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 제2 공화국 (CLBI):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 colspan="2"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1849년 3월 26일 ~ 1966년 4월 23일
! colspan="2"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1849년 3월 26일 ~ 1966년 4월 23일
|-
|-
! width=50% style="background:#1A1A1A; height:150px; border:1px solid #280D28" | [[파일:아이티 제2 공화국 기 1 (CLBI).svg|250px|link=]]
! width=50% style="background:#1A1A1A; height:150px; border:1px solid #280D28" | [[파일:아이티 제2 공화국 기 1 (CLBI).svg|250px|link=|테두리]]
! style="background:#1A1A1A; border:1px solid #280D28" | [[파일:아이티 제2 공화국 국장 1 (CLBI).svg|160px|link=]]
! style="background:#1A1A1A; border:1px solid #280D28" | [[파일:아이티 제2 공화국 국장 1 (CLBI).svg|160px|link=]]
|-
|-
23번째 줄: 23번째 줄:
|-
|-
! width=32%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공식 명칭
! width=32%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공식 명칭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 [[파일:프랑스어 아이콘 (CLBI).png|16px|link=|테두리]]프랑스어. République d’Haïti<br>• [[파일:아이티어 아이콘 (CLBI).png|14px|link=|테두리]]{{글씨 크기|9|아이티어. Repiblik d Ayiti}}<br>• [[파일:영어 (영국) 아이콘 (CLBI).png|14px|link=|테두리]][[파일:영어 (미국) 아이콘 (CLBI).png|14px|link=|테두리]]{{글씨 크기|9|영어. Republic of Haiti}}<br>• [[파일:중국어 아이콘 (CLBI).png|14px|link=|테두리]]{{글씨 크기|9|중국어. {{루비 문자|海地共和国|Hǎidì Gònghéguó}}}}<br>• [[파일:한국어 아이콘 (CLBI).png|14px|link=|테두리]]{{글씨 크기|9|한국어. 아이티 공화국}}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비선택텍스트 (CLBI)|내용=}} [[파일:프랑스어 아이콘 (CLBI).png|16px|link=|테두리]]프랑스어. République d’Haïti<br>{{비선택텍스트 (CLBI)|내용=}} [[파일:아이티어 아이콘 (CLBI).png|14px|link=|테두리]]아이티 크레올. Repiblik d Ayiti<br>{{비선택텍스트 (CLBI)|내용=}} [[파일:영어 (영국) 아이콘 (CLBI).png|14px|link=|테두리]][[파일:영어 (미국) 아이콘 (CLBI).png|14px|link=|테두리]]영어. Republic of Haiti<br>{{비선택텍스트 (CLBI)|내용=}} [[파일:중국어 아이콘 (CLBI).png|14px|link=|테두리]]중국어. {{루비 문자|海地共和国|Hǎidì Gònghéguó}}<br>{{비선택텍스트 (CLBI)|내용=}} [[파일:한국어 아이콘 (CLBI).png|14px|link=|테두리]]한국어. 아이티 공화국
|-
|-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속칭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속칭
42번째 줄: 42번째 줄:
|-
|-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후신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후신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정체성상 후신'''<br>[[파일:도미니카 제3 공화국 기 1 (CLBI).svg|16px|link=|테두리]] [[도미니카 제3 공화국 (CLBI)|도미니카 제3 공화국]]/아이티 임시행정부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정체성상 후신'''<br>[[파일:아이티 사회주의 공화국 기 1 (CLBI).svg|16px|link=|테두리]] [[아이티 사회주의 공화국 (CLBI)|아이티 사회주의 공화국]]
|-
|-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주목할 만한 사건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주목할 만한 사건
49번째 줄: 49번째 줄:
|-
|-
| style="vertical-align:top; border:1px solid #1A1A1A;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 style="vertical-align:top; border:1px solid #1A1A1A;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div style="margin-top:-12px">• '''XX''' XXXX년 X월 X일
<div style="margin-top:-12px">{{비선택텍스트 (CLBI)|내용=}} '''성립''' 1849년 3월 26일<br>{{비선택텍스트 (CLBI)|내용=•}} '''아이티 내전''' 1963년 9월 28일<br>
|-
|-
{{펼접끝}}
{{펼접끝}}
62번째 줄: 62번째 줄:
|-
|-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공용어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공용어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프랑스어<br>아이티어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프랑스어<br>아이티 크레올
|-
|-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데모님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데모님
88번째 줄: 88번째 줄:
! width=16% rowspan="2"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지도자
! width=16% rowspan="2"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지도자
! width=16%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국가 수반
! width=16%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국가 수반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제50대 - [https://en.wikipedia.org/wiki/Franck_Lavaud 프랑크 라보] 대통령 <font color="#7F7F7F"><sup>1963년 7월 11일 ~ 1964년 6월 19일</sup></font><br>제51대 - [https://en.wikipedia.org/wiki/L%C3%A9on_Cantave 레옹 캉타브] 대통령 <font color="#7F7F7F"><sup>1964년 6월 19일 ~ 1966년 4월 23일</sup></font>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제49대 - [https://fr.wikipedia.org/wiki/Louis_Déjoie 루이 데주아] 대통령 <font color="#7F7F7F"><sup> ~ 1963년 5월 25일</sup></font><br>제50대 - [https://en.wikipedia.org/wiki/Franck_Lavaud 프랑크 라보] 대통령 <font color="#7F7F7F"><sup>1963년 5월 25일 ~ </sup></font>
|-
|-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국가 부수반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정부 수반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제1대 - [https://en.wikipedia.org/wiki/Paul_Magloire 폴 마글루아르] 부통령 <font color="#7F7F7F"><sup>1963년 7월 11일 ~ 1964년 6월 19일</sup></font><br>제2대 - [https://www.haiti-reference.info/pages/plan/histoire-et-societe/forces-de-securite/militaires/chefs-detat-major/ 앙토니오 케브로] 부통령 <font color="#7F7F7F"><sup>1964년 6월 19일 ~ 1966년 4월 23일</sup></font>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
! rowspan="2"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지도부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입법부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Assembly_(Haiti) 과도 입법위원회] <font color="#7F7F7F"><sup>1964년 ~ 1966년</sup></font><br>[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Assembly_(Haiti) 공화국 의회] <font color="#7F7F7F"><sup>1966년 ~ 1966년 4월 23일</sup></font>
|-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행정부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https://en.wikipedia.org/wiki/Government_of_Haiti 과도 행정부] <font color="#7F7F7F"><sup>1963년 ~ 1964년 6월</sup></font><br>[https://en.wikipedia.org/wiki/Armed_Forces_of_Haiti 군사 통치위원회] <font color="#7F7F7F"><sup>1964년 6월 ~ 1966년</sup></font><br>[https://en.wikipedia.org/wiki/Government_of_Haiti 공화국 행정부] <font color="#7F7F7F"><sup>1966년 ~ 1966년 4월 23일</sup></font>
|-
|-
! colspan="2"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여당
! colspan="2"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여당
104번째 줄: 97번째 줄:
|-
|-
! colspan="2"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군대
! colspan="2"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0A0909" | 군대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파일:아이티 제2 공화국 기 1 (CLBI).svg|16px|link=|테두리]] [https://en.wikipedia.org/wiki/Armed_Forces_of_Haiti 아이티군]
| style="border:1px solid #280D28; background:#1A1A1A; color:#E4E4E4" | [[파일:아이티군 상징 1 (CLBI).png|16px|link=]] [https://en.wikipedia.org/wiki/Armed_Forces_of_Haiti 아이티군]
|-
|-
|}
|}
114번째 줄: 107번째 줄:


== 역사 ==
== 역사 ==
{{Quote box (CLBI)|설명|출처}}


== 정치 ==
== 정치 ==
121번째 줄: 113번째 줄:


=== 비고<sub>(Obsidian)<sub/> ===
=== 비고<sub>(Obsidian)<sub/> ===
아이티는 오랜 미국의 강점기에 형성된 물라토 계층의 지배체제와 흑인 하류층간의 갈등은 국가를 병들게 하고 있으나, 끝내 도미니카 공화국의 침공으로 일부 영토를 강탈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트루히요의 죽음으로 카리브 군단이 도미니카를 침공하는 시점에서도 아이티는 국내정세가 굉장히 혼란스러워서 고토 수복을 시도하지 않는다.
아이티는 오랜 미국의 강점기에 형성된 물라토 계층의 지배체제와 흑인 하류층간의 갈등은 국가를 병들게 하고 있으나, 끝내 도미니카 공화국의 침공으로 일부 영토를 강탈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카리브 군단이 도미니카를 침공하는 시점에서도 아이티는 국내정세가 굉장히 혼란스러워서 고토 수복을 시도하지 않는다.
 
1963년 3월 카리브 군단의 도미니카 침공이 실패한 이후 도미니카 공화국의 침공 위협이 커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1963년 5월 아이티 대통령 데주아가 행정부, 군 당국의 지원을 받은 쿠데타를 통해 대통령 직에서 물러난다.
 
쿠데타는 장관 프랑크 라보가 주도했는데, 그는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민주주의와 아이티의 제도를 강화할것을 약속했다.
 
1963년 9월 28일 아이티 민족해방인민당(PPLN)은 무능한 아이티 정부에 대항해 전국적인 게릴라 투쟁을 촉구하는 카으아이시앵 선언을 발표했다. 아이티군이 동원됨에 따라 게릴라전과 소규모 봉기가 전국에서 일어났다.
 
1966년 4월 포르토프랭스에서 민족해방인민당의 봉기와 함께 아이티 정부를 향한 총공세로 인해 아이티 전역의 도심부에서 시가전이 벌어졌다. PPLN은 그동안 아이티 정부에 대항하는 소규모 반군 활동을 이어왔지만, 이번 사태 같은 대규모 교전은 처음이었다.
 
아이티 정부는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반란을 종결시키기 위해 군을 동원함과 동시에 라보 정부는 이번 봉기에서 승리할것임을 선언했다.


1966년 4월 23일 PPLN이 오랜 반란 끝에 아이티 정부를 무너뜨리고 포르토프랭스를 점령했다.
=== 외부 문서 ===
=== 외부 문서 ===



2025년 7월 24일 (목) 23:02 판

[ 펼치기 · 접기 ]
  프로젝트 디스코드 •  • 유튜브 • 트위터
툴팁
 Tooltip text

아이티 공화국
1849년 3월 26일 ~ 1966년 4월 23일
국기 국장
이름
공식 명칭 프랑스어. République d’Haïti
아이티 크레올. Repiblik d Ayiti
영어. Republic of Haiti
중국어. 海地共和国(Hǎidì Gònghéguó)
한국어. 아이티 공화국
속칭 아이티 제2 공화국(프랑스어: Deuxième République d'Haïti)
단결이 힘이다
(프랑스어: L'Union fait la force)
역사
성립일 1849년 3월 26일
해체일 1966년 4월 23일
전신 정체성상 전신
아이티 제2 제국
후신 정체성상 후신
아이티 사회주의 공화국
주목할 만한 사건
[ 펼치기 · 접기 ]
성립 1849년 3월 26일
아이티 내전 1963년 9월 28일
인문 환경
수도 포르토프랭스
국교 로마 가톨릭
공용어 프랑스어
아이티 크레올
데모님 아이티인
총인구 약 3,050,000명 1940년 집계
경제
화폐 아이티 구르드
경제권 없음
정치
독립성 주권국
지도자 국가 수반 제49대 - 루이 데주아 대통령 ~ 1963년 5월 25일
제50대 - 프랑크 라보 대통령 1963년 5월 25일 ~
정부 수반
여당
군대 아이티군

개요

역사

정치

참고

비고(Obsidian)

아이티는 오랜 미국의 강점기에 형성된 물라토 계층의 지배체제와 흑인 하류층간의 갈등은 국가를 병들게 하고 있으나, 끝내 도미니카 공화국의 침공으로 일부 영토를 강탈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카리브 군단이 도미니카를 침공하는 시점에서도 아이티는 국내정세가 굉장히 혼란스러워서 고토 수복을 시도하지 않는다.

1963년 3월 카리브 군단의 도미니카 침공이 실패한 이후 도미니카 공화국의 침공 위협이 커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1963년 5월 아이티 대통령 데주아가 행정부, 군 당국의 지원을 받은 쿠데타를 통해 대통령 직에서 물러난다.

쿠데타는 장관 프랑크 라보가 주도했는데, 그는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민주주의와 아이티의 제도를 강화할것을 약속했다.

1963년 9월 28일 아이티 민족해방인민당(PPLN)은 무능한 아이티 정부에 대항해 전국적인 게릴라 투쟁을 촉구하는 카으아이시앵 선언을 발표했다. 아이티군이 동원됨에 따라 게릴라전과 소규모 봉기가 전국에서 일어났다.

1966년 4월 포르토프랭스에서 민족해방인민당의 봉기와 함께 아이티 정부를 향한 총공세로 인해 아이티 전역의 도심부에서 시가전이 벌어졌다. PPLN은 그동안 아이티 정부에 대항하는 소규모 반군 활동을 이어왔지만, 이번 사태 같은 대규모 교전은 처음이었다.

아이티 정부는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반란을 종결시키기 위해 군을 동원함과 동시에 라보 정부는 이번 봉기에서 승리할것임을 선언했다.

1966년 4월 23일 PPLN이 오랜 반란 끝에 아이티 정부를 무너뜨리고 포르토프랭스를 점령했다.

외부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