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월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 rowspan="2" colspan="1" style="width: 60px; background: #39c5bb; color: #FFF" | 도청 소재지
! rowspan="2" colspan="1" style="width: 60px; background: #39c5bb; color: #FFF" | 도청 소재지
! colspan="1" style="width: 60px; background: #39c5bb; color: #FFF" | 본청
! colspan="1" style="width: 60px; background: #39c5bb; color: #FFF" | 본청
| colspan="2" | [[화원시]] [[태영구]] 도청로 30 ([[이양동]])
| colspan="2" | [[태원시]] [[태영구]] 도청로 30 ([[이양동]])
|-
|-
! colspan="1" style="width: 60px; background: #39c5bb; color: #FFF" | 북부
! colspan="1" style="width: 60px; background: #39c5bb; color: #FFF" | 북부
27번째 줄: 27번째 줄:
|-
|-
! colspan="2"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인구밀도
! colspan="2"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인구밀도
| colspan="2" | -
| colspan="2" | 1,541.88명/km²
|-
|-
! colspan="2"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도지사
! colspan="2"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도지사
| colspan="1" | '''{{정당 둥근상자2|{{colorlink|힘찬미래당|#fff}}|#fff|#217DFF}}'''
| colspan="1" | '''{{정당 둥근상자2|{{colorlink|민주애국당|#fff}}|#fff|#F02A3E}}'''
| colspan="1" | 장도영
| colspan="1" | 장도영
|-
|-
! rowspan="3" colspan="1"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부지사
! rowspan="3" colspan="1"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부지사
! colspan="1"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행정1
! colspan="1"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행정1
|rowspan="3" | 무소속
|rowspan="3" | '''{{정당 둥근상자2|무소속|#fff|#808080}}'''
||오승훈
||오승훈
|-
|-
43번째 줄: 43번째 줄:
! colspan="1"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경제
! colspan="1"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경제
||염동한
||염동한
|-
!rowspan="3" colspan="2"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도의회
| colspan="1" | '''{{정당 둥근상자2|{{colorlink|민주애국당|#fff}}|#fff|#F02A3E}}'''
| colspan="1" | 77석
|-
| colspan="1" | '''{{정당 둥근상자2|{{colorlink|힘찬미래당|#fff}}|#fff|#217DFF}}'''
| colspan="1" | 76석
|-
| colspan="1" | '''{{정당 둥근상자2|{{colorlink|국민자유당|#fff}}|#fff|#FFEF78}}'''
| colspan="1" | 2석
|-
!rowspan="3" colspan="2"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국회의원
| colspan="1" | '''{{정당 둥근상자2|{{colorlink|민주애국당|#fff}}|#fff|#F02A3E}}'''
| colspan="1" | 53석
|-
| colspan="1" | '''{{정당 둥근상자2|{{colorlink|힘찬미래당|#fff}}|#fff|#217DFF}}'''
| colspan="1" | 6석
|-
| colspan="1" | '''{{정당 둥근상자2|{{colorlink|국민자유당|#fff}}|#fff|#FFEF78}}'''
| colspan="1" | 1석
|-
!rowspan="2" colspan="2"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도의회
| colspan="1" | '''{{정당 둥근상자2|{{colorlink|민주애국당|#fff}}|#fff|#F02A3E}}'''
| colspan="1" | 22석
|-
| colspan="1" | '''{{정당 둥근상자2|{{colorlink|힘찬미래당|#fff}}|#fff|#217DFF}}'''
| colspan="1" | 9석
|-
|-
! rowspan="4" colspan="1"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상징
! rowspan="4" colspan="1"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상징
57번째 줄: 84번째 줄:
| colspan="2" | {{정당 둥근상자2|#39c5bb|#fff|#39c5bb}}
| colspan="2" | {{정당 둥근상자2|#39c5bb|#fff|#39c5bb}}
|-
|-
! colspan="2"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슬로건
! colspan="2"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지역번호
| colspan="2" |  
| colspan="2" | '''031'''
|-
|-
! colspan="2"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도정 슬로건
! colspan="2" style="background: #39c5bb; color: #FFF" | ISO 3166-2
| colspan="2" |  
| colspan="2" | '''HW-41'''
|-
|-
|}
|}


== 개요 ==
==개요==
'''해월도'''(海月道)는 [[대현월국]]의 북서부에 있는 [[대현월국의 도|도]]이다. [[수도권 (대현월국)|수도권]][[한월특별시]]와 [[청하광역시]], [[정촌광역시]]를 둘러싸고 있고, 동쪽으로는 [[천화북도]][[천화남도]], 서쪽으로 [[서해 (대현월국)|서해]]와 [[유메시마]], 남쪽으로는 [[북평남도]] [[북평북도]]와 접하고, 북쪽으로는 [[해평도 (대현월국)|해평도]]과 경계를 이룬다. [[대현월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광역지방자치단체 (대현월국)|광역지방자치단체]], 해월도의 [[대현월국의 도청 소재지|도청 소재지]][[월평시]]이고, [[도명시]]에 청월도청 북부청사가 설치되어 있다.
{{인용문1|'''대현월국의 미래를 선도하는 해월'''}}
[[대현월국]]의 도. [[대현월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이자 광역자치단체이다. 지리적으로 [[한월특별시]]와 [[월하광역시]]를 접하고 있으며, 이들과 함께 대현월국의 수도권을 이루고 있다. 동쪽으로 [[청월도]], 서쪽으로 [[청서양]], 남쪽으로 [[화정남도]]와 [[화정북도]], 북쪽으로 [[강월광역시]]와 [[천화북도]]를 마주하고 있다.
 
==상징==
==도청==
==해월도지사==
==역사==
==인구==
==지리==
===기후===
===권역 구분===
==정치==
==경제==
===산업===
==교통==
===철도===
일반철도로는 [[한하선]], [[영남선]], [[한화선]], [[한산선]], [[북월선]], [[한철선]], [[한월교외선|교외선]] 등이 있다.
 
[[남양성시]]와 [[영평군]]에서는 [[북월선]]열차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가장 큰 역은 [[영평군]] 소재의 [[영평역]]으로, 안천으로 가는 [[새마을호 (대현월국)|새마을호]]와 모든 [[무궁화호 (대현월국)|무궁화호]]가 정차한다. 이 외의 남양성시와 영평군에 소재한 북월선의 철도역은 [[서교신호장]]을 제외한 모든 역에서 [[무궁화호 (대현월국)|무궁화호]]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남양성시]]는 [[한철선]]의 연선지역이기도 하며, [[태가원역]]과 [[서릉역]], [[간곡역]], [[팔내역]]에서 해당 노선의 [[무궁화호 (대현월국)|무궁화호]]를 이용할 수 있다.


== 역사 ==
해월도 남쪽 지역인 [[금양시]], [[태원시]], [[도산시]], [[장택시]], [[수성시]]에서는 창산, 영포, 금성, 덕전 등지로 가는 무궁화호와 새마을호를 이용할 수 있으며, [[태원역]]에는 모든 무궁화호와 새마을호가 정차한다. [[장택역]] 역시 무궁화호는 전 열차가 필수로 정차하나, 새마을호는 상당수가 통과하며 [[도산역]], [[동정리역]], [[금양역]]에서도 무궁화호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 역들은 상대적으로 정차 횟수가 적은 편이다. [[광현시]]에서는 광현역을 통해 영남고속선, 평남고속선 ESTOM을 이용할 수 있다.
*[[2022년]] 11월 12일 : 전국 26개 [[광역지방자치단체 (대현월국)|광역지방자치단체]] 설치와 함께 신설
*[[2022년]] 11월 21일 : 도청을 [[월평시]]에 설치


== 정치 ==
===도로===
===대중교통===
===택시===
===항공===
현재 해월도 내에 민항기가 운항하는 공항은 없다. [[건포국제공항]], [[월하국제공항]]을 주로 이용하고, 남부지역에선 가끔 [[정주국제공항]]도 이용한다.


== 행정구역 ==
*[[한월공항|상남공항 (한월공항)]]
{{해월도 (대현월국) 행정구역}}
*[[일천비행장]]
*[[태원비행장]]


== 인구 ==
==치안==
==상권==
==군사==
==주변 지역과의 관계==
===[[한월특별시]]===
===[[월하광역시]]===
월하광역시 또한 해월도와 서로 공생하는 관계이다.


== 문화 ==
===[[강월광역시]]===
===[[천화북도]]===
===[[청월도]]===
===[[화정남도]]===
===[[화정북도]]===


== 교통 ==
==문화==
=== 도로 ===
===교육===
=== 철도 ===
===언어===
=== 항공 ===
===특산물===
===관광===
===언론사===
*해월신문
*해월일보
*한하일보


== 경제 ==
===스포츠===
==해월도 지역을 본관으로 한 성씨==
==산하 행정구역==
*[[태원시]]<ref>도청 본청(제1청사) 소재지</ref>
*[[성동시]]
*[[가성진시]]<ref>도청 북청(제2청사) 소재지</ref>
*[[금양시]]
*[[부원시]]
*[[광현시]]
*[[장택시]]
*[[동대천시]]
*[[암산시]]
*[[진양시]]
*[[도산시]]
*[[상흥시]]
*[[덕포시]]
*[[예왕시]]
*[[상남시]]
*[[용월시]]
*[[풍주시]]
*[[일천시]]
*[[암성시]]
*[[건포시]]
*[[수성시]]
*[[금성시]]
*[[소주시]]
*[[파천시]]
*[[연주시]]
*[[음천군]]
*[[건평군]]
*[[영평군]]


== 교육 ==  
==산하 지방공기업==
==출신 인물==
==자매결연 지역==
*[[페나폴트]] [[웨스트포인트]](2024.01.14.)
*[[천래]] [[키타가와현]](2024.03.09.)


== 관광 ==
==기타==
==관련 문서==


== 스포츠 ==
==둘러보기==

2024년 11월 12일 (화) 10:04 기준 최신판

대현월국
광역자치단체
[ 펼치기 · 접기 ]
대현월국 대현월국의 도
해월도
海月道
Haewol-do
도청 소재지 본청 태원시 태영구 도청로 30 (이양동)
북부 가성진시 청사로 1 (구곡동)
하위 행정구역 28시 3군
면적 10,199.7㎢
인구 15,726,801명
인구밀도 1,541.88명/km²
도지사 민주애국당 장도영
부지사 행정1 무소속 오승훈
행정2 우상길
경제 염동한
도의회 민주애국당 77석
힘찬미래당 76석
국민자유당 2석
국회의원 민주애국당 53석
힘찬미래당 6석
국민자유당 1석
도의회 민주애국당 22석
힘찬미래당 9석
상징 도화 백련
도목 은행나무
도조 독수리
색상 #39c5bb
지역번호 031
ISO 3166-2 HW-41

개요

대현월국의 미래를 선도하는 해월

대현월국의 도. 대현월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이자 광역자치단체이다. 지리적으로 한월특별시월하광역시를 접하고 있으며, 이들과 함께 대현월국의 수도권을 이루고 있다. 동쪽으로 청월도, 서쪽으로 청서양, 남쪽으로 화정남도화정북도, 북쪽으로 강월광역시천화북도를 마주하고 있다.

상징

도청

해월도지사

역사

인구

지리

기후

권역 구분

정치

경제

산업

교통

철도

일반철도로는 한하선, 영남선, 한화선, 한산선, 북월선, 한철선, 교외선 등이 있다.

남양성시영평군에서는 북월선열차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가장 큰 역은 영평군 소재의 영평역으로, 안천으로 가는 새마을호와 모든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이 외의 남양성시와 영평군에 소재한 북월선의 철도역은 서교신호장을 제외한 모든 역에서 무궁화호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남양성시한철선의 연선지역이기도 하며, 태가원역서릉역, 간곡역, 팔내역에서 해당 노선의 무궁화호를 이용할 수 있다.

해월도 남쪽 지역인 금양시, 태원시, 도산시, 장택시, 수성시에서는 창산, 영포, 금성, 덕전 등지로 가는 무궁화호와 새마을호를 이용할 수 있으며, 태원역에는 모든 무궁화호와 새마을호가 정차한다. 장택역 역시 무궁화호는 전 열차가 필수로 정차하나, 새마을호는 상당수가 통과하며 도산역, 동정리역, 금양역에서도 무궁화호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 역들은 상대적으로 정차 횟수가 적은 편이다. 광현시에서는 광현역을 통해 영남고속선, 평남고속선 ESTOM을 이용할 수 있다.

도로

대중교통

택시

항공

현재 해월도 내에 민항기가 운항하는 공항은 없다. 건포국제공항, 월하국제공항을 주로 이용하고, 남부지역에선 가끔 정주국제공항도 이용한다.

치안

상권

군사

주변 지역과의 관계

한월특별시

월하광역시

월하광역시 또한 해월도와 서로 공생하는 관계이다.

강월광역시

천화북도

청월도

화정남도

화정북도

문화

교육

언어

특산물

관광

언론사

  • 해월신문
  • 해월일보
  • 한하일보

스포츠

해월도 지역을 본관으로 한 성씨

산하 행정구역

산하 지방공기업

출신 인물

자매결연 지역

기타

관련 문서

둘러보기

  1. 도청 본청(제1청사) 소재지
  2. 도청 북청(제2청사) 소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