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블레이크의 가장 큰 이점은 바로 '''무한한 회복력과 초인적인 신체 능력'''이 가장 크다. 아무리 강한 무기와 힘을 가지고 있어도 부상을 입고 무력화가 되면 무용지물이 되지만 블레이크는 인페르노로 인해 왠만한 부상들은 그 자리에서 초 단위로 회복해버린다. 때문에 작중 그가 싸우는 모습을 보면 거의 몸을 아끼지 않는다고 봐도 될 정도로 앞장서며 총탄이 날아와도 엄폐하지 않고 맞으면서 돌진한다. 또한 신체 일부가 절단이 되거나 완전히 파괴되어도 떨어져 나간 신체를 갖다 붙히거나 다시 재생해버리는 기염을 토해버려 거의 죽지 않는 불사신의 모습을 보이기도 하며 중후반부에 가서는 머리에 총탄을 맞아 뇌가 파괴되었는데도 잠시후 일어서 멀쩡히 머리에 총탄을 맞은 채로 적 뒤에 서있는다. 그렇다고 해서 그 고통이 느껴지지 않는 것도 아니고 회복만 될 뿐 고통은 그대로 느껴짐에도 그 고통을 참고 싸우는 블레이크의 인내력과 정신력 또한 초인적일 수준이다. |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블레이크의 가장 큰 이점은 바로 '''무한한 회복력과 초인적인 신체 능력'''이 가장 크다. 아무리 강한 무기와 힘을 가지고 있어도 부상을 입고 무력화가 되면 무용지물이 되지만 블레이크는 인페르노로 인해 왠만한 부상들은 그 자리에서 초 단위로 회복해버린다. 때문에 작중 그가 싸우는 모습을 보면 거의 몸을 아끼지 않는다고 봐도 될 정도로 앞장서며 총탄이 날아와도 엄폐하지 않고 맞으면서 돌진한다. 또한 신체 일부가 절단이 되거나 완전히 파괴되어도 떨어져 나간 신체를 갖다 붙히거나 다시 재생해버리는 기염을 토해버려 거의 죽지 않는 불사신의 모습을 보이기도 하며 중후반부에 가서는 머리에 총탄을 맞아 뇌가 파괴되었는데도 잠시후 일어서 멀쩡히 머리에 총탄을 맞은 채로 적 뒤에 서있는다. 그렇다고 해서 그 고통이 느껴지지 않는 것도 아니고 회복만 될 뿐 고통은 그대로 느껴짐에도 그 고통을 참고 싸우는 블레이크의 인내력과 정신력 또한 초인적일 수준이다. | ||
작중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인페르노 혈청이 지속적으로 블레이크의 신체 구조를 바꾸며 블레이크의 신체 자체가 인페르노 신체로 변이가 되는 상황이 일어난다. 요약해서 말하자면 블레이크 자체의 신체 능력이 인페르노화 되었다. [[오펜시브:마지노선]]에서는 모로스가 스스로 동면 상태로 들어가며 인페르노 혈청의 능력이 모두 잠기는 데도 모로스의 능력 없이 어느 정도의 총상이나 상처는 회복하며 차를 뒤집어 버리거나 2층 이상 높이를 뛰어넘는 등 초인적인 신체 능력을 보이게 된다. 이 능력들은 모로스 혈청이 블레이크의 신체에서 나가도 구현 가능한 블레이크 순수의 능력이 되었다. | 작중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인페르노 혈청이 지속적으로 블레이크의 신체 구조를 바꾸며 블레이크의 신체 자체가 인페르노 신체로 변이가 되는 상황이 일어난다. 요약해서 말하자면 블레이크 자체의 신체 능력이 인페르노화 되었다. [[오펜시브: 마지노선]]에서는 모로스가 스스로 동면 상태로 들어가며 인페르노 혈청의 능력이 모두 잠기는 데도 모로스의 능력 없이 어느 정도의 총상이나 상처는 회복하며 차를 뒤집어 버리거나 2층 이상 높이를 뛰어넘는 등 초인적인 신체 능력을 보이게 된다. 이 능력들은 모로스 혈청이 블레이크의 신체에서 나가도 구현 가능한 블레이크 순수의 능력이 되었다. | ||
====광폭화==== | ====광폭화==== | ||
57번째 줄: | 57번째 줄: | ||
[[오펜시브]]에서 [[네메시스]]와의 1차전에서 발현된 인페르노 능력. 그러나 [[모로스]] 개체에서 발현된 능력이 아닌 인페르노로 변이 중인 블레이크에게 발현된 능력이다. '''즉 모로스 혈청에는 존재하지 않는 순수 블레이크의 능력'''. 정말로 블레이크의 혈청인 [[모로스]]의 이명답게 '파멸'에 가까운 존재가 된다. 단연 세계관에 등장하는 바이오웨어 무장 인물 중 최강이자 세계관의 모든 등장인물들을 통틀어 압도적인 [[세계관 최강자]]가 된다. | [[오펜시브]]에서 [[네메시스]]와의 1차전에서 발현된 인페르노 능력. 그러나 [[모로스]] 개체에서 발현된 능력이 아닌 인페르노로 변이 중인 블레이크에게 발현된 능력이다. '''즉 모로스 혈청에는 존재하지 않는 순수 블레이크의 능력'''. 정말로 블레이크의 혈청인 [[모로스]]의 이명답게 '파멸'에 가까운 존재가 된다. 단연 세계관에 등장하는 바이오웨어 무장 인물 중 최강이자 세계관의 모든 등장인물들을 통틀어 압도적인 [[세계관 최강자]]가 된다. | ||
1부에서는 최소한 팔과 등, 턱 등 상반신 일부만 변이되어 최소한 이성을 유지한 상태였으나 [[오펜시브:마지노선]]에서는 블레이크가 완전한 인페르노화가 되어버리면서 1부 때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강력해진다. 외관도 1부와는 다르게 아예 인페르노 그 자체의 모습을 갖춘데다가 자신의 혈청인 [[모로스]]와 달리 온몸에 가시가 솟고 붉게 타오르는 등 아예 지옥에서 기어올라온 화신의 비주얼을 가지고 있다. 1부에선 단순히 상대의 움직임만 둔하게 만들었지만 3부에서는 되려 자신의 능력을 극대화시키고 상대의 능력을 상쇄시키거나 반사하는 능력을 보이게 된다. 3편에서의 [[네메시스]]전에서는 네메시스의 능력을 상쇄시켜 아예 신체 변이가 본인 마음대로 되지 않도록 저지했다. 또한 시간이 가면 갈수록 능력 자체를 작동조차 못하게 해놨으며 네메시스가 1부때 광폭화한 블레이크에게 죽을 뻔한 후 그 능력을 파훼하기 위해 카운터 능력을 가지고 왔지만 오히려 능력으로 인한 피해를 네메시스 본인이 보았다.<ref> 네메시스의 능력인 치유가 불가능한 공격을 광폭화의 효과로 자신의 치유 능력이 작동하지 않아 상처와 잘려나간 다리가 회복되지 않았고 블레이크의 광폭화를 카운터하기 위해 신경계 억제 능력을 가지고 왔지만 되리여 네메시스 본인의 신경계가 억제되어 마비되었다.</ref> | 1부에서는 최소한 팔과 등, 턱 등 상반신 일부만 변이되어 최소한 이성을 유지한 상태였으나 [[오펜시브: 마지노선]]에서는 블레이크가 완전한 인페르노화가 되어버리면서 1부 때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강력해진다. 외관도 1부와는 다르게 아예 인페르노 그 자체의 모습을 갖춘데다가 자신의 혈청인 [[모로스]]와 달리 온몸에 가시가 솟고 붉게 타오르는 등 아예 지옥에서 기어올라온 화신의 비주얼을 가지고 있다. 1부에선 단순히 상대의 움직임만 둔하게 만들었지만 3부에서는 되려 자신의 능력을 극대화시키고 상대의 능력을 상쇄시키거나 반사하는 능력을 보이게 된다. 3편에서의 [[네메시스]]전에서는 네메시스의 능력을 상쇄시켜 아예 신체 변이가 본인 마음대로 되지 않도록 저지했다. 또한 시간이 가면 갈수록 능력 자체를 작동조차 못하게 해놨으며 네메시스가 1부때 광폭화한 블레이크에게 죽을 뻔한 후 그 능력을 파훼하기 위해 카운터 능력을 가지고 왔지만 오히려 능력으로 인한 피해를 네메시스 본인이 보았다.<ref> 네메시스의 능력인 치유가 불가능한 공격을 광폭화의 효과로 자신의 치유 능력이 작동하지 않아 상처와 잘려나간 다리가 회복되지 않았고 블레이크의 광폭화를 카운터하기 위해 신경계 억제 능력을 가지고 왔지만 되리여 네메시스 본인의 신경계가 억제되어 마비되었다.</ref> | ||
상대 능력을 억제시키는 능력은 인페르노 혈청들에게는 물론 심지어 인간에게까지 적용된다. 광폭화가 진행 중인 블레이크의 주변에 있으면 인근 전원에게 두통을 유발시키며 근육 활동을 둔화시키는 광역기인 모양.<ref>등장인물의 말을 들어보면 몸이 무거워지고 두통 때문에 시야가 흐려진다고 한다.</ref>[[오펜시브]]에서 네메시스와의 전투에선 그 주변에 있던 같은 크라이시스 대원들도 전투에 임하지 못할 정도로 두통과 근육통을 느꼈다. | 상대 능력을 억제시키는 능력은 인페르노 혈청들에게는 물론 심지어 인간에게까지 적용된다. 광폭화가 진행 중인 블레이크의 주변에 있으면 인근 전원에게 두통을 유발시키며 근육 활동을 둔화시키는 광역기인 모양.<ref>등장인물의 말을 들어보면 몸이 무거워지고 두통 때문에 시야가 흐려진다고 한다.</ref>[[오펜시브]]에서 네메시스와의 전투에선 그 주변에 있던 같은 크라이시스 대원들도 전투에 임하지 못할 정도로 두통과 근육통을 느꼈다. | ||
80번째 줄: | 80번째 줄: | ||
=====한계 및 단점===== | =====한계 및 단점===== | ||
{{OEU 인용문|상징색=#641111|"그 힘은 확실히 [[가일란트 코프]]와의 승부에서 승패를 뒤집을 정도로 압도적인 힘은 맞아요. 이명 그대로 상대하는 모두를 파멸로 이끌어내죠. '''자기 자신까지 포함해서'''..<BR>블레이크씨, 왠만해서는 더이상 그 힘을 꺼내지 마요. 자기 자신을 불태우고 생명을 깎아먹어요. 명심하세요. '''스스로를 죽음으로 밀어 넣는 저주 받은 힘이에요'''."|{{ | {{OEU 인용문|상징색=#641111|"그 힘은 확실히 [[가일란트 코프]]와의 승부에서 승패를 뒤집을 정도로 압도적인 힘은 맞아요. 이명 그대로 상대하는 모두를 파멸로 이끌어내죠. '''자기 자신까지 포함해서'''..<BR>블레이크씨, 왠만해서는 더이상 그 힘을 꺼내지 마요. 자기 자신을 불태우고 생명을 깎아먹어요. 명심하세요. '''스스로를 죽음으로 밀어 넣는 저주 받은 힘이에요'''."|{{right|-[[셰이 매카시]]-}}}} | ||
{{OEU 인용문|상징색=#641111|"우리 [[인페르노]]도 감당하기 힘든 능력이다. 몸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 만으로도 벅찬 능력이지. 아무리 네 몸이 인페르노로 변이하고 있더라도 결국엔 베이스가 인간의 몸이기 때문에 좋은 꼴은 절대 보지 못한다."|{{right|-[[모로스]]-}}}} | |||
세계관 내에서 그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능력을 가진 만큼 그에 대한 심각한 결함과 한계가 존재한다. 이명인 파멸에 걸맞게 모든 것을 파멸로 몰아 넣는 만큼 '''블레이크 본인도 파멸로 몰아넣을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광폭화 이후 찾아오는 신체의 부담, 피아식별 불가능, 자멸성 신체 붕괴 등등 여러모로 블레이크의 몸에 매우 치명적인 부작용을 여럿 가지고 있다. [[모로스]]와 [[셰이 매카시|셰이]]의 언급에 의하면 광폭화의 능력은 인페르노들 조차도 감당하기 힘든 힘이면서 스스로의 생명을 불태우는 힘이라고 언급했다. | |||
==전용 장비== | ==전용 장비== | ||
110번째 줄: | 113번째 줄: | ||
}} | }} | ||
[[오펜시브:마지노선]] 때 블레이크가 이용하는 장비. 말이 장비지 블레이크의 목 자체가 개조된 기계이다. 혈청의 부작용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신체에 피해를 가하며 시한부 인생을 살게 하자 셰이 매카시와 둘이서 만든 장비이다. <ref>보고서 내용에 따르면 세이의 의학 지식과 블레이크가 군사학교에 다닐 당시 배운 기계공학 지식으로 만들었다고 한다.</ref><ref>[[오펜시브:업라이징]] 이후 도망자 신세일 때 만든 것인데, 도망자 신세에서 그 열악한 환경에서 사람의 목을 개조하는 시술을 벌인 꼴이다. 그것도 트랜스닥터 없이.</ref> 혈청이 신체를 지속적으로 망가트리는 것을 막고 혈청의 기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모로스가 신체를 지키기 위해 직접 동면까지 하며 억제 효과는 좋으나 어디까지나 억제만 할 뿐 부작용 자체를 막지는 못한다고 한다. 부작용 해결법을 찾기 전까지 블레이크의 신체가 좀 더 오래 버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이라고 한다. | [[오펜시브: 마지노선]] 때 블레이크가 이용하는 장비. 말이 장비지 블레이크의 목 자체가 개조된 기계이다. 혈청의 부작용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신체에 피해를 가하며 시한부 인생을 살게 하자 셰이 매카시와 둘이서 만든 장비이다. <ref>보고서 내용에 따르면 세이의 의학 지식과 블레이크가 군사학교에 다닐 당시 배운 기계공학 지식으로 만들었다고 한다.</ref><ref>[[오펜시브: 업라이징]] 이후 도망자 신세일 때 만든 것인데, 도망자 신세에서 그 열악한 환경에서 사람의 목을 개조하는 시술을 벌인 꼴이다. 그것도 트랜스닥터 없이.</ref> 혈청이 신체를 지속적으로 망가트리는 것을 막고 혈청의 기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모로스가 신체를 지키기 위해 직접 동면까지 하며 억제 효과는 좋으나 어디까지나 억제만 할 뿐 부작용 자체를 막지는 못한다고 한다. 부작용 해결법을 찾기 전까지 블레이크의 신체가 좀 더 오래 버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이라고 한다. | ||
혈청의 부작용을 억제함과 동시에 혈청의 능력도 제한되게 된다. 때문에 1편에서 보여주었던 신체 변형이나 초월적인 회복 능력, 신체 능력 또한 제한되게 된다. 3편에서는 이러한 이유 때문에 1편처럼 화려한 전투 장면은 볼 수 없게 되었고, 격투나 총격전 위주로 보여준다. 하지만 이런 이유와는 별개로 혈청으로 인해 신체 자체가 변이되어 약간의 회복 능력과 신체 능력이 기본적으로 남아있게 되어 여전히 인간 이상의 신체 능력을 보여주긴 한다. 다만 그 모습이 1편 때와 비교하면 많이 낮아질 뿐. | 혈청의 부작용을 억제함과 동시에 혈청의 능력도 제한되게 된다. 때문에 1편에서 보여주었던 신체 변형이나 초월적인 회복 능력, 신체 능력 또한 제한되게 된다. 3편에서는 이러한 이유 때문에 1편처럼 화려한 전투 장면은 볼 수 없게 되었고, 격투나 총격전 위주로 보여준다. 하지만 이런 이유와는 별개로 혈청으로 인해 신체 자체가 변이되어 약간의 회복 능력과 신체 능력이 기본적으로 남아있게 되어 여전히 인간 이상의 신체 능력을 보여주긴 한다. 다만 그 모습이 1편 때와 비교하면 많이 낮아질 뿐. | ||
167번째 줄: | 170번째 줄: | ||
| width="15%" style="background-color:#b65f5f; border: 1px solid #241c1f;"| {{c|#1e1212|X}} | | width="15%" style="background-color:#b65f5f; border: 1px solid #241c1f;"| {{c|#1e1212|X}} | ||
|- | |- |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532a2a; border: 1px solid #241c1f" | '''[[오펜시브:마지노선|{{c|#dfbaba|{{left|오펜시브:마지노선}}}}]]'''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532a2a; border: 1px solid #241c1f" | '''[[오펜시브: 마지노선|{{c|#dfbaba|{{left|오펜시브: 마지노선}}}}]]''' | ||
|- | |- | ||
| width="15%" style="background-color:#834343; border: 1px solid #241c1f;"| {{c|#dfbaba|EP.10-4}} | | width="15%" style="background-color:#834343; border: 1px solid #241c1f;"| {{c|#dfbaba|EP.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