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바성: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동방의 불란서 세계관}}
{{namucat|대한국 (동방)의 성급 행정구역}}
{{대한국 행정구역}}
{{대한국 행정구역}}
{{투바성의 행정구역}}
{{투바성의 행정구역}}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77bbff; float: right; max-width:450px;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77bbff; float: right; max-width:450px; text-align: center;"
|-
|-
| colspan="6" width="450px" style="color: #000; background: #fff; line-height: 1.7em"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20px|link=대한국 (동방)]][[대한국 (동방)|<span style="background-color:#FFFFFF;">대한국]]의 성</span><br><big><big>투바성</big></big>'''<br>都波省 | Tuba-Seong
| colspan="6" width="450px" style="color: #000; background: #fff; line-height: 1.7em"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20px|link=대한국 (동방)]][[대한국 (동방)|<span style="color:#000">대한국]]의 성</span><br><big><big>투바성</big></big>'''<br>都波省 | Tuva-Seong
|-
|-
| colspan="6" style="font-weight:" |
| colspan="6" style="font-weight:" |
17번째 줄: 17번째 줄:
|-
|-
! colspan="2" width="33%" style=" 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성정부 소재지
! colspan="2" width="33%" style=" 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성정부 소재지
| colspan="4" style=""  | 홍산시 시청대로 11
| colspan="4" style=""  | 양수시 시청대로 11
|-
|-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지역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지역
29번째 줄: 29번째 줄:
|-
|-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인구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인구
| colspan="4" style=";"  | 452,471명<sup>(2020)</sup>
| colspan="4" style=";"  | 452,646명<sup>(2025)</sup>
|-
|-
! colspan="2" width="33%" style=" 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인구밀도
! colspan="2" width="33%" style=" 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인구밀도
37번째 줄: 37번째 줄:
| colspan="4" style=""  | UTC+7
| colspan="4" style=""  | UTC+7
|-
|-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성장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총독
| colspan="2" width="25%" style=""  |{{국민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2" width="25%" style=""  | {{대한공산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2" style=""  | 호발륵 엘벡도르지<sub>(재선)</sub>
| colspan="2" style=""  | 루브산 마야 <small>(재선)</small>
|-
|-
! colspan="2" rowspan="5"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성의회
! colspan="2" rowspan="5"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성의회
46번째 줄: 46번째 줄:
|-
|-
| colspan="2" style=""  |{{국민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2" style=""  |{{국민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2" style=""  | 20석
| colspan="2" style=""  | 21석
|-
|-
| colspan="2" style=""  | {{사회민주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2" style=""  | {{사회민주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2" style=""  | 3석
| colspan="2" style=""  | 1석
|-
|-
| colspan="2" style=""  | {{진보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2" style=""  | {{진보당 (동방)/행정구역}}
55번째 줄: 55번째 줄:
|-
|-
| colspan="2" style=""  | {{무소속2}}
| colspan="2" style=""  | {{무소속2}}
| colspan="2" style=""  | 2석
| colspan="2" style=""  | 3석
|-
|-
! colspan="2" rowspan="3"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시장·군수
! colspan="2" rowspan="3"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시장·군수
67번째 줄: 67번째 줄:
| colspan="2" style=""  | -석
| colspan="2" style=""  | -석
|-
|-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중추원의원
! colspan="2"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중추원의원
| colspan="2" width="35%" style=""  | {{국민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2" width="35%" style=""  | {{국민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2" style=""  | 담딘 산사르<sub>(초선)</sub>
| colspan="2" style=""  | 윤자야 <small>(초선)</small>
|-
|-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국민원의원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국민원의원
| colspan="2" width="35%" style=""  | {{국민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2" width="35%" style=""  | {{국민당 (동방)/행정구역}}
| colspan="2" style=""  | 미예곰빈 아마르<sub>(초선)</sub>
| colspan="2" style=""  | 미예곰빈 아마르 <small>(3선)</small>
|-
|-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지역번호
! colspan="2" width="3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77bbff;"  | 지역번호
83번째 줄: 83번째 줄:
{{목차}}
{{목차}}
{{clearfix}}
{{clearfix}}
= 개요 =
== 개요 ==
[[대한국 (동방)|대한국]] 서북부에 위치한 성. 북쪽으로는 러시아와, 남쪽으로는 [[외몽골성]]과 접한다. 성도는 [[홍산시]]이며 투바어로는 크즐(Kьzьl)이라고 한다.
[[대한국 (동방)|대한국]] 서북부에 위치한 성. 북쪽으로는 러시아와, 남쪽으로는 [[몽골성]]과 접한다. 성도는 [[양수시|양수]].


대부분은 산지이며 시베리아 평원에서 몽골 고원으로 들어서는 주요 네 길목중 하나이다. 긴 협곡을 따라 예니세이강이 흐르며 투바성 대부분의 인구는 예니세이 강변에 거주한다.
대부분은 산지이며 시베리아 평원에서 몽골 고원으로 들어서는 주요 네 길목중 하나이다. 긴 협곡을 따라 예니세이강이 흐르며 투바성 대부분의 인구는 예니세이 강변에 거주한다.


= 역사 =
== 역사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border:2px solid #77bbff; float: center; max-width:450px;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border:2px solid #77bbff; float: center; max-width:450px; text-align: center;"
|-
|-
113번째 줄: 113번째 줄:
{{clearfix}}
{{clearfix}}
1907년 청나라 멸망 직후 러시아군이 잠시 진주했었으나 한국군이 외몽골을 통해 진입하면서 한국령이 되었다.
1907년 청나라 멸망 직후 러시아군이 잠시 진주했었으나 한국군이 외몽골을 통해 진입하면서 한국령이 되었다.
== 인구 추이 ==
 
1975년까지는 가파른 상승세를 유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40년 동안 인구수 변동이 거의 없다. 실질적으로는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 가장 큰 요인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마땅한 대안이 거의 없는 것에 있다.
==인구==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77bbff; width: 100%; text-align: center"
| colspan="4" style="color: #000; background: #fff; line-height:1.7em;" | [[파일:투바성 휘장.svg|30px]] <big>'''투바성의 인구 추이'''</big><br>(1907년~현재)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10.14%, transparent 10.14%); text-align:left;" |  1910년 98,493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11.57%, transparent 11.57%); text-align:left;" |  1925년 112,437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12.52%, transparent 12.52%); text-align:left;" |  1934년 121,647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14.02%, transparent 14.02%); text-align:left;" |  1947년 136,231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17.77%, transparent 17.77%); text-align:left;" |  1955년 172,695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24.61%, transparent 24.61%); text-align:left;" |  1960년 239,148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35.57%, transparent 35.57%); text-align:left;" |  1965년 345,647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49.06%, transparent 49.06%); text-align:left;" |  1970년 476,696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64.28%, transparent 64.28%); text-align:left;" |  1975년 624,582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76.03%, transparent 76.03%); text-align:left;" |  1980년 752,625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79.13%, transparent 79.13%); text-align:left;" |  1982년 768,945명 (정점)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78.08%, transparent 78.08%); text-align:left;" |  1985년 758,734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75.15%, transparent 75.15%); text-align:left;" |  1990년 730,225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71.3%, transparent 71.3%); text-align:left;" |  1995년 692,843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61.9%, transparent 61.9%); text-align:left;" |  2000년 601,225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54.79%, transparent 54.79%); text-align:left;" |  2005년 532,448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51.31%, transparent 51.31%); text-align:left;" |  2010년 498,629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48.66%, transparent 48.66%); text-align:left;" |  2015년 472,854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47.44%, transparent 47.44%); text-align:left;" |  2020년 460,983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46.44%, transparent 46.44%); text-align:left;" |  2024년 451,241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7bbff 46.58%, transparent 46.58%); text-align:left;" |  2025년 452,646명
|}
 
1981년까지는 폭발적인 상승세를 유지하며 한때 인구가 77만명까지 늘어났으나<ref>이마저도 이곳에 주둔했던 병력은 뺀 수치다. 투바에 주둔했던 병력까지 더한다면 1983년 기준으로 100만여명으로 추산된다.</ref> 80년대 해빙기에 들어가며 인구가 계속 줄어들기 시작, 2021년 현재는 45만명대로 떨어졌다. 게다가 인구 감소율 자체는 줄어드는 중이나 인구가 감소중인 것은 변함이 없고 젊은 사람들은 계속 본토로 떠나고 있는 실정이다. 젊은 사람들이 떠나는 가장 큰 요인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마땅한 대안이 거의 없는 것에 있다.
 
그러나 정권이 바뀌고 나서도 서부대개발계획은 계속 추진중이고 그에따라 일자리도 증가하는 추세다. 그덕에 2025년에는 무려 43년만에 인구 감소가 멈추고 증가세로 돌아섰다.
 
== 교통 ==
보통 본토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ref>서울 기준으로 투바성 성도인 양수와 [[동강성]] 성도인 해원까지 직선 거리는 약 3000km로 비슷하다.</ref> 여객들은 비행기를 이용한다. 하지만 [[동강성]]과는 달리 도로도 이어져 있고 철도도 놓여있기 때문에 육로로도 갈 수 있다.
 
[[황도]]에서 출발하는 [[한국횡단철도]]를 이용하면 알탄바토르를 거쳐 양수까지 올 수 있다.
 
== 경제 ==
1980년대 초반까지 10만여명의 대군을 부양하기 위한 군수산업과 물류업이 성황을 이루었으나 한국과 소련이 해빙무드에 들어감에 따라 병력이 철수하기 시작, 소련 붕괴 이후 전면 철수함에 따라 공업과 물류업이 일순간에 몰락해버렸다. 인구도 폭락하는 바람에 잠시 지역 경제를 유지할만한 대책을 마련하는데 실패했다. 결국 90년대에 들어선 후 지역 경제는 쇠퇴 일로를 걷고 있다. 현재 이곳의 주력 경제는 광업과 임업이며 농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만 상당량의 석유와 석탄은 물론 희토류와 우라늄, 금속 자원이 매장되어 있어 발전 잠재성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한국 정부에서는 본격적인 채굴에는 나서지 않고 일부 지역 민간회사에서 소규모 채굴을 하는데 그치고 있다.
 
2021년 서부 대개발 계획중 광물자원 개발과 공업 재육성 계획도시에 성도 양수시가 포함되었다. 러시아 중부 지역과의 교역을 위한 전진기지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며 이에 따라 여러 산업시설에 대한 정부차원의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크라스노야르스크나 노보시비르스크등의 인근 러시아 도시와 그 인근 지역인구가 무려 500만여명에 이르기 때문에 수요도 어느정도 충분하다.
== 폐지 여론 ==
투바성 폐지와 [[몽골성]]으로 통합을 주장하는 여론이 성 주민들 사이에서도 상당히 존재한다. 투바성 주민 대부분을 차지하는 오량해족 자체도 몽골족과 문화적으로 상당히 유사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1년 여론조사에서 몽골성 편입을 원하는 여론이 46%로 41%의 현상 유지보다 많았다. 물론 단순 문화적 동질성 때문은 아니고 투바성의 경제가 현재 매우 좋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광업으로 경제 사정이 좋은편인 몽골성에 합류해 조그마한 지원이라도 받을 수 있다는 현실적 이유도 있다.
 
하지만 중앙정부측에서는 투바성 폐지에는 선을 그었다. 20세기 초 투바가 막 한국에 합병되었을 때 한국 정부는 몽골 민족주의 발흥을 막기 위해 투바의 몽골 편입을 막고 독자 행정구역으로 개편해버린 역사가 있으며 또 그 상태로 한세기 넘게 이어져왔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 중앙정부는 성 폐지를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으며 그 대신 투바성정부에 경제개발 계획 실시와 각종 지원을 약속한 상태다.

2025년 7월 10일 (목) 10:08 기준 최신판

대한국
성급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투바성
자치행정단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국의 성
투바성

都波省 | Tuva-Seong
깃발 휘장
성정부 소재지 양수시 시청대로 11
지역 외몽골
하위 행정구역 2시 15군
면적 170,500km2
인구 452,646명(2025)
인구밀도 2.56명/km2
시간대 UTC+7
총독
루브산 마야 (재선)
성의회
22석
21석
1석
1석
무소속 3석
시장·군수
-석
-석
무소속 -석
중추원의원
윤자야 (초선)
국민원의원
미예곰빈 아마르 (3선)
지역번호 082
ISO 3166-2 KR-53

개요

대한국 서북부에 위치한 성. 북쪽으로는 러시아와, 남쪽으로는 몽골성과 접한다. 성도는 양수.

대부분은 산지이며 시베리아 평원에서 몽골 고원으로 들어서는 주요 네 길목중 하나이다. 긴 협곡을 따라 예니세이강이 흐르며 투바성 대부분의 인구는 예니세이 강변에 거주한다.

역사

투바성 행정구역 변천사
당노오량해부
(唐努烏梁海府, 1915)
서몽고부
(西蒙古府, 1918)
서몽고성
(西蒙古省, 1950)
도파성
(都波省, 1955)
투바성
(都波省, 1988)

1907년 청나라 멸망 직후 러시아군이 잠시 진주했었으나 한국군이 외몽골을 통해 진입하면서 한국령이 되었다.

인구

투바성의 인구 추이
(1907년~현재)
1910년 98,493명
1925년 112,437명
1934년 121,647명
1947년 136,231명
1955년 172,695명
1960년 239,148명
1965년 345,647명
1970년 476,696명
1975년 624,582명
1980년 752,625명
1982년 768,945명 (정점)
1985년 758,734명
1990년 730,225명
1995년 692,843명
2000년 601,225명
2005년 532,448명
2010년 498,629명
2015년 472,854명
2020년 460,983명
2024년 451,241명
2025년 452,646명

1981년까지는 폭발적인 상승세를 유지하며 한때 인구가 77만명까지 늘어났으나[1] 80년대 해빙기에 들어가며 인구가 계속 줄어들기 시작, 2021년 현재는 45만명대로 떨어졌다. 게다가 인구 감소율 자체는 줄어드는 중이나 인구가 감소중인 것은 변함이 없고 젊은 사람들은 계속 본토로 떠나고 있는 실정이다. 젊은 사람들이 떠나는 가장 큰 요인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마땅한 대안이 거의 없는 것에 있다.

그러나 정권이 바뀌고 나서도 서부대개발계획은 계속 추진중이고 그에따라 일자리도 증가하는 추세다. 그덕에 2025년에는 무려 43년만에 인구 감소가 멈추고 증가세로 돌아섰다.

교통

보통 본토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2] 여객들은 비행기를 이용한다. 하지만 동강성과는 달리 도로도 이어져 있고 철도도 놓여있기 때문에 육로로도 갈 수 있다.

황도에서 출발하는 한국횡단철도를 이용하면 알탄바토르를 거쳐 양수까지 올 수 있다.

경제

1980년대 초반까지 10만여명의 대군을 부양하기 위한 군수산업과 물류업이 성황을 이루었으나 한국과 소련이 해빙무드에 들어감에 따라 병력이 철수하기 시작, 소련 붕괴 이후 전면 철수함에 따라 공업과 물류업이 일순간에 몰락해버렸다. 인구도 폭락하는 바람에 잠시 지역 경제를 유지할만한 대책을 마련하는데 실패했다. 결국 90년대에 들어선 후 지역 경제는 쇠퇴 일로를 걷고 있다. 현재 이곳의 주력 경제는 광업과 임업이며 농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만 상당량의 석유와 석탄은 물론 희토류와 우라늄, 금속 자원이 매장되어 있어 발전 잠재성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한국 정부에서는 본격적인 채굴에는 나서지 않고 일부 지역 민간회사에서 소규모 채굴을 하는데 그치고 있다.

2021년 서부 대개발 계획중 광물자원 개발과 공업 재육성 계획도시에 성도 양수시가 포함되었다. 러시아 중부 지역과의 교역을 위한 전진기지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며 이에 따라 여러 산업시설에 대한 정부차원의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크라스노야르스크나 노보시비르스크등의 인근 러시아 도시와 그 인근 지역인구가 무려 500만여명에 이르기 때문에 수요도 어느정도 충분하다.

폐지 여론

투바성 폐지와 몽골성으로 통합을 주장하는 여론이 성 주민들 사이에서도 상당히 존재한다. 투바성 주민 대부분을 차지하는 오량해족 자체도 몽골족과 문화적으로 상당히 유사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1년 여론조사에서 몽골성 편입을 원하는 여론이 46%로 41%의 현상 유지보다 많았다. 물론 단순 문화적 동질성 때문은 아니고 투바성의 경제가 현재 매우 좋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광업으로 경제 사정이 좋은편인 몽골성에 합류해 조그마한 지원이라도 받을 수 있다는 현실적 이유도 있다.

하지만 중앙정부측에서는 투바성 폐지에는 선을 그었다. 20세기 초 투바가 막 한국에 합병되었을 때 한국 정부는 몽골 민족주의 발흥을 막기 위해 투바의 몽골 편입을 막고 독자 행정구역으로 개편해버린 역사가 있으며 또 그 상태로 한세기 넘게 이어져왔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 중앙정부는 성 폐지를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으며 그 대신 투바성정부에 경제개발 계획 실시와 각종 지원을 약속한 상태다.

  1. 이마저도 이곳에 주둔했던 병력은 뺀 수치다. 투바에 주둔했던 병력까지 더한다면 1983년 기준으로 100만여명으로 추산된다.
  2. 서울 기준으로 투바성 성도인 양수와 동강성 성도인 해원까지 직선 거리는 약 3000km로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