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민국 38):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37번째 줄: 137번째 줄: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color: #da251d; background: #ffff00;" |[[파일:베트남 국가표 상단용.png|60px]]<br />'''베트남 공화국의 국가<br /><big><big>학생행진곡</big></big>'''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color: #da251d; background: #ffff00;" |[[파일:베트남 국가표 상단용.png|60px]]<br />'''베트남 공화국의 국가<br /><big><big>학생행진곡</big></big>'''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fff;" |<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학생행진곡 악보.png.png|400px]]</div>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fff;" |<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학생행진곡 악보.png|400px]]</div>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da251d; background: #ffff00;" |'''상징국가'''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da251d; background: #ffff00;" |'''상징국가'''

2021년 5월 26일 (수) 16:07 판

[ 국가 목록 ]
[ 세계관 소개 ]
[ 문서 목록 ]


민국 38(民國三十八)은 가장 대표적인 대체역사 소재 중 하나인 중화민국국공내전 승리를 가정한 세계관 입니다.
민국 38년(1949년) 중화민국의 국공내전 승리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변화한 여러 정치, 사회, 문화,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베트남 공화국
Việt Nam Cộng Hòa
국기 국장
Tổ quốc - Công minh - Liêm chính
조국, 공정, 청렴
상징
국가 청년행진곡 [1]
국화
연꽃
위치
width: calc(100% + 5px)
역사
[ 펼치기 · 접기 ]
  • 해방 1945년 9월 13일
  • 월남중국군정부 1945년 9월 21일 ~ 1949년 3월 2일
  • 제1공화국 수립 1949년 3월 2일
  • 2.11 쿠데타 1962년 2월 11일
  • 베트남 내전 1962년 3월 28일 ~ 1963년 11월 9일
  • 제2공화국 수립 1964년 5월 18일
  • 4.16 개혁운동 1985년 4월 16일 ~ 1985년 10월 26일
  • 제3공화국 수립 1985년 11월 7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하노이
최대 도시
사이공
면적
331,212㎢
내수면 비율
1.3%
접경국
중국, 라오스, 캄보디아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98,168,829명
밀도
276명/㎢명/km2
민족 구성
킨족 85.7%, 소수민족 14.3%
출산율
1.79명
평균 수명
75.32세
기대 수명
75.32세
공용어
베트남어
공용 문자
쯔꾸옥응으
종교
국교
없음
분포
불교 70%, 기독교 8.3%, 까오다이교 등의 신흥종교 6.2%, 기타 0.1%
군대
베트남 공화국 국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제1급 행정구
58개 성, 5개 중앙직할시
제2급 행정구
707개 성도, 시, 군
제3급 행정구
10,614개 구, 시, 군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대통령제, 단원제, 단일국가, 공화제, 대륙법계
민주주의 지수
167개국 중 35위 (결함있는 민주주의)
국가 원수 (총통)
응우옌푸쫑
정부
요인
부총통
당티응옥틴
총리
응우옌쑤언푹
국회의장
응우옌티낌응언
대법원장
응우옌안잡
여당
베트남 공산당
신임과 보완
민주당 (베트남)
원내 야당
베트남 국민당, 공화당 (베트남),
전국소수민족동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체제
GDP
(PPP)
전체 GDP
$7,699억
1인당 GDP
$7,699억
GDP
(명목)
전체 GDP
$2,603억
1인당 GDP
$8,063
무역
수입
$243.5억
수출
$236.7억
외환 보유고
$630억
신용 등급
무디스 Ba3
S&P BB
Fitch BB
화폐
공식 화폐
베트남 동
ISO 4217
VND, đ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7 (베트남 표준시)
도량형
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1950년 수교
UN 가입
1950년
주한대사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123
ccTLD
.vn
국가 코드
704, VNM, VN
전화 코드
+84


개요

베트남 공화국(Việt Nam Cộng Hòa) 혹은 줄여서 베트남(Việt Nam)은 동남아시아에 위치해 있는 공화국이다.
1885년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고 1945년 정식으로 베트남 공화국 정부가 수립되었으며 6,70년대 내전과, 군부 독재를 겪었다. 그러나 1985년 4.16 민주혁명을 통해 민주화가 되었고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임 국가원수는 총통인 응우옌푸쫑이며 총리는 응우옌쑤언푹이다.

베트남의 수도인 하노이
베트남의 최대도시인 사이공

국가 상징

국명

공식적인 국호는 대한민국(大韓民國, Republic of Korea)이며 대한은 한민족과 한반도를, 민국은 공화국을 의미한다 하지만 대부분 국내외의 여러 단체와 기관 그리고 개인들은 한국(韓國, Korea)이라는 약칭으로 부른다. 90년대 까지는 대한(大韓)이라는 약칭이 더 많았으나 2002년 월드컵 당시부터 한국이라는 약칭이 확산되었고 현재에는 일부 기관이나 기업, 단체의 명칭에서나 쓰이고 있다.(예시/대한성공회, 대한항공, 대한의사회 등) 70년대 이전까지는 조선(朝鮮)이라는 명칭이 대중적이였으나 70년대 이후부터는 사장되었으며 마찬가지로 일부 기업의 명칭에만 쓰이고 있다.(예시/조선일보, TV조선 등)

국기


베트남 공화국의 국기
황저삼선기
상징국가 베트남
이름 황저삼선기
용도 베트남 공화국의 국기

[1]
대한민국의 국기는 태극기이며 1882년 이응준이 조미수호통상조약 조인식에서 최초로 사용하였다. 일제강점기 시대에는 불법화되었고 한국 독립운동의 상징으로 쓰였으며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에서도 쓰였다. 해방이후에는 조선인민공화국과 신탁통치기 한국에서도 쓰였다. 이후 제헌 국회에서도 국기로 채택되었으며, 몇번의 수정이후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 태극기는 흰 바탕과 중심의 태극, 네모서리의 건곤감리 4괘로 구성되어 있다. 4괘는 각각 하늘, 땅, 물, 불을 의미하며 흰색 바탕은 순수한 우리 민족, 태극은 음양의 조화를 나타낸다.

국장


베트남 공화국의 국장
황저삼선문
상징국가 베트남
이름 황저삼선문
용도 베트남 공화국의 국장

[2]

대한민국의 국장은 나라문장으로 한국의 국장은 태극문양을 무궁화 꽃잎 5장이 감싸고 ‘대한민국’ 글자가 새겨진 리본으로 그 테두리를 둘러싸고 있는 모습이다. 태극기의 색조 변경에 따라서 나라문장또한 색조가 달라져 왔으며 이전에는 건곤감리 4괘가 태극문양을 감싸고 있는 모습이였다. 현재 이전의 나라문장은 한독당의 당문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국가


베트남 공화국의 국가
학생행진곡
상징국가 베트남
이름 학생행진곡
용도 베트남 공화국의 국가
듣기 학생행진곡

[3]

대한민국의 국가는 애국가로 작사자는 불명, 작곡가는 안익태이다. 대한제국 시기의 국가도 애국가 였으나 현재 대한민국의 국가와는 제목말고는 연관이 없다. 원래 정부수립 이전까지는 스코틀랜드 민요 작별에 가사를 붙여불렀으나 아후에는 안익태의 곡에 가사를 붙여 부른다. 그러나 안익태가 친일행적이 잇다는 점을 들어서 이전과 같이 임정 애국가를 부르거나[4]새로운 국가를 지정하자는 움직임도 있으나 국민들 사이에 거부감이 많아 논의에 그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