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민국 38):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1번째 줄: 21번째 줄:
| 역사 =  
| 역사 =  
* 해방 1945년 9월 13일
* 해방 1945년 9월 13일
* 월남중국군정부 1945년 9월 21일 ~ 1949년 3월 2일
* [[월남중국군정부 (민국 38)|월남중국군정부]] 1945년 9월 21일 ~ 1949년 3월 2일
* 제1공화국 수립 1949년 3월 2일
* 제1공화국 수립 1949년 3월 2일
* 2.11 쿠데타 1962년 2월 11일
* 2.11 쿠데타 1962년 2월 11일

2021년 6월 5일 (토) 03:14 판

[ 국가 목록 ]
[ 세계관 소개 ]
[ 문서 목록 ]


민국 38(民國三十八)은 가장 대표적인 대체역사 소재 중 하나인 중화민국국공내전 승리를 가정한 세계관 입니다.
민국 38년(1949년) 중화민국의 국공내전 승리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변화한 여러 정치, 사회, 문화,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베트남 공화국
Việt Nam Cộng Hòa
국기 국장
Tổ quốc - Công minh - Liêm chính
조국, 공정, 청렴
상징
국가 공민에게 고함 [1]
국화
연꽃
위치
width: calc(100% + 5px)
역사
[ 펼치기 · 접기 ]
  • 해방 1945년 9월 13일
  • 월남중국군정부 1945년 9월 21일 ~ 1949년 3월 2일
  • 제1공화국 수립 1949년 3월 2일
  • 2.11 쿠데타 1962년 2월 11일
  • 베트남 내전 1962년 3월 28일 ~ 1963년 11월 9일
  • 제2공화국 수립 1964년 5월 18일
  • 4.16 개혁운동 1985년 4월 16일 ~ 1985년 10월 26일
  • 제3공화국 수립 1985년 11월 7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하노이
최대 도시
사이공
면적
331,212㎢
내수면 비율
1.3%
접경국
중국, 라오스, 캄보디아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98,168,829명
밀도
276명/㎢명/km2
민족 구성
킨족 85.7%, 소수민족 14.3%
출산율
1.79명
평균 수명
75.32세
기대 수명
75.32세
공용어
베트남어
공용 문자
쯔꾸옥응으
종교
국교
없음
분포
불교 70%, 기독교 8.3%, 까오다이교 등의 신흥종교 6.2%, 기타 0.1%
군대
베트남 공화국 국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제1급 행정구
58개 성, 5개 중앙직할시
제2급 행정구
707개 성도, 시, 군
제3급 행정구
10,614개 구, 시, 군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대통령제, 단원제, 단일국가, 공화제, 대륙법계
민주주의 지수
167개국 중 35위 (결함있는 민주주의)
국가 원수 (총통)
응우옌푸쫑
정부
요인
부총통
당티응옥틴
총리
응우옌쑤언푹
국회의장
응우옌티낌응언
대법원장
응우옌안잡
여당
베트남 공산당
신임과 보완
민주당 (베트남)
원내 야당
베트남 국민당, 공화당 (베트남),
전국소수민족동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체제
GDP
(PPP)
전체 GDP
$7,699억
1인당 GDP
$7,699억
GDP
(명목)
전체 GDP
$2,603억
1인당 GDP
$8,063
무역
수입
$243.5억
수출
$236.7억
외환 보유고
$630억
신용 등급
무디스 Ba3
S&P BB
Fitch BB
화폐
공식 화폐
베트남 동
ISO 4217
VND, đ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7 (베트남 표준시)
도량형
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1950년 수교
UN 가입
1950년
주한대사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123
ccTLD
.vn
국가 코드
704, VNM, VN
전화 코드
+84


개요

베트남 공화국(Việt Nam Cộng Hòa) 혹은 줄여서 베트남(Việt Nam)은 동남아시아에 위치해 있는 공화국이다.
1885년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고 1945년 정식으로 베트남 공화국 정부가 수립되었으며 6,70년대 내전과, 군부 독재를 겪었다. 그러나 1985년 4.16 민주혁명을 통해 민주화가 되었고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임 국가원수는 총통인 응우옌푸쫑이며 총리는 응우옌쑤언푹이다.

베트남의 수도인 하노이
베트남의 최대도시인 사이공

국가 상징

국명

공식적인 국호는 베트남 공화국(Việt Nam Cộng Hòa)이며 베트남은 옛 베트남 지역의 국가 남월(南越)에서 유래했으며, 공회국은 정체를 의미한다. 베트남어로 하면 비엣남에 더 가깝다. 그러나 영어 국호인 Vietnam을 음역한 일본어 표기인 베토나무(ベトナム)의 영향을 받아 베트남이 정식표기가 되었다. 70에서 80년대 까지는 한문 명칭인 월남(越南)이 대중적인 표현이였으나 90년대부터는 사장되었다.

국기


유산과 자유의 기
Lá cờ tự do và di sản
지위 공식 국기
채택일 1949년 1월 1일
근거 법령 <베트남 공화국 국기법>
비율 3:2


베트남의 국기는 유산과 자유의 기이며 비공식 적으로는 황저삼선기라고 불린다. 응우옌 왕조의 10대 군주 타인타이 황제가 고안한 것으로 붉은색 가로 세 줄은 팔괘의 첫 번째인 건(乾)괘를 형상화한 것으로 태극기 좌상단의 건괘와 같다. 황저삼선기의 노란색은 베트남인과 베트남의 토지, 붉은색은 베트남인의 피를 뜻한다. 그러나 이 깃발의 제작자가 현대 베트남에서 그렇게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응우옌 왕조의 황제이기 때문에 공산당내 급진파 당원들은 국기 변경을 요구하기도 한다.

국장


유산과 자유의 문장
Lá cục trưởng tự do và di sản
지위 공식 국장
채택일 1949년 1월 1일
사용처
  • 국가기관
  • 국가문서
  • 여권
  • 훈장
  • 해외공관

베트남의 국장는 유산과 자유의 문장이며 비공식 적으로는 황저삼선문라고 불린다. 황저삼선기가 들어간 방패의 형상으로 이 문장은 사실 약식문장이며 정식 문장은 두마리의 녹색용이 황저삼선문을 잡고 있는 형상이다.[1] 그러나 민간, 심지어 정부부처에서도 약식문장이 더 자주 쓰이며 정식문장은 대통령 문장 등 일부에서만 쓰인다. 민간에서는 정식문장의 두마리의 용이 국가, 민족, 자유, 독립, 그 이외의 기타등등을 의미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공식적으로 밝혀진 의미는 없으며 가장 유력한 의견은 방패는 국가, 국민, 민족등을 의미하고 두마리의 용은 국가나 민족을 보호하는 존재라는 것이 현재 주류의견이다.

국가


공민에게 고함
Tiếng Gọi Công Dân

지위 공식 국가
채택일 1949년 1월 1일

베트남의 국가는 공민에게 고함으로 원곡은 르우흐우프억(Lưu Hữu Phước)이 작사, 작곡한 노래이다 학생행진곡이다.. 제1공화국 시기에는 '청년행진곡'이라는 명칭으로 개사되어 불렸으나 현재는 공민에게 고함으로 바꾸어 부른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