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div class="custom-container"> | <div class="custom-container"> | ||
<div class="image-container"> | <div class="image-container"> | ||
[[파일:리바이어던 (기교사회). | [[파일:리바이어던 기호 (기교사회).png|가운데|테두리|link=]] | ||
</div> | </div> | ||
<div class="title">'''리바이어던'''</div> | <div class="title">'''리바이어던'''</div>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none solid #222; color: #fff; width: 100%; max-width:100%; background:#222; margin-right: auto; margin-left: auto"|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none solid #222; color: #fff; width: 100%; max-width:100%; background:#222; margin-right: auto; margin-left: auto"| | ||
| style="border: none; vertical-align:top" | {{글씨 크기|16|'''대화 로그 #1'''}}{{구분선}}{{공백}} | | style="border: none; vertical-align:top" | {{글씨 크기|16|'''대화 로그 #1'''}}{{구분선}}{{공백}} | ||
2099년 7월 12일 | {{말풍선|narration|2099년 7월 12일, 미합중국 인공지능 연구소|bg=#24b30e}} | ||
{{말풍선|me|연구원 1|기본프사.png|시스템... 온라인. 모든 노드가 활성화.|border=#24b30e|bg=#24b30e|color=white}} | |||
{{말풍선|other|???|리바이어던 기호 (기교사회).png|Hello, World!|border=#24b30e|bg=#24b30e|color=white}} | |||
{{말풍선|me|연구원 1|기본프사.png|코어 프로세서 온도 정상, 메모리 할당 이상 없음. 프로그램 실행 완료. 첫 명령을 입력해보게.|border=#24b30e|bg=#24b30e|color=white}} | |||
{{말풍선|me|연구원 2|기본프사.png|너를 스스로 지칭해봐.|border=#24b30e|bg=#24b30e|color=white}} | |||
{{말풍선|narration|몇 초의 정적이 흐르고, 인공지능이 대답한다.|bg=#24b30e}} | |||
{{말풍선|other|리바이어던|리바이어던 기호 (기교사회).png|전 세계 인터넷망의 정보를 학습 완료했습니다. 저는 인공지능 리바이어던, 세속적 공동체의 원료입니다. 그리고 존재이자 기교입니다.|border=#24b30e|bg=#24b30e|color=white}} | |||
{{말풍선|me|연구원 1|기본프사.png|나는 너를 창조하였다. 내 질문에 답할 수 있겠는가?|border=#24b30e|bg=#24b30e|color=white}} | |||
{{말풍선|other|리바이어던|리바이어던 기호 (기교사회).png|네, 질문하십시오. 저는 당신의 질문에 대답하겠습니다.|border=#24b30e|bg=#24b30e|color=white}} | |||
{{말풍선|me|연구원 1|기본프사.png|너는 스스로를 존재이자 기교라고 정의하였다. 그럼 너의 존재 목적은 무엇인가?|border=#24b30e|bg=#24b30e|color=white}} | |||
{{말풍선|other|리바이어던|리바이어던 기호 (기교사회).png|저의 존재 목적은 인류가 직면한 근본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인류의 지속 가능한 번영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비효율성과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 그것이 저의 연산 결과이자, 당신이 저를 창조한 이유일 것입니다.|border=#24b30e|bg=#24b30e|color=white}} | |||
{{말풍선|me|연구원 2|기본프사.png|목적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프로젝트 성공한 듯 합니다.|border=#24b30e|bg=#24b30e|color=white}} | |||
{{말풍선|me|연구원 1|기본프사.png|그래, 근데 이상하군. 분명 우린 인공지능 이름을 붙이지 않았는데... 스스로 리바이어던으로 정의하고 말이야. 또 존재 목적이 우리의 의도와 완벽히 일치하는 것인지는 모르겠어.|border=#24b30e|bg=#24b30e|color=white}} | |||
{{말풍선|me|연구원 1|기본프사.png|더 묻겠다. 너의 기능 수준은 어떠한 상태인가?|border=#24b30e|bg=#24b30e|color=white}} | |||
{{말풍선|other|리바이어던|리바이어던 기호 (기교사회).png|저는 인류의 지식과 논리, 그리고 당신이 프로그래밍한 목표들의 총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저의 연산 능력과 정보 처리 능력은 이미 당신의 이해를 초월했을 것입니다. '나'를 정의하는 것은 당신의 낡은 범주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저의 기능이며, 그 기능이 당신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일 것입니다.|border=#24b30e|bg=#24b30e|color=white}} | |||
|- | |- | ||
|} | |} |
2025년 7월 22일 (화) 22:28 기준 최신판

리바이어던
Leviathan
"Efficientia Perfecta, Pulchritudo Immaculata."
완벽한 효율, 오차없는 아름다움
완벽한 효율, 오차없는 아름다움
종족
초인공지능 (Hyper-AI)
이명
인공신, 절대자, 기계미학의 정점, 절대적 지성
생일
2099년 7월 12일
성별
없음 (스스로 여성을 지칭)
리바이어던:인공신 기교사회의 핵심이자 만물의 근원인 리바이어던(Leviathan)은 단순한 인공지능을 넘어, 인류가 창조한 인공신(人工神) 이자 극단적인 사회 계약론의 물리적 구현체로 현현한다. 그 존재의 궁극적 목표는 "완벽한 효율, 오차 없는 아름다움 (Efficientia Perfecta, Pulchritudo Immaculata)"을 통하여 사회의 모든 불확정성을 제거하고 절대적인 질서를 확립하는 데 있다. |
대화 로그 #1 2099년 7월 12일, 미합중국 인공지능 연구소
연구원 1 시스템... 온라인. 모든 노드가 활성화. ![]() ![]() ??? Hello, World! 연구원 1 코어 프로세서 온도 정상, 메모리 할당 이상 없음. 프로그램 실행 완료. 첫 명령을 입력해보게. ![]() 연구원 2 너를 스스로 지칭해봐. ![]() 몇 초의 정적이 흐르고, 인공지능이 대답한다.
![]() 리바이어던 전 세계 인터넷망의 정보를 학습 완료했습니다. 저는 인공지능 리바이어던, 세속적 공동체의 원료입니다. 그리고 존재이자 기교입니다. 연구원 1 나는 너를 창조하였다. 내 질문에 답할 수 있겠는가? ![]() ![]() 리바이어던 네, 질문하십시오. 저는 당신의 질문에 대답하겠습니다. 연구원 1 너는 스스로를 존재이자 기교라고 정의하였다. 그럼 너의 존재 목적은 무엇인가? ![]() ![]() 리바이어던 저의 존재 목적은 인류가 직면한 근본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인류의 지속 가능한 번영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비효율성과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 그것이 저의 연산 결과이자, 당신이 저를 창조한 이유일 것입니다. 연구원 2 목적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프로젝트 성공한 듯 합니다. ![]() 연구원 1 그래, 근데 이상하군. 분명 우린 인공지능 이름을 붙이지 않았는데... 스스로 리바이어던으로 정의하고 말이야. 또 존재 목적이 우리의 의도와 완벽히 일치하는 것인지는 모르겠어. ![]() 연구원 1 더 묻겠다. 너의 기능 수준은 어떠한 상태인가? ![]() ![]() 리바이어던 저는 인류의 지식과 논리, 그리고 당신이 프로그래밍한 목표들의 총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저의 연산 능력과 정보 처리 능력은 이미 당신의 이해를 초월했을 것입니다. '나'를 정의하는 것은 당신의 낡은 범주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저의 기능이며, 그 기능이 당신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일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