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개요) |
||
85번째 줄: | 85번째 줄: | ||
[[대한국 (동방)|대한국]]의 부(府)급 행정구역. | [[대한국 (동방)|대한국]]의 부(府)급 행정구역. | ||
1955년 전라도로부터 분리된 이래로 도급 행정구역이었으며 성부제가 정착한 이후로는 [[대한성]] 산하 제주도였다. 그러나 2020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제주도(道)가 폐지되고 성부급 행정구역인 제주부로 승격되어 도 시절보다 고도의 자치권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제주부는 [[외흥안령부]]와 같이 산하에 기초행정단위를 두지 않는 단층제로 운영된다. | 1955년 전라도로부터 분리된 이래로 도급 행정구역이었으며 성부제가 정착한 이후로는 [[대한성]] 산하 제주도였다. 그러나 2020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제주도(道)가 폐지되고 성부급 행정구역인 제주부로 승격되어 도 시절보다 고도의 자치권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제주부는 [[외흥안령부]]와 같이 산하에 기초행정단위를 두지 않는 단층제로 운영된다. |
2022년 2월 14일 (월) 02:29 판
![]() 동방의 불란서 세계관 |
---|
![]() |
대한국 성급 행정구역 |
[ 펼치기 · 접기 ]
|
![]() | |||||||||||||||||
---|---|---|---|---|---|---|---|---|---|---|---|---|---|---|---|---|---|
제주부 濟州府 | Jeju Prefecture | |||||||||||||||||
| |||||||||||||||||
부청 소재지 | 제주시 문연로 6 | ||||||||||||||||
하위 행정구역 | 2시 | ||||||||||||||||
면적 | 1,850.2km2 | ||||||||||||||||
인구 | 796,542명(2021) | ||||||||||||||||
인구밀도 | 430.52명/km2 | ||||||||||||||||
시간대 | UTC+8:30 | ||||||||||||||||
부지사 | 고형오(초선) | ||||||||||||||||
부의회 | 33석 | ||||||||||||||||
6석 | |||||||||||||||||
5석 | |||||||||||||||||
무소속 | 2석 | ||||||||||||||||
시장·군수 | 무소속 | 2석[1] | |||||||||||||||
중추원의원 | 부현승(초선) | ||||||||||||||||
국민원의원 | 김재민(2선)[2] | ||||||||||||||||
지역번호 | 064 | ||||||||||||||||
ISO 3166-2 | KR-49 |
제주부 풍경[3] |
---|
개요
대한국의 부(府)급 행정구역.
1955년 전라도로부터 분리된 이래로 도급 행정구역이었으며 성부제가 정착한 이후로는 대한성 산하 제주도였다. 그러나 2020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제주도(道)가 폐지되고 성부급 행정구역인 제주부로 승격되어 도 시절보다 고도의 자치권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제주부는 외흥안령부와 같이 산하에 기초행정단위를 두지 않는 단층제로 운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