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namucat|Project Utopia|북월선}} | {{namucat|Project Utopia|북월선|대현월국의 철도역}} | ||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390px; width: 100%; float: right; border: 2px solid #F55839; text-align: center; font-size: 11pt; color: #000" |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390px; width: 100%; float: right; border: 2px solid #F55839; text-align: center; font-size: 11pt; color: #000" | ||
! colspan="3" style="height:70px; background: #F55839; color: #fff; text-align: center; line-height: 150%" | '''{{글씨 크기|15|북명천역}}'''<br>'''Bukmyeongcheon Station''' | '''北明川驛''' | ! colspan="3" style="height:70px; background: #F55839; color: #fff; text-align: center; line-height: 150%" | '''{{글씨 크기|15|북명천역}}'''<br>'''Bukmyeongcheon Station''' | '''北明川驛''' | ||
|- | |- | ||
| <small>[[청릉역|청릉]] 방면</small></br>[[신령역|신 령]]</br>← 14.5km | |style="width: 33%| <small>[[청릉역|청릉]] 방면</small></br>[[신령역|신 령]]</br>← 14.5km | ||
|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style="width: | |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style="width: 34% | {{colorlink|청명선|#fff}}</br>{{cl|무궁화호 (대현월국)|#fff|무궁화호}} | ||
| style="width: | | style="width: 33% | <small>[[동북전역|동북전]] 방면</small></br>[[상양역|상 양]]</br>15.0km →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 주소 | ! colspan="4"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 주소 | ||
|- | |- | ||
| colspan="4"|[[경월북도]] [[명천시]] 장군로 61(수룡동) | | colspan="4"|[[경월북도]] [[명천시]] 장군로 61(수룡동)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 역 코드 | |||
|- | |||
|[[현월철도공사]] | |||
| colspan="3"|254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 관리역 등급 | ! colspan="4"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 관리역 등급 | ||
28번째 줄: | 33번째 줄: | ||
|- | |- | ||
|[[명천삼각선]] | |[[명천삼각선]] | ||
|- | |||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 {{cl|무궁화호 (대현월국)|#fff|무궁화호}} | |||
| colspan="3"|[[2024년]] [[3월 17일]]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 승강장 구조 | ! colspan="4"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 승강장 구조 | ||
49번째 줄: | 57번째 줄: | ||
배치간이역으로 개업했으나, 수요 저조로 인해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 중이다. | 배치간이역으로 개업했으나, 수요 저조로 인해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 중이다. | ||
==역 정보== | ==역 정보== | ||
개업 이전 [[북전선]]이 [[월동역|월동]] 방면으로만 선로가 깔려 있었기 때문에,<ref>다만 이 당시 [[월동역]]은 순전히 [[동부해안선]]의 역 이었고, [[북월선]] 명천역에서 월동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지 않아 실질적으론 [[명천역]]까지만 열차 운행이 가능했었다.</ref> [[동북전역]]에서 출발하는 열차가 [[북월선]] 상행 방면으로 진출하기 위해선 [[북전선]]과 [[북월선]]을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선이 필요했었다. 그렇기에 탄생한 것이 [[명천삼각선]]이고, 이와 함께 북명천역이 함께 개업하였다. | |||
[[명천삼각선]]을 경유하는 열차는 구조적으로 [[명천역]]을 경유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역에 대신 정차한다. 이 역의 존재 이유부터가 신호장으로써의 목적도 있지만, [[명천역]]이 취급하지 못하는 명천삼각선의 열차를 대신 세우는 목적도 있었기 때문에 [[명천역]]에 정차하는 열차는 이 역을 무정차 통과한다. | |||
2024년 5월 16일, 역이 무인화 됨에 따라 더 이상 이 역에서 승차권을 구입할 수 없게 되었으며 동년 8월 역사마저 민간업체에 임대되면서 승강장에 있는 고객대기실이 역사의 기능을 대행하고 있다. | |||
===승강장=== |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390px; float: right; width: 40%; border: 0px solid #BBBBBB; text-align: center;" text-align: center;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black" | [[방산역|방산]] ↑ | |||
|- | |||
|ㅣ | |||
|ㅣ | |||
| style="background: #BBBBBB; color: #fff" | | |||
|- | |||
|style="background: #fff; color: #black" | ↓ [[부정역|부정]] |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black" | ↓ [[명천역|명천]] |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border: 0px solid #BBBBBB; text-align: left;" text-align: left; | |||
|- | |||
|rowspan="2" colspan="1" style="background: #BBBBBB; color: #fff" text-align: center;" text-align: center; | | |||
| [[청명선]] | |||
| '''{{정당 둥근상자2|{{cl|무궁화호 (대현월국)|#fff|무궁화호}}|#fff|#F55839}}''' | |||
| colspan="4"| [[청릉역|청릉]]·[[안천역|안천]]·[[동북전역|동북전]] 방면 | |||
|- | |||
|} | |||
==역 주변 정보== | |||
==연계 교통== | ==연계 교통== | ||
===시내버스=== | ===시내버스=== | ||
==일평균 이용객== | ==일평균 이용객== | ||
{|class="wikitable" style="width: 90%; border: 2px solid #F55839; text-align: center;" text-align: center; | |||
|- | |||
!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 연도 | |||
!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 {{cl|무궁화호 (대현월국)|#fff|무궁화호}} | |||
! style="background: #147D80; color: #fff" | {{cl|통일호 (대현월국)|#fff|통일호}} | |||
! style="background: #2A3D4C; color: #fff" | {{cl|비둘기호 (대현월국)|#fff|비둘기호}} | |||
!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 총합 | |||
! style="background: #F55839; color: #fff" | 비고 | |||
|- | |||
|2022년 | |||
|rowspan="2"| | |||
|11명 | |||
|16명 | |||
|27명 | |||
| | |||
|- | |||
|2023년 | |||
| style="background: #fff; color: #147D80; |15명 | |||
| style="background: #fff; color: #2A3D4C; |22명 | |||
|37명 | |||
| | |||
|- | |||
|2024년 | |||
| style="background: #fff; color: #FF0000; |39명 | |||
|colspan="3"|<ref>[[대현월국 철도청|운영 기관]] [[현월철도공사|변경]] 영향으로 기록 말소</ref> | |||
|- | |||
|} | |||
==둘러보기== | ==둘러보기== | ||
{{틀:북월선의 철도역}} |
2025년 5월 11일 (일) 14:14 기준 최신판
북명천역 Bukmyeongcheon Station | 北明川驛 | |||
---|---|---|---|
청릉 방면 신 령 ← 14.5km |
청명선 무궁화호 |
동북전 방면 상 양 15.0km → | |
주소 | |||
경월북도 명천시 장군로 61(수룡동) | |||
역 코드 | |||
현월철도공사 | 254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명천역 관리/현월철도공사 북전본부) | |||
운영기관 | |||
북월선 | 현월철도공사 | ||
명천삼각선 | |||
개업일 | |||
북월선 | 2022년 12월 12일 | ||
명천삼각선 | |||
무궁화호 | 2024년 3월 17일 | ||
승강장 구조 | |||
1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북한월 방면 방 산 ← 8.1km |
북월선 북명천 |
월동 방면 명 천 2.5km → | |
기점 | 명천삼각선 북명천 |
부정 방면 부 정 4.2km → |
개요
북월선과 명천삼각선의 철도역. 경월북도 명천시 장군로 61 (수룡동) 소재.
배치간이역으로 개업했으나, 수요 저조로 인해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 중이다.
역 정보
개업 이전 북전선이 월동 방면으로만 선로가 깔려 있었기 때문에,[1] 동북전역에서 출발하는 열차가 북월선 상행 방면으로 진출하기 위해선 북전선과 북월선을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선이 필요했었다. 그렇기에 탄생한 것이 명천삼각선이고, 이와 함께 북명천역이 함께 개업하였다.
명천삼각선을 경유하는 열차는 구조적으로 명천역을 경유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역에 대신 정차한다. 이 역의 존재 이유부터가 신호장으로써의 목적도 있지만, 명천역이 취급하지 못하는 명천삼각선의 열차를 대신 세우는 목적도 있었기 때문에 명천역에 정차하는 열차는 이 역을 무정차 통과한다.
2024년 5월 16일, 역이 무인화 됨에 따라 더 이상 이 역에서 승차권을 구입할 수 없게 되었으며 동년 8월 역사마저 민간업체에 임대되면서 승강장에 있는 고객대기실이 역사의 기능을 대행하고 있다.
승강장
방산 ↑ | |||
ㅣ | ㅣ | ||
↓ 부정 | ↓ 명천 |
청명선 | 무궁화호 | 청릉·안천·동북전 방면 |
역 주변 정보
연계 교통
시내버스
일평균 이용객
연도 | 무궁화호 | 통일호 | 비둘기호 | 총합 | 비고 |
---|---|---|---|---|---|
2022년 | 11명 | 16명 | 27명 | ||
2023년 | 15명 | 22명 | 37명 | ||
2024년 | 39명 | [2] |
둘러보기
북월선의 철도역 |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