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colspan="5" width="450px"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0000 0%, #670000 20%, #670000 80%, #330000); color: #ece5b6; font-size: 12pt; line-height: 1.7em" | 조 제16대 황제<Big><br>숭희제 | 崇熙帝</Big> | !colspan="5" width="450px"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0000 0%, #670000 20%, #670000 80%, #330000); color: #ece5b6; font-size: 12pt; line-height: 1.7em" | 조 제16대 황제<Big><br>숭희제 | 崇熙帝</Big> | ||
|- | |- | ||
| colspan="2" style="font-size: 11pt; color: #FFFFFF; background: #1e4a71;" | <center><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숭희제 초상화 | | colspan="2" style="font-size: 11pt; color: #FFFFFF; background: #1e4a71;" | <center><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숭희제 초상화.webp]]</div></center> | ||
|- | |- | ||
! colspan="1" rowspan="2"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출생 | ! colspan="1" rowspan="2"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출생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 |-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능묘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능묘 | ||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 |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 경릉(景陵) | ||
|- | |- | ||
! colspan="1" rowspan="7"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재위기간 | ! colspan="1" rowspan="7"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재위기간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 colspan="4" style="font-size: ;" | [[1498년]] [[12월 17일]] ~ [[1505년]] [[2월 4일]] | | colspan="4" style="font-size: ;" | [[1498년]] [[12월 17일]] ~ [[1505년]] [[2월 4일]] | ||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 color :# | | colspan="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A52A2A;" | '''조 황태자''' | ||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 | [[1505년]] [[2월 4일]] ~ [[1518년]] [[1월 17일]] | | colspan="4" style="font-size: ;" | [[1505년]] [[2월 4일]] ~ [[1518년]] [[1월 17일]] | ||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 color :# | | colspan="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800000;" | '''제16대 황제''' | ||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 | [[ | | colspan="4" style="font-size: ;" | [[1518년]] [[1월 17일]] ~ [[1545년]] [[9월 21일]] | ||
|- | |- | ||
| colspan="5" style="font-size: ; color: #670000; background: #670000;" | {{펼접|id=1|titlecolor=#ece5b6}} | | colspan="5" style="font-size: ; color: #670000; background: #670000;" | {{펼접|id=1|titlecolor=#ece5b6}} | ||
55번째 줄: | 55번째 줄: | ||
|- | |-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자녀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자녀 | ||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 2남 5녀 | | colspan="4" align=left style="font-size: ; | 2남 5녀 '''(1남 불확실)''' | ||
|- | |- |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작호 | ! colspan="1" width="24%" style="font-size: ; color :#ece5b6 ; background: #670000" | 작호 | ||
71번째 줄: | 71번째 줄: | ||
|} | |} | ||
|} | |} | ||
{{목차}} | |||
{{clearfix}} | |||
== 개요 == | |||
중국 조나라의 제16대 황제. | |||
연호는 '''숭희'''이며 묘호는 '''선종'''으로, 제15대 안정제의 삼남이자 휘는 건이다. 어머니는 안정제의 정실부인이자 첫번째 황후였던 혜경공황후 이다. | |||
연호가 '''숭희(崇熙)''' 이였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순우리말로 별하제 라고도 불린다. | |||
안정제가 갑작스럽게 급사하자 19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제 14대 정명제가 처리하지 못한 외교문제를 단 8일만에 끝마쳤고, 당시 국제 항로였던 대월에서 포르투갈 대함장인 비츠스리프 마케트리크와 전투를 벌여 승리해 포르투갈에게 막대한 보상금을 요구하였다. | |||
평소 통상 문제로 골머리를 앓던 대티베트 왕국을 병합했으며, 간신을 걸러내기 위하여 어칙서를 발행해 당시 타락한 봉급체제와 매관매직을 타파하였다. 재위 말기에는 자신의 휴향지이자 평생 궁전인 '''[[춘칭낙원 (조)|춘칭낙원]]'''을 만들기 위하여 백성들에게 많은 세금을 부과해 원망을 샀다. |
2025년 6월 22일 (일) 21:02 기준 최신판
趙 조(趙) 황제 |
[ 펼치기 · 접기 ]
|
조 제16대 황제 숭희제 | 崇熙帝 | ||||||||||||||||||||||||||||||||||||||||||||||||||||||
---|---|---|---|---|---|---|---|---|---|---|---|---|---|---|---|---|---|---|---|---|---|---|---|---|---|---|---|---|---|---|---|---|---|---|---|---|---|---|---|---|---|---|---|---|---|---|---|---|---|---|---|---|---|---|
출생 | 1498년 11월 9일 | |||||||||||||||||||||||||||||||||||||||||||||||||||||
조 북경 정순부 외 연회락 난이롱장성 | ||||||||||||||||||||||||||||||||||||||||||||||||||||||
즉위 | 1518년 1월 17일 | |||||||||||||||||||||||||||||||||||||||||||||||||||||
조 남경 경선부 헤이롱장성 | ||||||||||||||||||||||||||||||||||||||||||||||||||||||
사망 | 1545년 9월 21일 (향년 46세) | |||||||||||||||||||||||||||||||||||||||||||||||||||||
조 남경 경선부 헤이롱장성 | ||||||||||||||||||||||||||||||||||||||||||||||||||||||
능묘 | 경릉(景陵) | |||||||||||||||||||||||||||||||||||||||||||||||||||||
재위기간 | ||||||||||||||||||||||||||||||||||||||||||||||||||||||
조 황태손 | ||||||||||||||||||||||||||||||||||||||||||||||||||||||
1498년 12월 17일 ~ 1505년 2월 4일 | ||||||||||||||||||||||||||||||||||||||||||||||||||||||
조 황태자 | ||||||||||||||||||||||||||||||||||||||||||||||||||||||
1505년 2월 4일 ~ 1518년 1월 17일 | ||||||||||||||||||||||||||||||||||||||||||||||||||||||
제16대 황제 | ||||||||||||||||||||||||||||||||||||||||||||||||||||||
1518년 1월 17일 ~ 1545년 9월 21일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중국 조나라의 제16대 황제.
연호는 숭희이며 묘호는 선종으로, 제15대 안정제의 삼남이자 휘는 건이다. 어머니는 안정제의 정실부인이자 첫번째 황후였던 혜경공황후 이다.
연호가 숭희(崇熙) 이였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순우리말로 별하제 라고도 불린다.
안정제가 갑작스럽게 급사하자 19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제 14대 정명제가 처리하지 못한 외교문제를 단 8일만에 끝마쳤고, 당시 국제 항로였던 대월에서 포르투갈 대함장인 비츠스리프 마케트리크와 전투를 벌여 승리해 포르투갈에게 막대한 보상금을 요구하였다.
평소 통상 문제로 골머리를 앓던 대티베트 왕국을 병합했으며, 간신을 걸러내기 위하여 어칙서를 발행해 당시 타락한 봉급체제와 매관매직을 타파하였다. 재위 말기에는 자신의 휴향지이자 평생 궁전인 춘칭낙원을 만들기 위하여 백성들에게 많은 세금을 부과해 원망을 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