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역대 레고민국 대통령}} | {{역대 레고민국 대통령}}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fff; color:#000000; border:2px solid #005aa7; max-width:450px; float:right;"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fff; color:#000000; border:2px solid #005aa7; max-width:450px; float:right;" | ||
! colspan="2" style="width:40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531a2, #2531a2 20%, #2531a2 80%, #2531a2); color:#fff;" | '''레고나라 초대 대통령''' | |||
|- | |- | ||
! colspan="2" style="width:45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 | ! colspan="2" style="width:45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b5197, #0d5eaf 20%, #0d5eaf 80%, #0b5197); color:#FFF;" | '''레고민국 초대 대통령<br><big>김바트</big><br>金巴特 <nowiki>|</nowiki> Kim Bart''' | ||
|- | |- | ||
| colspan="2"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김바트.jpeg| | | colspan="2"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김바트.jpeg|450px]]</div> | ||
|- | |- | ||
! rowspan="2" width= | ! rowspan="2" width=30% style="background:#0d5eaf; color:#FFF;" | 출생 | ||
| 2017년 5월 13일 ( | | [[2017년]] [[5월 13일]] (7세) | ||
|- | |- | ||
| 미상 | | 미상 | ||
|- | |- | ||
! style="background:#0d5eaf; color:#FFF;" | 거주지 | ! style="background:#0d5eaf; color:#FFF;" | 거주지 | ||
| 레고민국 레고특별시 | | [[레고민국]] [[레고특별시]] | ||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0d5eaf; color:#FFF" | | ! rowspan="2" style="background:#0d5eaf; color:#FFF" | 재임기간 | ||
| style="background:#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 | 레고민국 제1대 대통령 | ||
|- | |- | ||
| 2021년 3월 2일 ~ 2021년 3월 18일<ref>16일 동안이나 레고민국 대통령으로 재임했다. 쿠테타로 인해 재임기간을 다 채우지 못했다. 당시 법으로는 3월 31일까지 할 수 있었다. 만약 쿠테타가 실패했거나 발생하지 않았다면 13일이나 더 집권 할 수 있었다. 총 29일동안 집권 할 수 있었을 것이다.</ref> | | [[2021년]] [[3월 2일]] ~ [[2021년]] [[3월 18일]]<ref>16일 동안이나 레고민국 대통령으로 재임했다. 쿠테타로 인해 재임기간을 다 채우지 못했다. 당시 법으로는 3월 31일까지 할 수 있었다. 만약 쿠테타가 실패했거나 발생하지 않았다면 13일이나 더 집권 할 수 있었다. 총 29일동안 집권 할 수 있었을 것이다.</ref> | ||
|- | |- | ||
! style="background:#0d5eaf; color:#FFF;" | 서명 | ! style="background:#0d5eaf; color:#FFF;" | 서명 | ||
32번째 줄: | 33번째 줄: | ||
| 건국왕(建國王) | | 건국왕(建國王) | ||
|- | |- | ||
! width= | ! width=30% style="background:#0d5eaf; color:#FFF;" | 종교 | ||
| 가톨릭 | | 가톨릭 <small>(세례명: {{color|#337AB7|요셉}})</small> | ||
|- | |- | ||
! style="background:#0d5eaf; color:#FFF;" | 정당 | ! style="background:#0d5eaf; color:#FFF;" | 정당 | ||
40번째 줄: | 41번째 줄: | ||
|}</div></div> | |}</div></div> | ||
|} | |} | ||
{{목차}} | {{목차}} | ||
==개요== | ==개요== | ||
레고민국 제 1대 대통령이다. | [[레고민국]]의 제 1대 대통령이다. | ||
==생애== | ==생애== | ||
55번째 줄: | 55번째 줄: | ||
===부정적 평가=== | ===부정적 평가=== | ||
나라가 세워진지 얼마 안되어서 안정적이지 못했는데 그래서인지 보수주의적인 모습을 보이며 나라를 운영했다. 이것 자체가 부정적이라고 할 수는 없겠다만 애국보수를 생각하게 만들정도로, 대통령 초상화를 무조건적으로 그려야 되어 불만을 품은 자들이 생겨났다.<ref>이걸 구실로 삼아서 [[박해실]]의 쿠테타가 일어났다. 속된 말로는 어거지라고 생각할수도 있는데 여하튼 그렇다.</ref> | 나라가 세워진지 얼마 안되어서 안정적이지 못했는데 그래서인지 보수주의적인 모습을 보이며 나라를 운영했다. 이것 자체가 부정적이라고 할 수는 없겠다만 애국보수를 생각하게 만들정도로, 대통령 초상화를 무조건적으로 그려야 되어 불만을 품은 자들이 생겨났다.<ref>이걸 구실로 삼아서 [[박해실]]의 쿠테타가 일어났다. 속된 말로는 어거지라고 생각할수도 있는데 여하튼 그렇다.</ref> | ||
==각종 타이틀== | |||
* 최초로 임기를 끝내 마치지 못했던 대통령 | |||
* 최초로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지 않은 대통령 | |||
* 최초의 김씨 대통령 | |||
* 최초의 무소속 출신 대통령 | |||
* 최초의 대통령 | |||
* 최초의 남성 대통령 | |||
* 최초이자 유일하게 초상화가 있는 대통령 | |||
==여담== | ==여담== | ||
김바트는 대통령 선거에 나간 적이 없다. 1대 대통령 선거는 투표하는 방식이 아니라 다소 독특한 방식으로 선출 하였기 때문이다. | 김바트는 대통령 선거에 나간 적이 없다. 1대 대통령 선거는 투표하는 방식이 아니라 다소 독특한 방식으로 선출 하였기 때문이다. | ||
김바트는 아이러니하게도 자기가 | 대통령이 당선되면 그 당선된 대통령이 국명을 바꾸는 문화가 규칙 비스무리한 것이 있었다.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의미하는 뜻에서 국명을 바꾸는 풍습(?)이 생겼다. 김바트가 재임하던 시절의 국명은 '''레고나라'''였다. | ||
김바트는 아이러니하게도 자기가 2인자<ref>당시 부통령이라는 개념이 없었고 그 대신에 2인자라는 개념이 존재하여 제 2대 대통령 박해실이 당시 2인자 였다.</ref>로 만들어준 [[박해실]]의 의해서 대통령직에서 쫓겨났다. | |||
한자 이름으로 그대로 읽으면 '''김파특'''이라는 이름이 된다. 아마도 발음으로 비슷한 한자를 찾던 와중 그나마 비슷한 '''巴(바랄 파)'''와 '''特(특별할 특)'''이 선택된게 아닌가싶다. | 한자 이름으로 그대로 읽으면 '''김파특'''이라는 이름이 된다. 아마도 발음으로 비슷한 한자를 찾던 와중 그나마 비슷한 '''巴(바랄 파)'''와 '''特(특별할 특)'''이 선택된게 아닌가싶다. | ||
==각주== | ==각주== | ||
[[분류:레고민국]] [[분류:레고민국 대통령]] [[분류:2017년 출생]] [[분류:레고민국의 가톨릭 신자]] [[분류:레고민국의 남성 정치인]] | [[분류:레고민국]] [[분류:레고민국 인물]] [[분류:레고민국 대통령]] [[분류:2017년 출생]] [[분류:레고민국의 가톨릭 신자]] [[분류:레고민국의 남성 정치인]] |
2024년 7월 21일 (일) 16:54 기준 최신판
![]() 레고민국 대통령 | |||||||||||||||||||||||||||||||||||||||||||||||||||||||||||||||||||||
[ 펼치기 · 접기 ]
|
레고나라 초대 대통령 | |||||||
---|---|---|---|---|---|---|---|
레고민국 초대 대통령 김바트 金巴特 | Kim Bart | |||||||
출생 | 2017년 5월 13일 (7세) | ||||||
미상 | |||||||
거주지 | 레고민국 레고특별시 | ||||||
재임기간 | 레고민국 제1대 대통령 | ||||||
2021년 3월 2일 ~ 2021년 3월 18일[1] | |||||||
서명 | ![]()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레고민국의 제 1대 대통령이다.
생애
평가
긍적적 평가
레고민국의 행정 기반을 닦았으며 레고민국 정부청사를 짓는 등 정말 건국의 아버지라고 할 정도로 많은 사회적인 기반을 다져놓았다. 현대사가들은 그가 현명한 판단을 한 명군의 면모를 보였다며 긍정적인 평가를 한다.
부정적 평가
나라가 세워진지 얼마 안되어서 안정적이지 못했는데 그래서인지 보수주의적인 모습을 보이며 나라를 운영했다. 이것 자체가 부정적이라고 할 수는 없겠다만 애국보수를 생각하게 만들정도로, 대통령 초상화를 무조건적으로 그려야 되어 불만을 품은 자들이 생겨났다.[2]
각종 타이틀
- 최초로 임기를 끝내 마치지 못했던 대통령
- 최초로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지 않은 대통령
- 최초의 김씨 대통령
- 최초의 무소속 출신 대통령
- 최초의 대통령
- 최초의 남성 대통령
- 최초이자 유일하게 초상화가 있는 대통령
여담
김바트는 대통령 선거에 나간 적이 없다. 1대 대통령 선거는 투표하는 방식이 아니라 다소 독특한 방식으로 선출 하였기 때문이다.
대통령이 당선되면 그 당선된 대통령이 국명을 바꾸는 문화가 규칙 비스무리한 것이 있었다.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의미하는 뜻에서 국명을 바꾸는 풍습(?)이 생겼다. 김바트가 재임하던 시절의 국명은 레고나라였다.
김바트는 아이러니하게도 자기가 2인자[3]로 만들어준 박해실의 의해서 대통령직에서 쫓겨났다.
한자 이름으로 그대로 읽으면 김파특이라는 이름이 된다. 아마도 발음으로 비슷한 한자를 찾던 와중 그나마 비슷한 巴(바랄 파)와 特(특별할 특)이 선택된게 아닌가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