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사민당 (아침해의 원유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문서를 비움)
태그: 비우기
 
1번째 줄: 1번째 줄:
{{아침해의 원유관 벽지}}
{{아침해의 원유관}}
{{대한국 관련 문서}}
</div>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430px; border:2px solid #315090; float:right; font-size:1.05em
! colspan="2" style="width:430px; background:#FFF; height:130px" | [[파일:사민당_신_로고.png|300px]]
|-
! colspan="2" style="background:#240f6f; color:#FFF" | 대한사회민주당|大韓社會民主黨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약칭
| '''사민당'''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슬로건
| '''국민이 선택한, 국민을 위하는 사민당'''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width:30%" | 창당일
| 1956년 8월 5일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width:30%" | 통합한 당
| 입헌민주당, 한국사회당, 자유당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연립여당
| '''국민당'''
|-
! rowspan="2"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주소
| <div style="margin: -5.0px -9.0px>{{#multimaps: 37.5687281,126.9719221 | zoom = 15 | height = 150px}}</div>
|-
| [[대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국]] [[한성 (아침해의 원유관)|한성부]] 종로구 새안문로 2길<br>대한사민당 당사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이념
| '''내부 계파'''<br>• 자유보수주의<br>• 온건 보수주의 <br>• 중도보수주의<br>• 신보수주의<br>• 사회민주주의<br>• 입헌자유주의<br>'''역사적 계파'''<br>• 중도자유주의<br>• 협동조합주의<br>• 사회자유주의<br>• 자유주의<br>• 사회민주주의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정치적 스펙트럼
| '''중도 빅 텐트'''<br>중도 좌파 ~ 중도 우파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대표
| [[안철수 (아침해의 원유관)|안철수]]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부대표
| 유승민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간사장
| 조정식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정책위원회총장
| 장동혁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내각총리대신
| [[안철수 (아침해의 원유관)|안철수]] <small>제 46대(2021년 4월 5일)</small>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div style="margin: 0 -10px">중추원</div>
|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40f6f 48.6%, #aaa 48.6%); color:#FFF" | '''112석 / 230석(48.6%)'''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div style="margin: 0 -10px">민의원</div>
|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40f6f 57.3%, #aaa 57.3%); color:#FFF" | '''274석 / 480석(57.3%)'''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div style="margin: 0 -10px">광역단체장</div>
|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40f6f 42.1%, #aaa 42.1%); color:#FFF" | '''1364석 / 3247석  (42.1%)'''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div style="margin: 0 -10px">기초단체장</div>
|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40f6f 35.4%, #aaa 35.4%); color:#FFF" | '''892석 / 2547석  (35.4%)'''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div style="margin: 0 -10px">광역의회</div>
|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40f6f 8.7%, #aaa 8.7%); color:#FFF" | '''480석 / 5327석(8.7%)'''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div style="margin: 0 -10px">기초의회</div>
|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40f6f 6.4%, #aaa 6.4%); color:#FFF" | '''503석 / 7852석(6.4%)'''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정당원 수
| 1,115,923명(2024년 기준)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당가
| 동서풍이 분다([https://www.youtube.com/watch?v=G5o7caWR5yQ 듣기])
|-
! style="background:#F5F5F5; color:#240f6f" | 링크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png|24px|링크=https://www.assembly.go.kr/portal/main/main.do/대한사민당]]
|}
{{목차}}
</div>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개요 =


[[대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국]]의 '''집권정당'''으로, 1955년 한국사회당과 입헌민주당의 연립에서 출발하여, 1956년의 합당 이후 탄생한 초거대 정당이다. 장장 '''70년'''동안 한국에서 집권 정당으로서 군림해오고 있다.
약칭은 '''사민당'''으로, 집권 이래 좌우를 막론하고 지배적인 위치를 가지고 있는 정당이라 할 수 있겠다. 현 당수(총재)는 안철수다. 또한, 국제민주연합에 소속된 정당이기도 하다.
워낙 오랜 기간을 집권하고 유구한 역사를 가진 정당이다보니 현대 한국 정치에서 최중요 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정당의 역사를 알아보다 보면 한국 의회정치의 역사, 좌우익 세력의 활동 알기와 자연스럽게 이어지기에, 사민당에 대해서만 알아도 한국 정치의 기본은 알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독일의 사민당처럼 좌우익의 합작 정당이다보니 사상 스펙트럼도 꽤 다양한 편이라 사실상 해당 당에서 어떤 성향의 총리가 나오느냐가 한국 정치의 주 관건이라고 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어찌 보면 합작을 끝내고 독자노선을 가지 않는 것이 이상할수도 있으나, 애초에 이승만 총리의 검계 연류와 정치깡패 논란 이래 한국 정치에서 순수한 우익만 살아남기는 힘들어지면서 자연스레 거대 정당으로서의 권리를 지키려는 국회의원들의 심리가 합쳐지면서 현재까지 큰 문제 없이 통합되어 하나의 당으로 유지되는 중이다.
</div>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성립 =
== 자유당 체제의 붕괴와 입헌민주당으로서의 출범 ==
초기 대한국의 정계에서 미 통감청 기간동안 절대적인 우위를 점하던 정당은 친미성향을 강하게 내비치던 우남 이승만의 자유당이었다.
== 사회당과의 합작시도 ==
== 합작성공, 그리고 합당 ==
== 장기집권의 길 ==
</div>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성향 =
사회민주당이라는 간판을 단 정당 치고는 내부 스펙트럼이 굉장히 다양하기로 세계에도 유명한 정당이다. 신자유주의 수준의 내부적 극렬 우익 정당을 지지하는 정당원은 드문 편이나 국내 문제에 대한 중도~온건 성향의 우익들이 꽤 많이 가입해있으며, 그 외에는 오랜 시간동안 사민당의 중재자 세력으로서 존재해온 중도층, 사민당 창당 초기 진보주의 성향을 활발히 드러내던 온건층이 내부 파벌로서 존재한다
대외 정책에 대한 견해는 강경론부터 온건론까지 다양한 편이다. 통상적으로 온건파가 우위에 있던 노무현 내각 시기까지는 대외온건론이 주를 이루었지만, 경제 침체, 김종인 내각의 집권을 기점으로 시작된 우경화 이후에는 이인제 독트린을 시점으로 대외강경론이 대두되면서 기본적으로 친미, 친소, 반중공이라고 할 수 있는 행보를 보여주는 중이다.
</div>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파벌 =
</div>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타 정당과의 관계 =
</div>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평가 =
현재 한국에서 가장 장기집권하고 있는 거대 정당인만큼 많은 말들이 오가고 있으며, 긍정적인 평가의 경우 빅 텐트 정당이라는 구조적인 특성 탓에 당파싸움을 방지하고 한 당에서 다양한 성향의 인물을 배출한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부정적인 평가의 경우 당 내에서의 파벌다툼이 정당다툼의 그것을 압도할 정도로 심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워낙 장기집권헸다보니 초기의 중도주의 내지 진보주의 성향이 무색하게 한국 정치계의 보수화를 낳았다는 비판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점을 들어서 한국 내에서 사민당에 회의적인 이들은 사민당을 가리켜 '''대한세도당''','''세도정당'''이라 부르는 경우도 존재한다.
</div>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여담 =
</div>
----
[[분류:아침해의 원유관]]

2024년 8월 3일 (토) 16:29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