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의문점 글에 등장하는 섭리 라는 용어에 대해 부가 설명을 적어 둡니다. | |||
의문점 글에 등장하는 섭리 라는 용어에 대해 부가 설명을 적어 둡니다. | 섭리 라는 것이 살아있는 생물 인지, 실제로 존재하는 시스템 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 설이 있습니다. | ||
섭리 라는 것이 살아있는 생물 인지, 실제로 존재하는 시스템 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 설이 있습니다. | |||
1. 섭리는 하위 원리 이다. | 1. 섭리는 하위 원리 이다. | ||
만약 순리가 하위 원리 라고 한다면, 이는 정신체가 자신 만의 자체적인 세상에서 | 만약 순리가 하위 원리 라고 한다면, 이는 정신체가 자신 만의 자체적인 세상에서 |
2025년 7월 13일 (일) 23:14 기준 최신판
의문점 글에 등장하는 섭리 라는 용어에 대해 부가 설명을 적어 둡니다. 섭리 라는 것이 살아있는 생물 인지, 실제로 존재하는 시스템 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 설이 있습니다. 1. 섭리는 하위 원리 이다. 만약 순리가 하위 원리 라고 한다면, 이는 정신체가 자신 만의 자체적인 세상에서 이래야만 한다- 라는 비이성적 논리를 통해 나타나게 된 비과학적인 현상 으로서, 지구 에서의 과학을 대체하는 일종의 법칙 이라는 것 입니다. 아무리 자체적인 공간 이라고는 해도, 정신체가 어떻게 혼자 만의 섭리를 정할 수 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이는 마음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해결 될 수 있는 문제 입니다. 2. 섭리는 상위 원리 이다. 만약 순리가 상위 원리 라고 한다면, 이러한 시스템이 실제로 존재 한다기 보다는 이는 위계 의식으로 인해 일어난 일일 수 있습니다. 정신체는 생활의 문제로 인해서 종이 매우 낮아져서, 특정 종 이라고 할 수 없는 상태 입니다. 그러나 이들은 추악한 현실을 받아들일 수 없어서 심미성을 추구 하는데, 문제는 심미성 에는 엄청난 위계 의식이 존재 한다는 것 입니다. 이들은 반발 심리로 인해 자유로움을 얻었지만, 전체적으로는 마치 농락 되는듯한 삶을 살고는 합니다. 그래서 이는 심미성으로 인해 위계 의식에 얽매이게 됨으로서 일어난 일일 수 있습니다. 이때 격의 문제 또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미 추악한 현실 이지만 그럼에도 마음의 문제를 해결하는 일이 중요시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