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정치)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과거 [[조선 (니코막힘)|조선]]의 남쪽 절반에 해당한다. | 과거 [[조선 (니코막힘)|조선]]의 남쪽 절반에 해당한다. | ||
== 정치 == | == 인문 환경 == | ||
=== 정치 === | |||
기본적으로 [[조선 (니코막힘)|조선]]의 문화성향을 이어받아 문화적 진보, 경제적 중도 성향이다. 지역 정당인 [[국민퍼스트회]]가 있으며 텃밭이었으나, 2016년 당선된 [[김혜성]] 전 지사 겸 대표의 개인적 논란으로 인해 김천시와 구미시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인구당]]의 [[백담]] 후보에게 밀리는 이변이 나왔으며 심지어 최대도시인 경산시에서는 국민퍼스트회가 [[기본소득당 (니코막힘)|기본소득당]]보다도 표를 덜 받았다. 한편, 동해안에 위치한 경주와 포항에서는 2000년 이후로 인구당이 꾸준한 득표를 얻고 있다. 현 도지사는 인구당의 백담이다. | 기본적으로 [[조선 (니코막힘)|조선]]의 문화성향을 이어받아 문화적 진보, 경제적 중도 성향이다. 지역 정당인 [[국민퍼스트회]]가 있으며 텃밭이었으나, 2016년 당선된 [[김혜성]] 전 지사 겸 대표의 개인적 논란으로 인해 김천시와 구미시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인구당]]의 [[백담]] 후보에게 밀리는 이변이 나왔으며 심지어 최대도시인 경산시에서는 국민퍼스트회가 [[기본소득당 (니코막힘)|기본소득당]]보다도 표를 덜 받았다. 한편, 동해안에 위치한 경주와 포항에서는 2000년 이후로 인구당이 꾸준한 득표를 얻고 있다. 현 도지사는 인구당의 백담이다. | ||
=== 문화 === | |||
사회적 소수자에게 매우 관대한 편이다. 2019년에는 고려에서 가장 퀴어 친화적인 도시로 선정되었으며, 2020년에는 고려에서 가장 문화적으로 진보적인 도시로 선정되었다. | |||
== 교통 == | == 교통 == |
2022년 4월 8일 (금) 18:39 판
경상북도 | |
도 | |
행정 | |
나라 | 고려 민주 공화국 |
---|---|
지역어 | 동남 방언 |
인구 | |
인구 | 4,003,843 명 |
인구밀도 | 384.61 명/㎢ |
지리 | |
면적 | 10,410 ㎢ |
개요
경상북도는 니코막힘 세계관의 고려 민주 공화국의 동부에 위치한 도이다. 도 이름은 경주와 상주시에서 따 왔다.
역사
과거 조선의 남쪽 절반에 해당한다.
인문 환경
정치
기본적으로 조선의 문화성향을 이어받아 문화적 진보, 경제적 중도 성향이다. 지역 정당인 국민퍼스트회가 있으며 텃밭이었으나, 2016년 당선된 김혜성 전 지사 겸 대표의 개인적 논란으로 인해 김천시와 구미시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인구당의 백담 후보에게 밀리는 이변이 나왔으며 심지어 최대도시인 경산시에서는 국민퍼스트회가 기본소득당보다도 표를 덜 받았다. 한편, 동해안에 위치한 경주와 포항에서는 2000년 이후로 인구당이 꾸준한 득표를 얻고 있다. 현 도지사는 인구당의 백담이다.
문화
사회적 소수자에게 매우 관대한 편이다. 2019년에는 고려에서 가장 퀴어 친화적인 도시로 선정되었으며, 2020년에는 고려에서 가장 문화적으로 진보적인 도시로 선정되었다.