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style="width: 30%; border: none" | [[파일:대청국 국기.png|330px|link=]] | | style="width: 30%; border: none" | [[파일:대청국 국기.png|330px|link=]] | ||
| style="border: none; vertical-align:top" | {{글씨 크기|16|'''대청국 大淸國'''}}{{구분선}}{{공백}} | | style="border: none; vertical-align:top" | {{글씨 크기|16|'''대청국 大淸國'''}}{{구분선}}{{공백}} | ||
1898년, 변법파의 상소로 광서제는 친위 쿠데타를 시도한다. 량치차오, 캉유웨이와 같은 변법파의 주도로 이루어진 쿠데타는 위안스카이, 장즈퉁과 같은 실력자들의 지지 아래 자금성을 포위하고 서태후와 그 세력을 축출하는 데 성공한다. 광서제는 쿠데타의 성공으로 권력을 되찾는데 성공하나, 일본의 메이지 덴노와 같이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 상징적인 존재로 그 위상을 재정립한다. 실질적인 통치권은 쿠데타를 주도한 한인 세력에게 넘어갔으며 청의 근본적인 개혁을 추진했다. 그들은 만주족 황실의 상징적 가치를 인정하지만 권한을 제한하고자 헌법을 제정하였다. 일본과 독일의 헌법학자들을 초빙하여 입헌군주제 모델을 차용, 1905년 중국사 최초의 헌법 광서헌법을 제정 및 공포하였다. 1910년에는 의회가 출범하며 황제는 상징적인 존재로 남고 의회 정치가 시작되었다. 이와 동시에 청을 좀먹던 군벌의 영향력과 자율성을 내각 하에 성공적으로 두었으며, 근대적 지방자치 제도의 실험도 일부 시행되었다. 전국적으로 일정한 자격을 가진 남성들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었으며, 그에 따라 하원인 중의원 선거가 진행되었다. 상원인 참의원은 황족, 지방 유력자, 혁명 세력 등으로 구성되었다. | 1898년, 변법파의 상소로 광서제는 친위 쿠데타를 시도한다. 량치차오, 캉유웨이와 같은 변법파의 주도로 이루어진 쿠데타는 위안스카이, 장즈퉁과 같은 실력자들의 지지 아래 자금성을 포위하고 서태후와 그 세력을 축출하는 데 성공한다. 광서제는 쿠데타의 성공으로 권력을 되찾는데 성공하나, 일본의 메이지 덴노와 같이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 상징적인 존재로 그 위상을 재정립한다. 실질적인 통치권은 쿠데타를 주도한 한인 세력에게 넘어갔으며 청의 근본적인 개혁을 추진했다. 그들은 만주족 황실의 상징적 가치를 인정하지만 권한을 제한하고자 헌법을 제정하였다. 일본과 독일의 헌법학자들을 초빙하여 입헌군주제 모델을 차용, 1905년 중국사 최초의 헌법 광서헌법을 제정 및 공포하였다. 과거제는 폐지되었고 근대적 관료 선발 제도를 마련한다. 1910년에는 의회가 출범하며 황제는 상징적인 존재로 남고 의회 정치가 시작되었다. 이와 동시에 청을 좀먹던 군벌의 영향력과 자율성을 내각 하에 성공적으로 두었으며, 근대적 지방자치 제도의 실험도 일부 시행되었다. 전국적으로 일정한 자격을 가진 남성들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었으며, 그에 따라 하원인 중의원 선거가 진행되었다. 상원인 참의원은 황족, 지방 유력자, 혁명 세력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전의 최고의사결정기관이던 군기처는 정치적 권력을 상실하고 황실의 기관으로 재편된다. 청은 만주족, 한족, 몽골족 등의 다민족 제국을 표방하며 청 황제는 중화 문명의 수호자를 표방한다. 그러나 중의원의 대다수는 한족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군대 역시 재편되었다. 팔기군, 녹영 등의 군사 제도는 완전히 폐지되었으며 징병제를 도입해 국민군의 성격을 지니게 된다. 지방 군벌은 해체되었고 황제의 군 통수권을 공고히 하였다. 새로이 창설된 중앙군정위원회(中央軍政委員會)는 실질적으로 군사 정책을 결정하고 지휘하는 권한을 가지게 된다. 초대 중앙군정위원회 위원장은 위안스카이이다. 중앙군정위원회는 내각총리대신과 내각에 책임을 지며, 군 예산은 중의원과 참의원, 그리고 황제의 승인이 있어야만 통과된다. 지방 병력은 중앙군으로 소속되며 지방 군벌의 성장을 막기 위해 전면 재배치 되었다. 독일인, 영국인, 일본인 교관을 초빙한 군관학교도 설립되어 선진 군사 기술을 습득하게 하였다. | ||
|- | |- | ||
|} | |} |
2025년 7월 30일 (수) 01:00 기준 최신판
![]() |
대청국 大淸國 1898년, 변법파의 상소로 광서제는 친위 쿠데타를 시도한다. 량치차오, 캉유웨이와 같은 변법파의 주도로 이루어진 쿠데타는 위안스카이, 장즈퉁과 같은 실력자들의 지지 아래 자금성을 포위하고 서태후와 그 세력을 축출하는 데 성공한다. 광서제는 쿠데타의 성공으로 권력을 되찾는데 성공하나, 일본의 메이지 덴노와 같이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 상징적인 존재로 그 위상을 재정립한다. 실질적인 통치권은 쿠데타를 주도한 한인 세력에게 넘어갔으며 청의 근본적인 개혁을 추진했다. 그들은 만주족 황실의 상징적 가치를 인정하지만 권한을 제한하고자 헌법을 제정하였다. 일본과 독일의 헌법학자들을 초빙하여 입헌군주제 모델을 차용, 1905년 중국사 최초의 헌법 광서헌법을 제정 및 공포하였다. 과거제는 폐지되었고 근대적 관료 선발 제도를 마련한다. 1910년에는 의회가 출범하며 황제는 상징적인 존재로 남고 의회 정치가 시작되었다. 이와 동시에 청을 좀먹던 군벌의 영향력과 자율성을 내각 하에 성공적으로 두었으며, 근대적 지방자치 제도의 실험도 일부 시행되었다. 전국적으로 일정한 자격을 가진 남성들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었으며, 그에 따라 하원인 중의원 선거가 진행되었다. 상원인 참의원은 황족, 지방 유력자, 혁명 세력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전의 최고의사결정기관이던 군기처는 정치적 권력을 상실하고 황실의 기관으로 재편된다. 청은 만주족, 한족, 몽골족 등의 다민족 제국을 표방하며 청 황제는 중화 문명의 수호자를 표방한다. 그러나 중의원의 대다수는 한족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군대 역시 재편되었다. 팔기군, 녹영 등의 군사 제도는 완전히 폐지되었으며 징병제를 도입해 국민군의 성격을 지니게 된다. 지방 군벌은 해체되었고 황제의 군 통수권을 공고히 하였다. 새로이 창설된 중앙군정위원회(中央軍政委員會)는 실질적으로 군사 정책을 결정하고 지휘하는 권한을 가지게 된다. 초대 중앙군정위원회 위원장은 위안스카이이다. 중앙군정위원회는 내각총리대신과 내각에 책임을 지며, 군 예산은 중의원과 참의원, 그리고 황제의 승인이 있어야만 통과된다. 지방 병력은 중앙군으로 소속되며 지방 군벌의 성장을 막기 위해 전면 재배치 되었다. 독일인, 영국인, 일본인 교관을 초빙한 군관학교도 설립되어 선진 군사 기술을 습득하게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