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부: 두 판 사이의 차이

85번째 줄: 85번째 줄:
[[대한국 (동방)|대한국]]의 부(府)급 행정구역.  
[[대한국 (동방)|대한국]]의 부(府)급 행정구역.  


1955년 전라도로부터 분리된 이래로 도급 행정구역이었으며 성부제가 정착한 이후로는 [[대한성]] 산하 제주도였다. 그러나 2020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제주도(道)가 폐지되고 성부급 행정구역인 제주부로 승격되어 도 시절보다 고도의 자치권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제주부는 [[외흥안령부]]와 같이 산하에 기초행정단위를 두지 않는 단층제로 운영된다.<ref>여담으로 두 지역이 단층제인 대표적 이유는 서로 반대인데, 외흥안령부는 인구가 너무 적어서이고 반대로 제주부는 면적이 좁아서이다.</ref>
1955년 전라도로부터 분리된 이래로 도급 행정구역이었으며 성부제가 정착한 이후로는 [[대한성]] 산하 제주도였다. 그러나 2020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제주도(道)가 폐지되고 성부급 행정구역인 제주부로 승격되어 도 시절보다 고도의 자치권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제주부는 [[외흥안령부]]와 같이 산하에 기초행정단위를 두지 않는 단층제로 운영된다.

2022년 2월 14일 (월) 02:29 판


동방의 불란서 세계관
대한국
성급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대한국의 행정구역
제주부
濟州府 | Jeju Prefecture
깃발 휘장
부청 소재지 제주시 문연로 6
하위 행정구역 2시
면적 1,850.2km2
인구 796,542명(2021)
인구밀도 430.52명/km2
시간대 UTC+8:30
부지사
고형오(초선)
부의회
33석
6석
5석
무소속 2석
시장·군수 무소속 2석[1]
중추원의원
부현승(초선)
국민원의원
김재민(2선)[2]
지역번호 064
ISO 3166-2 KR-49


제주부 풍경[3]

개요

대한국의 부(府)급 행정구역.

1955년 전라도로부터 분리된 이래로 도급 행정구역이었으며 성부제가 정착한 이후로는 대한성 산하 제주도였다. 그러나 2020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제주도(道)가 폐지되고 성부급 행정구역인 제주부로 승격되어 도 시절보다 고도의 자치권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제주부는 외흥안령부와 같이 산하에 기초행정단위를 두지 않는 단층제로 운영된다.

  1. 전원 임명직
  2. 제주
  3. 첫번째 사진은 광치기해변에서 촬영한 성산일출봉, 두번째 사진은 한라산 백록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