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번째 줄: | 26번째 줄: | ||
<div style="border:none; background:#303D46;color:#FFF;padding:7px;"> | <div style="border:none; background:#303D46;color:#FFF;padding:7px;"> | ||
[[지크프리트급 전함|{{글씨 색|orange|지크프리트급 전함}}]]를 계승하면서 더 확장된 '''노이기니아급 전함'''은 이전 함급의 42cm 거포 8문을 그대로 탑재했다. 아직 16인치 주포로 무장한 [[영국 왕립해군|{{글씨 색|orange|영국 왕립해군}}]], [[미합중국 해군|{{글씨 색|orange|미합중국 해군}}]], [[일본 제국 해군|{{글씨 색|orange|일본 제국 해군}}]]의 함들의 공격을 방어할 수 있었고, 그들보다 더 먼거리에서 공격할 수 있었다. 이전 함에 있었던 3번, 4번 주포탑의 간격을 극복했으며, [[수상기|{{글씨 색|orange|수상기}}]] 2기를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이전에는 [[포곽|{{글씨 색|orange|포곽}}]]식이었던 [[부포|{{글씨 색|orange|부포}}]]를 포탑식으로 변경했다. 또한, 시험적으로 [[디젤 엔진|{{글씨 색|orange|디젤 엔진}}]]을 채택하여 154,000 [[마력|{{글씨 색|orange|마력}}]]을 낼 수 있게했고, 최대 | [[지크프리트급 전함|{{글씨 색|orange|지크프리트급 전함}}]]를 계승하면서 더 확장된 '''노이기니아급 전함'''은 이전 함급의 42cm 거포 8문을 그대로 탑재했다. 아직 16인치 주포로 무장한 [[영국 왕립해군|{{글씨 색|orange|영국 왕립해군}}]], [[미합중국 해군|{{글씨 색|orange|미합중국 해군}}]], [[일본 제국 해군|{{글씨 색|orange|일본 제국 해군}}]]의 함들의 공격을 방어할 수 있었고, 그들보다 더 먼거리에서 공격할 수 있었다. 이전 함에 있었던 3번, 4번 주포탑의 간격을 극복했으며, [[수상기|{{글씨 색|orange|수상기}}]] 2기를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이전에는 [[포곽|{{글씨 색|orange|포곽}}]]식이었던 [[부포|{{글씨 색|orange|부포}}]]를 포탑식으로 변경했다. 또한, 시험적으로 [[디젤 엔진|{{글씨 색|orange|디젤 엔진}}]]을 채택하여 154,000 [[마력|{{글씨 색|orange|마력}}]]을 낼 수 있게했고, 최대 28 [[노트|{{글씨 색|orange|노트}}]]라는 속도로 '''고속전함'''이라 불렸다. 다만 디젤 엔진을 채택하면서 운영비나 유류비가 급격히 증가했다. 다만 이후에 합성 석유 사업이 성장한 뒤에 유류 공급의 불안정성은 어느정도 해결되었다. | ||
자매함의 이름은 차례차례 [[노이기니아|{{글씨 색|orange|노이기니아}}]], [[자모아|{{글씨 색|orange|자모아}}]], [[카메룬|{{글씨 색|orange|카메룬}}]], [[토고란트|{{글씨 색|orange|토고란트}}]], [[키아우초우|{{글씨 색|orange|키아우초우}}]]으로 [[독일 제국의 식민지|{{글씨 색|orange|독일 제국령 식민지}}]]와 [[조차지|{{글씨 색|orange|조차지}}]]에서 따왔다. | 자매함의 이름은 차례차례 [[노이기니아|{{글씨 색|orange|노이기니아}}]], [[자모아|{{글씨 색|orange|자모아}}]], [[카메룬|{{글씨 색|orange|카메룬}}]], [[토고란트|{{글씨 색|orange|토고란트}}]], [[키아우초우|{{글씨 색|orange|키아우초우}}]]으로 [[독일 제국의 식민지|{{글씨 색|orange|독일 제국령 식민지}}]]와 [[조차지|{{글씨 색|orange|조차지}}]]에서 따왔다. |
2021년 4월 27일 (화) 23:33 판
목차
Neuguinea-Klasse Schlachtschiff
ᐳ 1 개요ᐯ 1 개요
지크프리트급 전함를 계승하면서 더 확장된 노이기니아급 전함은 이전 함급의 42cm 거포 8문을 그대로 탑재했다. 아직 16인치 주포로 무장한 영국 왕립해군, 미합중국 해군, 일본 제국 해군의 함들의 공격을 방어할 수 있었고, 그들보다 더 먼거리에서 공격할 수 있었다. 이전 함에 있었던 3번, 4번 주포탑의 간격을 극복했으며, 수상기 2기를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이전에는 포곽식이었던 부포를 포탑식으로 변경했다. 또한, 시험적으로 디젤 엔진을 채택하여 154,000 마력을 낼 수 있게했고, 최대 28 노트라는 속도로 고속전함이라 불렸다. 다만 디젤 엔진을 채택하면서 운영비나 유류비가 급격히 증가했다. 다만 이후에 합성 석유 사업이 성장한 뒤에 유류 공급의 불안정성은 어느정도 해결되었다.
자매함의 이름은 차례차례 노이기니아, 자모아, 카메룬, 토고란트, 키아우초우으로 독일 제국령 식민지와 조차지에서 따왔다.
ᐳ 2 동형함 목록ᐯ 2 동형함 목록
![]() |
![]() |
![]() |
![]() |
![]() |
![]() ![]()
|
ᐳ 3 설계ᐯ 3 설계
ᐳ 4 활동ᐯ 4 활동
ᐳ 5 둘러보기ᐯ 5 둘러보기
![]() | |||||||||||||||||||||||||||||||||||
---|---|---|---|---|---|---|---|---|---|---|---|---|---|---|---|---|---|---|---|---|---|---|---|---|---|---|---|---|---|---|---|---|---|---|---|
[ 펼치기 · 접기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