월 9일 | 활동기간 = 1964.1.9 ~ 1973.3.10 | 국적 = [[광성연방공화국]] | 편제 = | 소속 = [[광성 연방군]] | 병과 = | 종류 = [[사령부]] | 역할 = 주월광성군 총지휘 | 규모 = [[군단급]] <!-- --> | 충원방식 = 징집, 자원 | 징집연령 = | 상비군 = | 예비군 = | 표어 = 자유를 위해 피흘려 싸우자 | 군가 = [[주월광성군의 노래]] | 지휘체계선색 = | 지휘체계색 = | 지휘체계글색 = | 지휘체계아이디 = | 본부 = | 명령체계 = | 통수권자명칭 = | 통수권자 = | 정부각료명칭 = | 정부각료 = | 참모총장명칭 = | 참모총장 = | 군비선색 = | 군비색 = | 군비글색 = | 군비아이디 = | 예산 = | GDP_대비 = | 정부재정_대비 = | 방위산업선색 = | 방위산업색 = | 방위산업글색 = | 방위산업아이디 = | 국내공급 = | 해외공급 = | 참전아이디 = | 참전 = '''[[베트남 전쟁]]''' }} ==개요== [[베트남 전쟁]] 전투부대 파병과 주월광성군 총 지휘를 목적으로 설립된 사령부 이다. [[베트남 전쟁]] 당시인 1964년에 설립하여 [[파리 협정]]이 체결된 1973년 까지 활동하였다. '''현재는 해체된 가장 유명한 부대이자 유일한 사령부이다.''' ==주요 지휘관== 초대 주월 광성군 사령관, '''[[조형]]'''(전 광성민국 대통령 권한대행)이 있다. 참고로 그의 아들 [[조령]] 전 광성공화국 공군참모총장도 공군 소속 전투조종사로 참전 하였다. 2대 주월 광성군 사령관은 [[토마스 비스폴스키]] 광성군 총사령관이 위임 받아 철수 직전 까지 주월 광성군 사령관직을 겸직 하였다. ==파병 배경== 1980년대 이전 연구들 대부분은 미국의 요청과 압력을 가해 광성이 응했다고 파악했다. 하지만 이후 미국 국무부 문서 및 광성 외교 문서가 연구되고 성과가 축적되면서 미국 요청 이전부터 광성이 먼저 파병을 제안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근래에는 광성이 일정 수준 이상 능동적으로 파병을 추진했음이 강조되고 있다. 그리고 일부 육,해,공 장성들이 월남 파병을 강력히 주장했다는 기록 또한 남아있다. 월남 파병 주도 인물이 바로 <u>[[조형]]</u> 당시 공군 소장이다. ==인명피해== 중복으로 파병된 병력을 포함해 1964년 1월에서 1973년 3월 철수 까지 약 9년에 걸쳐 비전투 병력까지 포함하여 광성군이 투입한 병력은 총 '''657,215명'''이다. 이중에서 육군이 630,531명이다. 전쟁 기간 동안 약 8만 명(육군이 7만 명 가량) 정도의 군대 규모를 유지했다. 베트남 전쟁에서 광성군 전사자 및 사망자는 공식전사에 따르면 25,699명이다. 이 중 일부가 실제로는 포로인데 전사자로 처리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이중 전사자가 25,163명이며 사망자 외에 5만여 명이 부상을 당했다. 이는 '''광성 전쟁사(내전 제외)<ref>한국전쟁 1</ref> 중 가장 많은 수치이다.''' 1964년부터 1969년 까지 전사자가 약 4,000명 이었던 것에 반해, 1969년 이후부터 1973년까지 전사자가 2만명으로 폭등하였다. ===다량 사상자 발생 이유=== 광성군은 그동안 게릴라를 상대한 경험이 '''전무하다시피''' 했고 무엇보다 <s>사령관이 공군 출신이기 때문이란 설도 있다.</s> 그리고 선임자인 '''한국군의 조언'''을 귀 담아 듣지 않았으며 일부 병사들의 군기문란이 부대 전체로 퍼지는 경우가 허다했고 기지 건설도 베트남의 지형 특성을 간파하지 못해 베트콩에게 취약점이 노출 되어 기지가 '''자주 파괴되거나 점령 당하였다.''' 조형 사령관이 이를 바로잡고자 했을 때는 이미 다량의 사상자가 발생한 뒤라 늦었다고.. 결론적으로 광성군이 큰 피해를 입은 이유는 선임자 조언 무시와, 현장 지휘관의 무능, '''베트남 전쟁의 특수성을 전혀 간파하지 못한 탓이다.''' ==파병 부대== 육군은 C군단 제 5보병사단·제 706특공연대, G군단 제 7기갑척탄병사단, 수방사 직할 수도방위기갑사단, 제 2포병여단이 파병되었다. 이중 '''가장 규모가 큰 부대는 수도방위기갑사단이며, 가장 큰 전공을 올린 부대또한 제 7기갑척탄병사단이다.''' 공군은 공중전투사령부 소속 제 8전투비행단이 파병되어 미군과 연합작전 및 아군과의 공지작전을 수행하였다. 또한 공군지원단이 편성되어 대민지원을 수행하여 '''광성군 이미지 개선에 큰 공을 세웠다'''. ==주요 전투 기록== '''·''' [[디엔칸 전투]](1965년 4월 7일) '''·''' [[꼰똠 전투]](1965년 12월 1일) '''·''' [[쁠래이 전투]](1966년 8월 10일) '''·''' [[모라이 방어 작전]](1967년 7월 9일) '''·''' '''[[구정공세 반격 작전]]'''(1968년 1월 ~ 9월) '''·''' '''[[사이공 방어 전투]]'''(1968년 1월 30일) '''·''' [[부온마두웃 전투]](1969년 10월 7일) '''·''' [[태풍 작전]](1970년 2월 17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C (원본 보기) 틀:Color (원본 보기) 틀:Large (원본 보기) 틀:Resize (원본 보기) 틀:Rotate (원본 보기) 틀:광성군의 해체된 부대 (원본 보기) 틀:나무위키 분류 (원본 보기) 틀:알림창 (원본 보기) 틀:엔조 군대 정보 (원본 보기) 주월광성군사령부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